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론에서, 프로베니우스 문제(영어: Frobenius problem)는 주어진 양의 정수들을 더하여 만들 수 없는 가장 큰 양의 정수를 구하는 문제이다. 특정 액면가의 동전들로 나타낼 수 없는 가장 큰 액수를 찾는 것에 비유할 수 있으므로, 동전 문제(영어: coin problem)라고도 부른다. 예를 들어, 3원짜리 동전과 5원 동전을 모아 만들 수 없는 최대 액수는 7원이다. 만약 모든 액면가가 어떤 1보다 큰 정수의 배수라면, 만들 수 있는 액수들 역시 이 정수의 배수이므로, 만들 수 없는 액수가 임의로 크게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만들 수 없는 최대 액수가 존재하려면, 액면가들의 최대 공약수가 1이어야 한다.
이 글에서,
은 음이 아닌 정수의 집합,
는 양의 정수의 집합이다.
일련의 양의 정수
가 주어졌고, 그 최대 공약수가 1이라고 하자 (
). 그렇다면,
의 프로베니우스 수

는 방정식

의 음이 아닌 정수해
가 존재하지 않게 되는 양의 정수
가운데 가장 큰 하나이다. 슈어 정리에 따라, 만약
라면, 이는 항상 존재한다.
프로베니우스 수를 구하는 문제를 프로베니우스 문제라고 한다.
인 임의의 양의 정수
및 양의 정수
에 대하여,

가 이들을 계수로 하는 방정식의 음이 아닌 정수해의 개수라고 하자. 그렇다면 이는 다음과 같이 점근적으로 근사할 수 있다.[1]:301, 정리 11.2.1

이를 슈어 정리(영어: Schur’s theorem)라고 한다. 특히,
가 충분히 크면 방정식의 음이 아닌 정수해가 존재한다. 따라서, 만약 모든
가 2 이상이라면 (1은 해가 아니므로)
가 존재한다.
의 정의에 따라,
는 유리 함수

의 멱급수 전개 속
의 계수이다.

가 다항식
의 서로 다른 근이고,

가 그 중복도라고 하자.
이므로,
이다. 그렇다면,
를 다음과 같이 부분 분수 분해할 수 있다.

이제, 각 부분 분수

의 멱급수 전개에서,
의 계수는 이항 정리에 따라

이므로,

이다. 그런데
이므로,
의 멱급수 전개 속
의 계수
는

을 만족시킨다.
마지막으로,
의 부분 분수 분해 및
에 따라

이다.
프로베니우스 수를 구하는 문제는 NP-난해 문제이다. 그러나 일부 특수한 경우에는 간단한 알고리즘들이 존재한다.
두 양의 서로소 정수
의 프로베니우스 수는 다음과 같다 (
).

- ↑ 華羅庚 (1957). 《數論導引》 (중국어 정체). 베이징: 科學出版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