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토수쿠스
보이기
![]() | |
---|---|
![]()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파충강 |
목: | 악어목 |
과: | 프레스토수쿠스과 |
속: | 프레스토수쿠스속 |
종: | 프레스토수쿠스 |
프레스토수쿠스(Prestosuchus)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브라질에서 서식했던 파충류이다. 속명의 뜻은 '빠른 악어'를 의미한다.[1][2]
발견
[편집]
프레스토수쿠스의 화석은 브라질 히우그란지두술 주의 상페드루두술 마을 근처 웨그 상가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 이후 폰 휴네(Von Huene)에 의해 기술되었으며, 현재 독일 뮌헨에 있는 바이에른 자연사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3]
특징
[편집]
프레스토수쿠스의 몸길이는 5 ~ 7 미터 (200 ~ 280 in)였다. 톱니 모양의 이빨을 가지고 있었으며, 공룡보다는 현대 악어류에 더 가까웠다.[4]
각주
[편집]- ↑ Sterling J. Nesbitt (2011). “The Early Evolution of Archosaurs: Relationships and the Origin of Major Clades”.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352: 1–292. doi:10.1206/352.1. hdl:2246/6112. S2CID 83493714.
- ↑ Desojo, Julia Brenda; Baczko, María Belén von; Rauhut, Oliver W. M. (2020년 2월 18일). “Anatomy, taxonom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Prestosuchus chiniquensis (Archosauria: Pseudosuchia) from the original collection of von Huene, Middle-Late Triassic of southern Brazil” (영어). 《Palaeontologia Electronica》 23 (1): 1–55. doi:10.26879/1026. hdl:11336/127498. ISSN 1094-8074.
- ↑ “Prestosuchus”. 《UFRGS》. 2012년 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Christian Kammerer [Synapsida] (2023년 7월 16일). “Triassicists, please ignore this paper, which fundamentally misinterprets several aspects of the ICZN, and even if it didn't would be a case of citing the letter of the law to destroy its spirit: sbpbrasil.org/publications/index.php/rbp/article/view/300/170” (트윗). 2023년 7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7월 20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파충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