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켄타
![]() 1880년 부쿠레슈티에서 그리스인 플러친터 요리사 | |
종류 | 파이 |
---|---|
원산지 |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 |
주 재료 | 밀가루와 세모리나 반죽, 치즈, 꿀, 월계수잎 |
플라켄타(라틴어: placenta)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요리로, 여러 층의 반죽 사이에 치즈와 꿀의 혼합물을 넣고 월계수잎으로 향을 낸 다음 구워서 꿀을 덮은 음식이다.[1][2] 이 후식은 아르케스트라토스와 안티파네스의 그리스 시, 그리고 대 카토의 《농업론》과 같은 고전 문헌에서 언급되었다.[2] 바클라바와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3][1]
어원
[편집]라틴어 플라켄타(placenta)는 그리스어 플라쿠스(고대 그리스어: πλακοῦς, 소유격 πλακοῦντος 플라쿤토스, πλακόεις 플라코에이스에서 유래, "평평한")에서 파생되었으며, 얇거나 층이 있는 평평한 빵을 의미한다.[4][5][6]
포유류 임신 시의 태반(placenta)은 그 모양과 플라켄타 케이크의 모양 사이의 유사성에서 이름이 붙여졌다.
역사
[편집]대부분 플라켄타, 그리고 이와 비슷한 바클라바는 고대 그리스의 조리법에서 파생되었다고 주장한다.[7][8] 기원전 800년경에 쓰인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는 호두와 꿀로 달게 한 얇은 빵을 언급하고 있다.[9] 기원전 5세기에 필록세노스는 그의 시 〈만찬〉에서 식사의 마지막 음주 과정에서 주인들이 우유와 꿀로 만든 치즈케이크를 파이 형태로 구워 대접했다고 기술하고 있다.[10]
플라쿠스를 후식(또는 2차 식탁 진미)으로 언급한 초기 그리스어 문헌은 아르케스트라토스의 시에서 나온다. 그는 플라쿠스를 견과류와 말린 과일과 함께 제공되는 것으로 묘사하고, 꿀에 흠뻑 젖은 아테네 버전의 플라쿠스를 칭찬했다.[2]
아르케스트라토스의 동시대인 안티파네스(기원전 4세기 활동)는 밀가루와 염소 치즈를 주 재료로 한 플라쿠스에 대해 화려한 설명을 달았다.[2][11]
갈색 벌의 흐름과 우는 암염소의 응고된 강이 섞여, 데메테르의 처녀 딸의 평평한 용기 위에 놓인 [꿀, 치즈, 밀가루], 1만 가지의 섬세한 토핑들로 기뻐하는 – 아니면 그냥 플라쿠스라고 할까? 나는 플라쿠스를 선호한다(아테나이오스가 인용한 안티파네스).
이후 기원전 160년에 대 카토는 그의 《농업론》에서 플라켄타의 조리법을 썼는데, 앤드류 달비는 카토의 다른 후식 조리법과 함께 이를 "그리스 전통"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며, 아마도 그리스 요리책을 베껴온 것이라고 생각한다.[2][12]
플라켄타를 다음과 같이 형성하라: 기본 반죽의 전체 길이를 따라 단일 열의 트락타를 배치한다. 그런 다음 이것은 절구에서 나온 혼합물[치즈와 꿀]로 덮인다. 그 위에 또 다른 열의 트락타를 올리고 모든 치즈와 꿀이 사용될 때까지 계속해서 이렇게 한다. 트락타 층으로 마무리한다... 플라켄타를 오븐에 넣고 미리 데운 뚜껑을 그 위에 놓는다 [...] 준비가 되면 플라켄타 위에 꿀을 붓는다.[13] (대 카토, 《농업론》)[1]
계승
[편집]다수의 현대 학자들은 그레코-로마의 이 후식의 동로마(비잔틴) 후손인 플라쿤타스 테티로메누스("치즈가 든 플라켄타")와 코프토플라쿠스(κοπτοπλακοῦς)가 각각 현대의 티로피타와 바니차의 조상이라고 제안한다.[1][14] 플라켄타(그리스어: πλατσέντα)라는 이름은 오늘날 그리스의 레스보스섬에서 으깬 견과류가 들어간 층층이 페이스트리 잎으로 만들어 구운 다음 꿀을 덮은 바클라바 유형의 후식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15][16] 이 현대의 플라켄타를 위한 반죽은 단순 시럽에 담근 바삭한 페이스트리 반죽의 얇은 잎으로 만들어진다. 반죽에는 우조가 첨가된다.[17][18]
비잔틴 그리스어 플라쿤토스를 통해 이 후식은 아르메니아 요리에 플라긴디, 플라군다, 프가군드 등 모두 "빵과 꿀로 만든 케이크"로 채택되었다.[19] 후자의 용어에서 나중의 아랍어 이름 이플라군(iflaghun)이 비롯되었는데, 이는 중세 아랍 요리책 《우슬라 일라 알-하비브》에서 소아시아 남부에 정착한 킬리키아 아르메니아인들과 이웃한 시리아 북부의 십자군 왕국에 정착한 이들의 특산품으로 언급되고 있다.[19] 따라서 이 요리는 중세에 아르메니아인들을 통해 레반트 지역으로 전해졌을 수 있는데, 많은 아르메니아인들이 중세 아나톨리아에 터키 부족이 처음 등장한 이후 그곳으로 이주했다.[20]
그레코-로마 요리의 다른 변형들은 루마니아의 플러친터(치즈를 포함한 구운 평평한 페이스트리)와 빈의 팔라칭케[2](매우 얇게 만든 크레이프 같은 팬케이크; 발칸, 중부 및 동유럽에서도 흔함) 형태로 현대까지 살아남았다.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Faas 2005, 184–185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Goldstein 2015, "ancient world"
- ↑ 《Traditional Greek Cooking: A Memoir with Recipes》. ISBN 9781859641170.
