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교통
![]() |


프랑스의 교통은 세계에서 가장 밀집된 네트워크 중 하나에 의존하며, 100km2당 146km의 도로와 6.2km의 철도 노선을 갖추고 있다. 이는 파리를 중심으로 한 거미줄처럼 건설되어 있다.[1] 철도, 도로, 항공, 수상은 모두 프랑스에서 널리 발달된 교통 형태이다.
역사
[편집]최초의 중요한 인간 개선은 주요 정착지를 연결하고 행군하는 군대를 위한 빠른 통행을 제공했던 로마의 도로였다.
중세 내내 개선은 거의 없었고 수준도 떨어졌다. 교통은 느리고 사용하기 불편해졌다. 근대 초기는 큰 개선을 보였다. 강을 연결하는 운하의 건설이 매우 빠르게 이루어졌다. 또한 해양 운송에서도 큰 변화가 있었다. 비싼 갤리선 대신, 훨씬 빠르고 화물 공간이 더 많은 풍력 추진 선박이 해안 무역에서 인기를 얻었다. 신대륙과의 대서양 횡단 운송으로 낭트, 보르도, 셰르부르옥트빌, 르아브르와 같은 도시들이 주요 항구가 되었다.

철도
[편집]
프랑스에는 총 29,901 킬로미터 (18,580 mi)의 철도가 있으며, 대부분 프랑스 국유 철도 회사인 SNCF (Société nationale des chemins de fer français)가 운영한다. 도로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프랑스 철도도 국가로부터 보조금을 받으며, 2013년에는 132억 유로를 받았다.[2] 철도 시스템은 전체 여행의 작은 부분을 차지하며, 여객 여행의 10% 미만에 해당한다.[3]
1981년부터 새로 건설된 고속 LGV (Lignes à Grande Vitesse) 노선은 파리-리옹을 시작으로 프랑스의 인구 밀집 지역을 수도와 연결했다. 1994년에는 채널 터널이 개통되어 영국 해협 아래로 프랑스와 그레이트브리튼섬을 철도로 연결했다. TGV는 많은 세계 속도 기록을 세웠으며, 가장 최근 기록은 2007년 4월 3일에 세워졌다. 이 날에는 일반적인 TGV보다 큰 바퀴와 더 강력한 25,000 hp (18,600 kW) 엔진을 장착한 V150이라는 새로운 TGV 버전이 시속 574.8km (357.2mph)에 도달하여 재래식 철도 열차의 세계 속도 기록을 깼다.[4]
철도는 도로 교통과 달리 좌측 통행을 한다(단, 알자스-모젤 지역 제외). 지하철과 트램은 열차로 간주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우측 통행하는 도로 교통의 규칙을 따른다(단, 리옹 지하철 제외).
프랑스는 2017년 유럽 철도 성과 지수에서 사용 강도, 서비스 품질 및 안전 성능 면에서 유럽 국영 철도 시스템 중 7위를 차지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하락한 수치이다.[5]
프랑스의 비TGV 도시 간 서비스(TET)는 오래된 인프라와 열차로 인해 쇠퇴하고 있다. 프랑스 정부가 버스 운영자들이 경쟁하도록 허용하여 철도가 장거리 여행에 현재 가지고 있는 독점을 제거할 계획이므로, 더욱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6] 최근 몇 년간 채널 터널을 통한 영국 여행이 증가했으며, 2015년 5월부터 승객들은 마르세유, 아비뇽, 리옹으로 직행할 수 있게 되었다. 유로스타는 또한 새로운 Class 374 열차를 도입하고 현재의 Class 373을 개조하고 있다.
프랑스 정부는 199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그레이트브리튼섬이 사용했던 유사한 모델을 따라 프랑스 철도망을 민영화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7][6]

지하철
[편집]프랑스의 여섯 개 도시에는 현재 지하철 서비스('메트로'로 자주 불림)가 운영되고 있다. 완전한 메트로 시스템은 파리 (16개 노선), 리옹 (4개 노선), 마르세유 (2개 노선)에서 운영 중이다. 경전철 (VAL-형) 시스템은 릴 (2개 노선), 툴루즈 (2개 노선), 렌 (2개 노선)에서 사용 중이다.
