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 마할
| 하와 마할 | |
|---|---|
Hawa Mahal | |
하와 마할의 동쪽 외관 (2022년) | |
| 기본 정보 | |
| 위치 | 인도 라자스탄주 자이푸르 |
| 좌표 | 북위 26° 55′ 26″ 동경 75° 49′ 36″ / 북위 26.9239° 동경 75.8267° |
| 상태 | 사용 중 |
| 완공 | 1799년 |
| 건축 정보 | |
| 건축가 | 랄 찬드 우스타드 |
| 건축주 | 프라타프 싱 |
![]() | |
하와 마할(영어: Hawa Mahal)은 인도 라자스탄주 자이푸르시에 위치한 궁전이다. 1799년 마하라자 사와이 프라타프 싱이 지었으며, 적색과 분홍색 사암으로 지어진 것이 특징으로, 수많은 창과 발코니로 뒤덮여 벌집을 연상시킨다.[1] '바람의 궁전' (Palace of winds)라는 별명으로도 알려져 있다.[2]
거리에서 바라볼 때 마주하는 하와 마할의 아름다운 외관을 두고 흔히 건물의 정면이라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 입구는 반대쪽에 있기에 건물의 후면에 해당된다.[3] 자이푸르 황궁의 한쪽 구역에 자리해 '제나나'(Zenana)라고 부르는 여성용 생활공간 (규방)까지 이어져 있다. 자이푸르 황궁에는 하와 마할 외에도 이 궁전과 맥락을 같이 하는 석조물과 소형창, 아치 구조물 등이 있으며, 정교하게 조각된 처마장식 등도 건축적인 볼거리로 꼽힌다.
역사
[편집]1799년 마하라자 사와이(위대한 통치자)로 불리던 프라타프 싱 (Pratap Singh)이 지었다. 프라타프 싱은 자이푸르시를 건립한 마하라자 사와이 자이 싱 (Jai Singh)의 손자이기도 했다.[4] 프라타프 싱은 겨울궁전이었던 케트리 마할 (Khetri Mahal)의 독특한 건축에서 큰 인상을 받고 장대하고 역사적인 궁전을 세우기로 마음먹은 것이 건설 계기로 전해진다.
하와 마할의 설계는 랄 찬드 우스타드 (Lal Chand Ustad)가 맡았으며, 5층 높이의 규모에 총 953개의 창이 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 창과 테라스는 '자로카' (Jharokha)라고 부르는데, 각 창마다 정교한 격자세공으로 장식되어 벌집과 유사한 외관을 이루고 있다.[5] 격자세공을 단 것은 왕실의 여인들이 자신의 모습을 노출하지 않고도 건물 아래쪽 거리에서 펼쳐지는 일상과 축제 풍경을 엿볼 수 있기 위함이었다. 또 한편으로 작은 구멍으로 시원한 공기가 들어오는 벤투리 효과를 이용해 여름철의 고온에도 건물 내부가 쾌적할 수 있도록 만드는 효과도 있었다.[5][6][7]
2006년 대대적인 복원공사가 50년 만에 개시되면서 건물 전체에 새단장이 이루어졌다. 복원에 들어간 추정예산은 456만 8천 루피에 달했다.[8] 현지 민간기업이 자이푸르의 역사적 문화유산 보존에 힘을 보탰으며, 본격적인 유지관리는 유닛 트러스트 오브 인디아 (Unit Trust of India)가 맡았다.[9] 오늘날 하와 마할은 라자스탄주 정부 고고학부에서 유지보수를 전담하고 있다.[10]
건축
[편집]
하와 마할은 15m 높이의 5층 규모로 지어졌으며, 전체적으로 윗부분이 단차를 거듭 이루는 피라미드형 구조를 이루고 있다. 맨 위 3층은 1개실 너비로 되어 있으며 그 밑의 2층은 앞쪽에 파티오 (안뜰)이 있다. 하와 마할의 꼭대기 2층은 경사로를 통해서만 올라갈 수 있다.