- ↑ Lewis & Short 1879: placenta.
- ↑ Liddell & Scott 1940: πλακοῦς.
- ↑ Stevenson & Waite 2011, p. 1095, "placenta".
- ↑ Mayer, Caroline E. "Phyllo Facts". Washington Post. 1989. Archived.
- ↑ “The Long, Contested History of Baklava”. 2019년 5월 20일.
- ↑ Mayer, Caroline E. "Phyllo Facts". Washington Post. 1989. Archived.
- ↑ Hoffman, Susanna. The Olive and the Caper. Workman Publishing Company, Inc. ISBN 9781563058486
- ↑ Dalby 1998, p. 155: "Placenta is a Greek word (plakounta, accusative form of plakous 'cake').
- ↑ Dalby 1998, p. 21: "We cannot be so sure why there is a section of recipes for bread and cakes (74-87), recipes in a Greek tradition and perhaps drawing on a Greek cookbook. There is a Possibly Greeks included it from Italians. Cato included them so that the owner and guests might be entertained when visiting the farm; possibly so that proper offerings might be made to the gods; more likely, I believe, so that profitable sales might be made at a neighbouring market."
- ↑ De agri cultura 76
- ↑ Salaman 1986, 184쪽; Vryonis 1971, 482쪽.
- ↑ Τριανταφύλλη, Κική (2015년 10월 17일). “Πλατσέντα, από την Αγία Παρασκευή Λέσβου”. 《bostanistas.gr》. 2020년 2월 7일에 확인함.
- ↑ Γιαννέτσου 2014, p. 161: "Η πλατσέντα είναι σαν τον πλακούντα των αρχαίων Ελλήνων, με ξηρούς καρπούς και μέλι."
- ↑ Αποστολή με Email. “Πλατσέντα, από την Αγία Παρασκευή Λέσβου | Άρθρα | Bostanistas.gr : Ιστορίες για να τρεφόμαστε διαφορετικά”. 《Bostanistas.gr》. 2017년 1월 28일에 확인함.
- ↑ Λούβαρη-Γιαννέτσου, Βασιλεία (2014). 〈Πλατσέντα ή γλυκόπιτα〉. 《Τα Σαρακοστιανά 50 συνταγές για τη Σαρακοστή και τις γιορτές》 [Lent foods: 50 recipes for Lent and the holidays].
- ↑ 가 나 Perry 2001, 143쪽.
- ↑ Bozoyan 2008, 68쪽.
참고문헌
[편집]- Bozoyan, Azat A. (2008). 〈Armenian Political Revival in Cilicia〉. Hovannisian, Richard G.; Payaslian, Simon. 《Armenian Cilicia》. UCLA Armenian History and Culture Series. Costa Mesa, CA: Mazda Publishers. 67–78쪽. ISBN 978-1568591544.
- Dalby, Andrew (1998). 《Cato. On Farming (De Agricultura). A Modern Translation with Commentary》. Totnes: Prospect.
- Faas, Patrick (2005). 《Around the Roman Table: Food and Feasting in Ancient Rome》.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0226233472.
- Γιαννέτσου, Βασιλεία Λούβαρη (2014). 《Τα Σαρακοστιανά: 50 συνταγές για τη Σαρακοστή και τις γιορτές της από τη MAMAVASSO》. Georges Yannetsos.
- Goldstein, Darra, 편집. (2015). 《The Oxford Companion to Sugar and Sweet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313396.
- Lewis, Charlton T.; Short, Charles (1879). 《A Latin Dictionary》. Oxford: Clarendon Press.
- Liddell, Henry George; Scott, Robert (1940). 《A Greek-English Lexicon》. Oxford: Clarendon Press.
- Perry, Charles (2001). 〈Studies in Arabic Manuscripts〉. Rodinson, Maxime; Arberry, Arthur John. 《Medieval Arab Cookery》. Totnes: Prospect Books. 91–163쪽. ISBN 0907325912.
- Salaman, Rena (1986). 〈The Case of the Missing Fish, or Dolmathon Prolegomena (1984)〉. Davidson, Alan. 《Oxford Symposium on Food & Cookery 1984 & 1985, Cookery: Science, Lore and Books Proceedings》. London: Prospect Books Limited. 184–187쪽. ISBN 9780907325161.
- Stevenson, Angus; Waite, Maurice, 편집. (2011). 《Concise Oxford English Dictionary: Luxury Edi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601110.
- Vryonis, Speros (1971). 《The Decline of Medieval Hellenism in Asia Minor and the Process of Islamization from the Eleventh through the Fifteenth Century》.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01597-5.
외부 링크
[편집]- “American Pie”. 《American Heritage》. 2006년 4월~5월. 2009년 7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7월 4일에 확인함.
The Romans refined the recipe, developing a delicacy known as placenta, a sheet of fine flour topped with cheese and honey and flavored with bay lea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