트램
[편집]프랑스의 1세대 노면전차 시스템 대부분이 이전에 폐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파리, 리옹(리옹이 가장 크다), 툴루즈, 몽펠리에, 생테티엔, 스트라스부르, 낭트 등 프랑스 주요 도시의 현대적인 트램 또는 경전철 네트워크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최근 트램은 보르도의 지면 전력 공급이나 낭시에서 트램인 척하는 트롤리버스 등 많은 실험과 함께 큰 부활을 보였다.[8]
이러한 이동 방식은 1930년대 말 프랑스에서 사라지기 시작했다. 오직 릴, 마르세유, 생테티엔만이 트램 시스템을 포기하지 않았다. 1980년대 이후 여러 도시에서 트램을 다시 도입했다.

다음 프랑스 도시들은 경전철 또는 트램 시스템을 운영한다.
- 앙제르 - 2011년부터;
- 브장송 - 2014년부터;
- 보르도 - 2003년부터;
- 브레스트 - 2012년부터;
- 캉 - 2002년부터 '타이어 트램' 시스템으로 운영되다 2019년 재래식 트램으로 교체;
- 클레르몽페랑 - 2006년부터, '타이어 트램';
- 그르노블 - 1987년부터;
- 일드프랑스 (파리 광역권) - 1992년부터
- 릴, 루베, 투르쿠앵 - 1909년부터 중단 없이 운영;
- 리옹 - 2001년부터;
- 르망 - 2007년부터;
- 마르세유 - 2007년부터;
- 몽펠리에 - 2000년부터;
- 뮐루즈 - 2006년부터
- 낭시 - 2000년부터, 단일 가이드 레일을 사용하여 타이어로 주행하는 '타이어 트램' 시스템;
- 니스 - 2007년부터;
- 낭트 - 1985년부터;
- 오를레앙 - 2000년부터;
- 랭스 - 2011년부터;
- 루앙 - 1994년부터;
- 생테티엔 - 1881년부터 중단 없이 운영;
- 스트라스부르 - 1994년부터
- 툴루즈 - 2010년부터 (이전에는 1906년부터 1952년까지 존재했음)
- 발랑시엔 - 2006년부터
- 디종 - 2012년부터
- 르아브르 - 2012년부터
트램 시스템은 투르와 포르드프랑스에서 계획 또는 건설 중이다.
프랑스의 트램 네트워크 부활은 견인 시스템과 차량 스타일링 모두에서 여러 기술 발전을 가져왔다.
- APS 제3궤조: 알스톰 APS 시스템은 주행 레일 사이에 배치된 제3궤조를 사용하며, 전기적으로 8미터 세그먼트와 3미터 중립 구간으로 나뉜다. 각 트램에는 두 개의 전력 수집 스케이트가 있으며, 그 옆에는 트램이 지나갈 때 전력 레일 세그먼트에 전파 신호를 보내 전력을 공급하는 안테나가 있다. 한 번에 트램 아래에 있는 연속된 세그먼트는 두 개 이상 활성화되지 않아야 한다. 알스톰은 주로 보르도 구시가지의 민감한 지역에서 방해가 되는 전력 공급 케이블을 피하기 위해 이 시스템을 개발했다.[9]
- 모듈식 디자인: 프랑스 제조업체 알스톰의 주력 제품인 시타디스 트램은 가벼운 보기와 객차를 위한 모듈식 개념을 결합하여 창문의 종류와 차량 및 문의 수를 더 많이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혁신적인 디자인을 자랑한다.[11] 최근의 시타디스 듀얼리스는 최대 100km/h로 운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500m에서 5km 범위의 정류장 간격에 적합하다. 듀얼리스는 모든 문이 저상 섹션에 있는 엄격한 모듈식 부분 저상 차량이다.[12]
2013년부터 메스 (프랑스)에서는 저명한 이중 굴절 "트램과 유사한" 반 훌 차량(메티스)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레일과 가공 전차선 없이도 클래식 트램처럼 작동하며, 디젤-전기 하이브리드 엔진 덕분에 친환경적이고 최대 155명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다. 시동 시 배터리가 버스 엔진에 전원을 공급하며, 이후 디젤 엔진이 작동하기 전까지 150미터를 주행할 수 있다.
