퓨처 선장

퓨처 선장(Captain Future)은 1940년대 미국의 SF 펄프잡지 연재소설군이자 그 주인공 캐릭터의 이름이다. 소설 외에도 다양한 매체로 파생되었다. 1970년대 말에는 일본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 여러 나라에 수출되었다.
기원
[편집]퓨처 선장의 작가를 에드먼드 해밀턴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지만 엄밀히는 부정확한 표현이다. 퓨처 선장 시리즈 대부분을 해밀턴이 집필하기는 했지만, 퓨처 선장이라는 캐릭터는 잡지 편집자 모트 워징거와 레오 마굴리스가 기획하여[1][2] 1939년 제1회 세계 SF 대회에서 발표한 것이다.[3][4] 퓨처 선장은 만화계의 슈퍼히어로들처럼 하나의 기획 상품으로서 여러 작가가 공유한 프랜차이즈였다고 볼 수 있다.
퓨처 선장은 1940년부터 1951년까지 여러 펄프 잡지 지면에 연재되었다. 얼 K. 버기가 그린 밝은 색감의 표지가 특징적이었다. 1940년부터 1944년까지는 퓨처 선장 연재를 전담하는 『퓨처 선장』 잡지가 따로 발간되었다.
주인공 퓨처 선장의 본명은 커티스 뉴턴(Curtis Newton)이며, 명석한 과학자이자 모험가이다. 뉴턴은 퓨처 선장으로서 태양계를 누비며 문제를 해결하고 권선 징악하며 빌런들을 무찌른다. 이 시리즈에서의 태양계는 오늘날의 지식에 기반해서 보면 이상하지만 나름대로 그럴싸하게 설정되어 있다. 태양계의 모든 행성과 위성들이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환경이고, 대부분 휴머노이드 외계인들이 점유하고 있다. 초기작에서는 모험의 배경이 주로 태양계이지만 퓨처 선장이 “전동 구동계(vibration drive)”라는 것을 발명하면서 다른 항성계, 다른 차원, 심지어 먼 과거로의 시간여행이나 우주의 끝까지도 다녀올 수 있게 된다.[5]
시리즈 일람
[편집]# | 제목 | 저자 | 연재처 | 발표일 | 비고 |
---|---|---|---|---|---|
1 | 퓨처 선장과 우주 황제("Captain Future and the Space Emperor") | 에드먼드 해밀턴 | 『퓨처 선장』 | 1940년 겨울호 | 같은 제목으로 재간 |
2 | 퓨처 선장의 호출("Calling Captain Future") | 에드먼드 해밀턴 | 『퓨처 선장』 | 1940년 봄호 | 같은 제목으로 재간 |
3 | 퓨처 선장의 도전("Captain Future's Challenge") | 에드먼드 해밀턴 | 『퓨처 선장』 | 1940년 여름호 | 같은 제목으로 재간 |
4 | 퓨처 선장의 승리("The Triumph of Captain Future") | 에드먼드 해밀턴 | 『퓨처 선장』 | 1940년 가을호 | 「은하계 임무」("Galaxy Mission")라는 제목으로 재간 |
5 | 퓨처 선장과 일곱 개의 우주석("Captain Future and the Seven Space-Stones") | 에드먼드 해밀턴 | 『퓨처 선장』 | 1941년 겨울호 | |
6 | 영광으로 가는 별의 길("Star Trail to Glory") | 에드먼드 해밀턴 | 『퓨처 선장』 | 1941년 봄호 | |
7 | 화성의 마술사("The Magician of Mars") | 에드먼드 해밀턴 | 『퓨처 선장』 | 1941년 여름호 | 같은 제목으로 재간 |
8 | 시간 속에 잃어버린 세계("The Lost World of Time") | 에드먼드 해밀턴 | 『퓨처 선장』 | 1941년 가을호 | |
9 | 별들 너머로의 임무("Quest Beyond the Stars") | 에드먼드 해밀턴 | 『퓨처 선장』 | 1942년 겨울호 | 같은 제목으로 재간 |
10 | 달의 무법자들("Outlaws of the Moon") | 에드먼드 해밀턴 | 『퓨처 선장』 | 1942년 봄호 | 같은 제목으로 재간 |
11 | 혜성의 왕들("The Comet Kings") | 에드먼드 해밀턴 | 『퓨처 선장』 | 1942년 여름호 | 같은 제목으로 재간 |
12 | 위기에 처한 행성들("Planets in Peril") | 에드먼드 해밀턴 | 『퓨처 선장』 | 1942년 가을호 | 같은 제목으로 재간 |
13 | 심연의 얼굴("The Face of the Deep") | 에드먼드 해밀턴 | 『퓨처 선장』 | 1943년 겨울호 | |
