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모치오네
프로모치오네 | |
---|---|
![]() | |
협회 | 유럽 축구 연맹 |
국가 | ![]() |
주최 기관 | 레가 나치오날레 딜레탄티 |
시즌 시작 | 8월 |
참가 구단 수 | 868 |
상위 리그 | 에첼렌차 |
하위 리그 | 프리마 카테고리아 |
리그 대회 | 코파 이탈리아 딜레탄티 |
웹사이트 | http://www.lnd.it |
역사 | |
설립 | 1912년 |
프로모치오네(이탈리아어: Promozione, 이탈리아어 발음: [promotˈtsjoːne], 이탈리아어로 "승격"을 의미)는 이탈리아 축구 리그 시스템에서 6부 리그에 해당한다. 프로모치오네 각 리그의 우승팀은 에첼렌차 레벨의 가장 가까운 지역 리그로 승격한다. 각 리그의 지역 규정에 따라 매년 일정 수의 팀들이 강등되어 이탈리아 축구 7부 리그인 프리마 카테고리아로 강등된다. 이 리그는 완전히 아마추어 단계이며, 지역 단위로 운영된다.[1]
간략한 역사
[편집]과거 1904년부터 1912년까지 세콘다 카테고리아(현재 8부 리그)는 이탈리아 지역 대회에서 2부 리그 역할을 했으며, 주요 팀들이 유망주나 리저브 선수들을 출전시키곤 했다. F.I.F.(1909년까지 이탈리아 축구 연맹인 FIGC의 옛 이름)에 새로 가입한 팀들도 이 대회에 포함되었다.
1912년 2월, FIGC의 새로운 연방 회원들이 세콘다 카테고리아에서 프리마 카테고리아(현재 7부 리그)로의 승격과 강등을 포함하는 새 규정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이 규정은 1912년 7월의 연방 연례 회의에서 승인되었고, 이 리그는 상위 리그로의 “승격”이 부여되었기 때문에 이름이 프로모치오네로 바뀌게 되었다. 프로모치오네는 1921–22 시즌까지 FIGC 대회에서 열렸으며, 이후 리그 체계가 3단계에서 4단계로 확장되면서 변경되었다.
1922년에도 프로모치오네는 여전히 최고 지역 리그였으며, 새로운 규정이 그 지위를 바꾸지 않았다. 다만 테르차 디비지오네(3부 리그)가 프로모치오네를 대신하게 되었고, 그 결과 1948–49 시즌까지는 더 이상 프로모치오네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대회가 없었다.
1948년, 3부 리그인 세리에 C는 팀 수가 너무 많아 축소될 필요가 있었다. 북부, 중부, 남부 세 개의 광역 리그로 운영되던 세리에 C에서 많은 팀들이 지역 리그로 강등되라는 요청을 받았고, 이에 반발해 세리에 C와 지역 최상위 리그인 프리마 디비지오네 사이에 또 다른 리그가 신설되었다. 이 리그는 프로모치오네(후원 리그)라 불렸으며, 1951–52 시즌까지 운영되다가 지역 최상위 리그로 강등되면서 이름이 프로모치오네 레조날레(Promozione Regionale, 지역 후원 리그)로 바뀌었다.
프로모치오네 레조날레는 1957–58 시즌 초에 캄피오나토 나치오날레 딜레탄티(Campionato Nazionale Dilettanti, 전국 아마추어 선수권)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2년간 유지되었다. 이후 아마추어 리그 규정이 정비되고 1959년 레가 나치오날레 딜레탄티가 출범하면서 이 리그는 프리마 카테고리아로 개칭되었다.
1967년 롬바르디아 지역 위원회에서 새로운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이는 프리마 카테고리아를 구성하는 구역을 줄이고 최상위 아마추어 리그(현재의 에첼렌차)를 도입하는 것이었다. FIGC는 다시 이 최상위 지역 리그에 옛 이름인 프로모치오네를 부여했다. 이 리그는 현재 지역 아마추어 리그의 2부 리그이며, 1991–92 시즌 초부터 이 체계가 적용되었다.
2014–2015 시즌 개편에서 레가 프로가 개편되어 레가 프로 프리마 디비시오네와 레가 프로 세콘다 디비지오네가 통합되고, 세리에 C가 새로운 전국 3부 리그로 복원되었다. 이에 따라 프로모치오네는 전국적으로 6부 리그가 되었지만, 여전히 지역 차원에서는 두 번째로 높은 대회로 남아 있다.
지역별 프로모치오네
[편집]- 프로모치오네 아브루초 – 1개 디비전
- 프로모치오네 풀리아 – 2개 디비전
- 프로모치오네 바실리카타 – 1개 디비전
- 프로모치오네 칼라브리아 – 2개 디비전
- 프로모치오네 캄파니아 – 4개 디비전
- 프로모치오네 에밀리아로마냐 – 4개 디비전
- 프로모치오네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 2개 디비전
- 프로모치오네 라치오 – 4개 디비전
- 프로모치오네 리구리아 – 2개 디비전
- 프로모치오네 롬바르디아 – 6개 디비전
- 프로모치오네 마르케 – 2개 디비전
- 프로모치오네 몰리세 – 1개 디비전
- 프로모치오네 피에몬테-발레다오스타 – 4개 디비전
- 프로모치오네 사르데냐 – 2개 디비전
- 프로모치오네 시칠리아 – 4개 디비전
- 프로모치오네 토스카나 – 3개 디비전
- 프로모치오네 트렌티노알토아디제 – 2개 디비전
- 프로모치오네 움브리아 – 2개 디비전
- 프로모치오네 베네토 – 4개 디비전
각주
[편집]- ↑ “Comitati” [Committees] (이탈리아어). Lega Nazionale Dilettanti. 2015년 4월 2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프로모치오네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