도로
[편집]
프랑스에는 약 950,000 km (590,000 mi)의 도로가 있다.[13] 프랑스 고속도로 네트워크 또는 고속도로 시스템은 대도시 주변, 브르타뉴, 노르망디 일부, 아르덴, 알자스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유료 도로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Sanef (Société des autoroutes du Nord et de l'Est de la France)와 같은 민간 회사들이 운영하는 총 12,000 km (7,500 mi)의 고속도로 네트워크이다. 세계에서 8번째로 큰 공도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중국, 인도, 러시아, 일본, 캐나다, 스페인, 독일에 뒤를 잇는다.[14]
프랑스에는 현재 30,500km의 주요 간선 도로 또는 국도와 국영 고속도로가 있다. 이에 비해 데파트망 도로는 총 365,000km에 달한다. 주요 간선 도로 네트워크는 프랑스의 중앙집권적 전통을 반영한다. 대부분의 도로가 파리에서 시작된다. 실제로 간선 도로는 킬로미터 제로의 노트르담 대성당 광장에서 시작된다. 효과적인 도로 네트워크를 보장하기 위해 파리를 통과하지 않는 새로운 도로들이 건설되었다.
2022년 프랑스의 안전률은 OECD 중앙값에 가깝지만 더 좋지는 않으며, 백만 명당 49.8명(또는 10만 명당 4.98명)의 사망률과 10억 차량-킬로미터당 5.2명(1억 VKT당 0.52명)의 사망률을 기록했다.[15]
프랑스는 유럽에서 자동차 의존도가 가장 높은 국가로 여겨진다.[16] 2005년에 프랑스에서는 9370억 차량-킬로미터가 이동했으며(85%는 승용차),[13] 이동 거리는 변하지 않았지만 2012년부터 2022년까지 7300억 차량-킬로미터로 집계된다. 매년 이동하는 10000억 차량-킬로미터 중 승용차가 80%를 차지한다.[17] 2020년에는 이동 거리가 감소했지만, 2019년에는 프랑스 도로 연맹(Union routière de France)에 따르면 프랑스 등록 차량 448대가 포함된 6150억 차량-킬로미터로 집계되었다.[18]
이러한 의존성을 극복하기 위해 프랑스와 다른 많은 국가에서 장거리 고속버스 시장이 자유화되었다. 2015년 마크롱 법 이후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증가하는 수요는 버스 서비스와 고속버스 회사의 공급 확대로 이어졌다.
프랑스에서는 검은 토요일은 많은 휴가 출발로 인해 도로 교통량이 가장 많은 날을 의미한다. (교통 문제는 파리의 극심한 중앙집권화로 인해 악화되는데, 파리가 전체 국가 고속도로 네트워크의 중심지이기 때문이다.) 이 토요일은 보통 7월 말이지만, 2007년에는 7월 마지막 토요일과 8월 첫 토요일 모두 검은 토요일로 지정되었다. 오토루트 뒤 솔레일, 즉 프랑스 남부와 스페인으로 가는 고속도로는 보통 특히 붐빈다. 2004년에는 누적 교통 정체가 700 킬로미터 (430 mi) 이상 발생했다. 검은색은 프랑스 정부 웹사이트 비송 퓌테(Bison Futé)가 "극심한"(extrêmement dense) 교통량을 가진 날을 지정하는 등급이다.[19] 프랑스 신문들은 비송 퓌테의 지정에 따라 이 날을 사메디 누아르(samedi noir)라고 부른다.[20] 보통 프랑스인들은 이 날들을 레 주르 드 그랑 데파르(les jours de grands départs, 즉 대규모 출발의 날)라고 부른다. 네덜란드어에서는 이 프랑스 현상이 프랑스인들이 사메디 누아르(samedi noir)라는 용어를 채택하기 훨씬 전부터 즈바르테 자터다흐(zwarte zaterdag)로 알려져 있었으며, 둘 다 (문자적으로) 검은 토요일을 의미한다.[21]
검은 토요일이라는 용어는 1982년 7월 31일, 프랑스 역사상 최악의 교통사고가 발생했던 날을 지칭하기도 한다. 오전 1시 45분경, 고속버스가 비가 내리는 휴가철 혼잡한 교통 속에서 프랑스 본 근처에서 승용차와 충돌했다. 이 충돌과 뒤이은 화재로 46명의 어린이를 포함한 53명이 사망했다. 이 사고 이후, 이 시기에 어린이 단체 수송을 금지하는 규정이 시행되었다.[22]
전기 도로
[편집]