14 | 다가올 세계들("Worlds to Come") | 윌리엄 모리슨 | 『퓨처 선장』 | 1943년 봄호 | |
15 | 공포의 별("Star of Dread") | 에드먼드 해밀턴 | 『퓨처 선장』 | 1943년 여름호 | |
16 | 마술 위성("Magic Moon") | 에드먼드 해밀턴 | 『퓨처 선장』 | 1944년 겨울호 | |
17 | 창조의 나날("Days of Creation") | 윌리엄 모리슨 | 『퓨처 선장』 | 1944년 봄호 | 「열 번째 행성」("The Tenth Planet")이라는 제목으로 재간 |
18 | 위험의 붉은 태양("Red Sun of Danger") | 에드먼드 해밀턴 | 『스타틀링 스토리스』 | 1945년 봄호 | 「위험한 행성」("Danger Planet")이라는 제목으로 재간 |
19 | 무법의 세계("Outlaw World") | 에드먼드 해밀턴 | 『스타틀링 스토리스』 | 1946년 겨울호 | 같은 제목으로 재간 |
20 | 태양계 침공("The Solar Invasion") | 맨리 웨이드 웰먼 | 『스타틀링 스토리스』 | 1946년 가을호 | 같은 제목으로 재간 |
SS01 | 퓨처 선장의 귀환("The Return of Captain Future") | 에드먼드 해밀턴 | 『스타틀링 스토리스』 | 1950년 1월호 | |
SS02 | 태양의 아이들("Children of the Sun") | 에드먼드 해밀턴 | 『스타틀링 스토리스』 | 1950년 5월호 | |
SS03 | 타이탄의 수금 연주자들("The Harpers of Titan") | 에드먼드 해밀턴 | 『스타틀링 스토리스』 | 1950년 9월호 | 『사이클롭스 박사』의 일부로 재간 |
SS04 | 죄송합니다만 제가 무쇠 신경이라("Pardon My Iron Nerves") | 에드먼드 해밀턴 | 『스타틀링 스토리스』 | 1950년 11월호 | |
SS05 | 잊혀지지 않은 자들의 위성("Moon of the Unforgotten") | 에드먼드 해밀턴 | 『스타틀링 스토리스』 | 1951년 1월호 | |
SS06 | 지구인은 더 이상("Earthmen No More") | 에드먼드 해밀턴 | 『스타틀링 스토리스』 | 1951년 3월호 | |
SS07 | 창조의 현장("Birthplace of Creation") | 에드먼드 해밀턴 | 『스타틀링 스토리스』 | 1951년 5월호 | |
외전 | 천둥 위성의 보물("Treasure on Thunder Moon") | 에드먼드 해밀턴 | 『어메이징 스토리스』 | 1942년 4월호 | |
외전 | 잊어버린 세계("Forgotten World") | 에드먼드 해밀턴 | 『스릴링 원더 스토리스』 | 1946년 겨울호 |
등장인물
[편집]각주
[편집]- ↑ “CF expert Robert Weinberg's site” (영어). 《robertweinberg.net》. 2023년 5월 18일.
- ↑ Will Murray, "The Once and Future Captain", Starlog 115, Feb. 1987
- ↑ Allan Steele, The Death of Captain Future (with introduction and author's note) in The Space Opera Renaissance, ed. David G. Hartwell and Kathryn Cramer, 2006, p. 556-586.
- ↑ Sam Moskowitz, The Immortal Storm, 1958, p. 219.
- ↑ Clute, John; Nicholls, Peter (1993). 〈Hamilton, Edmond M〉. 《The Encyclopedia of Science Fiction》. New York: St Martin’s Griffin. 538쪽. ISBN 0-312-13486-X. Hamilton spent much of the early 1940s creating the juvenile Captain Future series complete with a future history of various human species originating in the Deneb system, a collection at the same time better written and less lively than his groundbreaking trademark space operas.
![]() |
이 글은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