거리에서 본 궁전의 외형은 작은 창구멍이 나 있어 벌집을 연상시킨다. 각각의 창구멍에는 소형 유리창과 창살 조각, 첨탑장식, 돔 구조 등이 덧대어 장식되어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반팔각형의 칸막이가 겹겹이 모여 독특한 외관을 형성하고 있다. 흔히 알려진 외관의 반대쪽, 즉 내부면의 외관은 기둥과 복도로 된 구조가 주를 이루며, 장식은 최상층까지 최소화되어 있는 모습이다. 궁전의 내부는 다양한 색상의 대리석으로 마감한 여러 방으로 구성되며, 안뜰 중앙에는 분수로 장식되어 있다.[11][12]
하와 마할의 재질은 적색과 분홍색 사암이 주를 이루는데, 자이푸르 시내의 다른 건축 양식과 색채적 조화를 이루며 이른바 '핑크 시티'라 불리우는 도시의 별명을 완벽히 대변하고 있다. 총 953개의 창과 발코니는 자로카 (Jharokha)라 하여 정교한 조각을 새긴 벽감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비교적 단순해 보이는 건물의 반대편 외관과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하와 마할은 힌두계 라지푸트 건축과 이슬람계 무굴 건축이 한데 어우러져 있는 문화적, 건축적 유산으로 평가되는데, 라지푸트 건축 양식은 돔형 캐노피, 홈 파인 기둥, 연꽃무늬와 꽃무늬 등에서 드러나며, 이슬람 건축 양식은 석제 상감세공과 아치 구조에서 뚜렷히 나타난다. 후자의 경우 파테푸르 시크리의 판치 마할 (Panch Maha)에서도 찾아볼 수는 있으나 그 세부적 특징은 고유한 차이가 있다.[13]
하와 마할은 시티 팰리스 쪽에서 황궁문을 거쳐 들어갈 수 있다. 황궁문을 지나면 넓은 중정이 나오는데, 중정의 3면에는 2층 건물이, 나머지 한 면에 하와 마할이 배치된 구조이다. 이 중정에는 오늘날 고고학 박물관이 자리잡고 있다.[10]
하와 마할은 마하라자 프라타프 싱의 걸작으로도 평가되는데, 이는 궁전 자체의 우아한 외관과 내부 구조에 이끌려 본인이 휴양처로 자주 찾던 곳이기 때문이다. 정면의 소형창으로 바람이 새어 들어와 냉각 효과를 일으키고, 각 방의 중앙에 분수를 설치하여 더욱 시원한 내부환경을 형성하였기에 피서에 제격이었다.[14]
사진
[편집]-
하와 마할 내부에서 바라본 후면부의 모습
-
후면부의 모습. 상위 2개층만 정면부의 외형 장식을 유지하고 있다.
-
궁전 내부의 색조유리 장식. 햇빛이 들어오면 방 전체가 화려한 색상으로 가득 찬다.
-
건물 내부 창구멍을 통해 바라본 뒷쪽 중정의 풍경
-
흐린 날 오후의 동쪽 면 상층부
-
하와 마할의 전경
-
동쪽면의 세부
-
중정의 분수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jaanekyadikhjaaye.com, jaanekyadikhjaaye (2024년 4월 24일). “Jaipur - The Pink Pearl Of Rajasthan” (영어). 《Jaane Kya Dikh Jaaye》. 2024년 8월 1일에 확인함.
- ↑ 《World History, Volume I》.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477쪽. ISBN 978-0-495-56902-2. 2025년 2월 21일에 확인함.
The Palace of the Winds at Jaipur. Built by the maharaja of Jaipur in 1799, this imposing building, part of a palace complex, is today actually only a facade.
- ↑ pareek, Amit Kumar Pareek and Agam Kumar. “Hawa Mahal the crown of Jaipur”. 《amerjaipur.in》. 2017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3월 3일에 확인함.
- ↑ “About Hawa Mahal | Hawa Mahal” (영국 영어). 2019년 7월 4일에 확인함.
- ↑ 가 나 Rai, Vinay; William L. Simon (2007). 《Think India: the rise of the world's next superpower and what it means for every American》. Dutton. 194쪽. ISBN 978-0-525-95020-2. 2009년 12월 6일에 확인함.
Hawa Mahal.
- ↑ “Hawa Mahal”. 2021년 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6일에 확인함.
- ↑ “Jaipur, the Pink City”. 2009년 12월 6일에 확인함.
- ↑ “Restoration of Hawa Mahal in Jaipur”. Snoop News. 22 March 2005. 17 July 2011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0 December 2009에 확인함.
- ↑ “INTACH Virasat” (PDF). 《Jaipur》. Intach.org. 13쪽. 2009년 11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 가 나 “Hawa Mahal”. 29 January 2010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0 December 2009에 확인함.
- ↑ “Hawa Mahal – Jaipur”. 9 December 2009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7 December 2009에 확인함.
- ↑ Sitwell, Sacheverell (1962). 《The red chapels of Banteai Srei: and temples in Cambodia, India, Siam, and Nepal》. Weidenfeld and Nicolson. 174쪽. ISBN 9789020073201. 2009년 12월 7일에 확인함.
- ↑ “Hawa Mahal of Jaipur in Rajasthan, India”. 2009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7일에 확인함.
- ↑ Rousselet, Louis; Charles Randolph Buckle (2005). 《India and its native princes: travels in Central India and in the presidencies of Bombay and Bengal》. Asian Educational Services. 228쪽. ISBN 81-206-1887-4. 2009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Tillotson, G.H.R (1987). 《The Rajput Palaces - The Development of an Architectural Style》 Fir판 (Hardback).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ISBN 0-300-03738-4.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하와 마할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Interesting facts About Hawa Mahal
- Rajasthan Tourism | Hawa Mah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