프랑스는 2035년까지 8,800킬로미터에 달하는 전기 도로 시스템에 300억에서 40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 시스템은 전기 자동차, 버스, 트럭이 주행 중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2023년에 전기 도로 기술 평가를 위한 두 가지 프로젝트가 발표되었다. 세 가지 기술이 고려되고 있다: 지면 전원 공급, 유도 충전, 가공 전차선. 알스톰 등이 제공하는 지면 전원 공급 기술은 전기 도로에 가장 유력한 후보로 간주된다. 유도 충전은 가장 적은 전력을 공급하고, 트럭에 설치할 경우 공급 전력의 20%~25%를 손실하며, 건강상의 영향이 아직 문서화되지 않아 성숙한 기술로 간주되지 않는다. 가공 전차선은 가장 성숙한 기술이지만, 가공 전차선과 가공선은 안전 및 유지보수 문제를 야기하며,[23] 고속도로 회사들은 가공 전차선이 너무 비싸다고 생각한다.[24]
프랑스 생태부의 실무 그룹은 스웨덴,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스페인, 폴란드 등과 함께 수립된 유럽 전기 도로 표준을 채택할 것을 권고했다.[25] 레일 전기 도로 시스템(ERS)으로 구동되는 차량의 전기 장비에 대한 표준인 CENELEC 기술 표준 50717은 2022년 말에 발표되었다.[26] 지면 전원 공급 전기 도로 시스템을 위한 완전한 상호 운용성과 "통일되고 상호 운용 가능한 솔루션"을 포괄하는 표준으로, "도로에 내장된 전도성 레일을 통한 통신 및 전원 공급"에 대한 완전한 사양을 자세히 설명한다.[27][28] 이 표준은 유럽 연합 지침 2023/1804에 따라 CENELEC 기술 표준 50740에 명시되어 있다.[29][30] 이 표준은 2025년에 승인되었다.[31]
시험
[편집]알스톰은 버스 및 기타 차량에 사용하기 위한 지면 전원 공급 (alimentation par le sol - APS) 시스템을 개발했다.[32] 이 시스템은 제설차로 도로가 치워졌을 때, 눈, 얼음, 염분 및 포화 고염수에 노출되었을 때의 안전성[33] 및 스키드와 모터사이클을 포함한 차량의 도로 접착 안전성을 위해 테스트되었다.[34] 알스톰은 2024년에서 2027년 사이에 론알프 지역의 RN205 공공 도로에서 전기 도로 시스템(ERS)을 시험할 예정이다.[35][36] 이 시스템은 전기 대형 트럭에 500kW의 전력을 공급하고, 도로 유틸리티 차량 및 전기자동차에도 전력을 공급할 것으로 예상된다.[34]
빈치는 2023년부터 2027년까지 두 가지 전기 도로 시스템(ERS)을 테스트할 예정이다. 두 기술은 처음에는 실험실 조건에서 테스트되며, 테스트 요구 사항을 충족하면 파리 남쪽 A10 고속도로에 각각 2킬로미터 길이로 설치될 것이다. Electreon의 무선 ERS는 고속도로 교통 하에서의 내구성을 테스트하고, 다중 수신기를 사용하여 트럭당 200kW의 전력 공급에 도달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Elonroad의 레일 ERS는 수신기당 350kW의 전력을 공급하며, 모터사이클에 대한 스키드 효과를 테스트할 것이다. 두 시스템 모두 자동차, 버스, 트럭과 상호 운용 가능할 것이다.[37]
프랑스의 버스 교통
[편집]대부분의 프랑스 도시에서 시내버스 서비스는 개별 여행에 대해 정액 요금으로 제공된다. 많은 도시에는 교외 또는 시골까지 운행하는 버스 서비스가 있다.[38] 요금은 일반적으로 저렴하지만, 특히 주말에는 시골 서비스가 제한적일 수 있다.[39]
기차는 오랫동안 지역 간 버스에 대한 독점권을 가지고 있었지만, 2015년에 프랑스 정부는 버스 운영자가 이 노선을 운행할 수 있도록 개혁을 도입했다.[6]
수로 및 운하
[편집]
프랑스의 자연 및 인공 수로 네트워크는 유럽에서 가장 크며[40] 총 8,500 킬로미터 (5,300 mi)가 넘고 그 중 (VNF, 영어: 프랑스 수로 관리청), 프랑스의 수로 관리 당국이 항해 가능한 구간을 관리한다. 항해 가능한 강 중 일부는 루아르, 센강, 론이다. VNF가 관리하는 자산에는 3,800 킬로미터 (2,400 mi)의 운하와 2,900 킬로미터 (1,800 mi)의 항해 가능한 강으로 구성된 6,700 킬로미터 (4,200 mi)의 수로, 494개의 댐, 1595개의 갑문, 74개의 항해 가능한 수로교, 65개의 저수지, 35개의 터널, 그리고 800 km2 (310 mi2)의 토지가 포함된다.[41] VNF 통제하에 있지 않은 두 개의 중요한 수로는 솜강의 항해 가능한 구간과 브르타뉴 운하인데, 둘 다 지역 관리하에 있다.
네트워크의 약 20%는 1000톤 이상의 상업용 선박에 적합하며[42] VNF는 수로 깊이, 갑문 폭 및 다리 아래 공간을 늘려 화물 수송을 수상으로 장려하는 프랑스의 전략을 지원하기 위한 유지 보수 및 현대화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43]
해상 운송
[편집]
프랑스는 방대한 상선을 보유하고 있으며, 1,000톤 이상의 선박이 55척이다. 이 나라는 또한 일레 케르겔렌(프랑스 남부 및 남극 영토)에 프랑스 소유 선박을 위한 등록부를 유지하고 있다.
프랑스 기업들은 1,400척 이상의 선박을 운영하며, 그 중 700척은 프랑스에 등록되어 있다. 프랑스의 110개 해운 회사는 해상에서 12,500명, 육상에서 15,500명의 인력을 고용하고 있다. 매년 3억 5백만 톤의 상품과 1,500만 명의 승객이 해상으로 운송된다. 해상 운송은 프랑스 수입 및 수출의 72%를 담당한다.[44]
프랑스는 또한 바욘, 보르도, 불로뉴쉬르메르, 브레스트, 칼레, 셰르부르옥트빌, 됭케르크, 포쉬르메르, 라 팔리스, 르아브르, 로리앙, 마르세유, 낭트, 니스, 파리, 포르 라 누벨, 포르 방드르, 로스코프, 루앙, 생나제르, 생말로, 세트, 스트라스부르 및 툴롱을 포함한 다수의 항구와 항만도 자랑한다.
항공 여행
[편집]
프랑스에는 약 478개의 공항이 있으며 (1999년 추정), 2005년 추정으로는 3개의 헬리포트가 있다. 공항 중 288개는 포장된 활주로를 가지고 있고, 나머지 199개는 비포장이다.
프랑스에서 활동하는 항공 교통 관제 당국 중 하나는 파리 지역을 관할하는 파리 공항공단으로, 프랑스에서 가장 붐비는 두 공항인 샤를 드 골 공항과 파리 오를리 공항을 포함한 14개 공항을 관리한다. 파리 근처 루아시앙프랑스에 위치한 전자는 2008년 6천만 명의 승객 이동으로 세계에서 5번째로 붐비는 공항이자 프랑스의 주요 국제 공항으로, 100개 이상의 항공사를 서비스한다.
프랑스의 국영 항공사는 에어 프랑스로, 20개 국내 목적지와 83개국 (프랑스의 해외 데파르트망 및 영토 포함)의 150개 국제 목적지로 비행하는 풀 서비스 글로벌 항공사이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Les grands secteurs économiques Ministère des Affaires étrangères Retrieved 4 November 219
- ↑ “Efficiency indicators of Railways in France” (PDF). 2015년 11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 “Modal split of inland passenger transport, 2002 and 2012”. 《Eurostat》. 2012.
- ↑ “French Train Hits 357 mph (575 km/h) Breaking World Speed Record”. 《Fox News》. Associated Press. 2007년 4월 3일. 2007년 4월 3일에 확인함.
- ↑ “the 2017 European Railway Performance Index”. Boston Consulting Group. 2021년 1월 8일.
- ↑ 가 나 다 “France's loss-making inter-city services at a crossroads”.
- ↑ “The catastrophic consequences of privatisation in France - DSC Paris 1”. 《DiEM25》 (영국 영어). 2020년 3월 26일. 2021년 10월 14일에 확인함.
- ↑ “French rediscover love for streetcars”. 《UPI》 (Paris). 2008년 7월 18일. 2008년 8월 13일에 확인함.
- ↑ Allez le Tram from Railway-Technology.com. Retrieved 15 February 2009.
- ↑ Porto:Metro from NYCsubway.org. Retrieved 15 February 2009.
- ↑ Georges Dobias: Urban Transport in France from Japan Railway & Transport Review, 16 June 1998. Retrieved 15 February 2009.
- ↑ Dualis extends the reach of the Citadis family from Railway Gazette, 2 June 2007. Retrieved 15 February 2009. 보관됨 2월 13, 2009 - 웨이백 머신
- ↑ 가 나 “Transport in France”. 《International Transport Statistics Database》. iRAP. 2008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17일에 확인함.
- ↑ Roadways by country (incl. expressways and highways). CIA - The World Factbook. 중앙정보국.
- ↑ “International road safety comparisons 2022” (PDF). 2023년 12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 Motte-Baumvol, Benjamin; Bonin, Olivier; David Nassi, Carlos; Belton-Chevallier, Leslie (2016년 7월 21일). 《Barriers and (im)mobility in Rio de Janeiro》 (PDF). 《Urban Studies》 53. 2956–2972쪽. doi:10.1177/0042098015603290. ISSN 0042-0980. S2CID 155241715.
- ↑ “L’usage de la voiture plafonne en France”. 2024년 4월 9일.
- ↑ Union routière de France, octobre 2021, Faits et chiffres, 2021, statistique des mobilités, ISSN 1625-5798
- ↑ Calendrier Bison Futé (French)
- ↑ Bison futé prévoit un "samedi noir", premiers bouchons, Le Monde, 28 July 2006 (French)
- ↑ “Het Hurktoilet (Dutch)”.
- ↑ Il y a vingt ans, l'accident de Beaune 보관됨 2009-08-04 - 웨이백 머신 (French, meaning: Twenty years ago today, the Beaune accident)
- ↑ Laurent Miguet (2022년 4월 28일), “Sur les routes de la mobilité électrique”, 《르 모니터르》
- ↑ Marc Fressoz (2024년 5월 9일), “Les autoroutiers divisés sur les solutions à mettre en place pour faire rouler des camions électriques”, 《L'USINENOUVELLE.com》
- ↑ Patrick Pélata; 외. (July 2021), 《Système de route électrique. Groupe de travail n°1》 (PDF), 2021년 10월 2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 “PD CLC/TS 50717 Technical Requirements for Current Collectors for ground-level feeding system on road vehicles in operation”, 《영국 표준 협회》, 2022, 2023년 1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월 2일에 확인함
- ↑ 《Final draft: Standardization request to CEN-CENELEC on 'Alternative fuels infrastructure' (AFI II)》 (PDF),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2022년 2월 2일, 2022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 Matts Andersson (2022년 7월 4일), 《Regulating Electric Road Systems in Europe - How can a deployment of ERS be facilitated?》 (PDF), CollERS2 - Swedish German research collaboration on Electric Road Systems
- ↑ “Technical Specification for ground-based feeding systems for dynamic electric road charging infrastructure on road vehicles in operation CLC/prTS 50740”, 《Genorma》, 2023년 10월 25일
- ↑ 《Regulation (EU) 2023/1804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3 September 2023 on the deployment of alternative fuels infrastructure, and repealing Directive 2014/94/EU》, 2023년 9월 9일
- ↑ “PD CLC/TS 50740 Technical Specification for ground-based feeding systems for dynamic electric road charging infrastructure on road vehicles in operation”, 《영국 표준 협회》, 2025
- ↑ “Alstom transfers tram power supply technology to buses”. 《Rail Insider》. 2019년 9월 26일. 2020년 1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Patrick Duprat (2022년 2월 11일), 《Compatibility of an in-road Electric Road System with winter service operations》 (PDF), Alstom, PIARC
- ↑ 가 나 Patrick Duprat (2024년 1월 16일), “Présentation du projet eRoadMontBlanc” (PDF), 《Cercle des Transports》
- ↑ “Les aides proposées par ATMB à ses clients légers et lourds pour la décarbonation des transports”, 《ATMB》, 2023년 6월 30일
- ↑ Jean-Philippe Pastre (2023년 6월 30일), “L'APS d'Alstom bientôt testé sur les routes”, 《TRM24》
- ↑ Léna Corot (2023년 8월 30일), “Vinci teste la recharge par induction et par rail sur autoroute”, 《L'USINENOUVELLE.com》
- ↑ “Bus and coach travel in France. About-France.com”.
- ↑ “France by Bus and Coach”. 《Angloinfo》. Angloinfo. 2016년 6월 15일에 확인함.
- ↑ “Waterways development”. 《VNF》. 2008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 “Presentation complete” (PDF). 《VNF》 (프랑스어). 2008년 11월 2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 “Questions and Answers”. 《VNF》. 2008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 Voies navigables de France: conjuguer économie et écologie. Retrieved 19 February 2009.
- ↑ Le transport maritime from Armateurs de France (in French). Retrieved 20 February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