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폴리텍대학 광명융합기술교육원 3D제품설계과
보이기
한국폴리텍대학 광명융합기술교육원 3D제품설계과는 한국폴리텍대학(고용노동부 산하 국책 직업교육대학)이 2020년 개원한 광명융합기술교육원 내에 설치된 학과이다. 전문대학 졸업(예정) 이상의 미취업 청년을 대상으로 전액 국비 지원 직업교육을 제공하며,[1] 제품개발 과정의 기구설계(mechanism design)와 3D CAD 기반 제품설계 실무 교육을 중심으로 한다.교육과정에는 2D·3D CAD, 3D 프린팅, 시제품 제작 및 산업체 협업 프로젝트 등이 포함된다.
개요
[편집]광명융합기술교육원은 2020년 개원했으며, 수도권 산업체 수요를 반영한 도심형 직업교육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2][3]
교육과정
[편집]과정은 기초 CAD, 3D 모델링·도면화, 시제품 제작(3D 프린팅), 산학 프로젝트 등 모듈식 단계로 운영된다. 교육원은 전용 실습실과 3D CAD(NX), 3D 프린터, 워크스테이션 등을 갖추고 있다.[4]
취업
[편집]학과는 최근 2년 평균 취업률 97.2%, 유지취업률 96.9%를 공시하고 있으며, 출처로 고용노동부 『고용보험백서(2024)』와 한국폴리텍대학 자체 집계를 제시하고 있다.[5] 인천일보는 해당 교육원이 도심형 캠퍼스로서 청년층 하이테크 취업을 선도하고 있다고 보도하였다.[6]
수상
[편집]3D제품설계과 학생팀은 여러 전국 단위 경진대회에서 성과를 거두었다.
- 한이음 ICT멘토링 공모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 : 2023년 금상(과기정통부 장관상)·동상 등 수상.[7]
- 벤처창업 아이템 경진대회(한국폴리텍 주최) : 2023년 금상·동상, 2022년에도 수상.[8][9]
같이 보기
[편집]외부 링크
[편집]각주
[편집]- ↑ “3D제품설계과 학과소개”. 한국폴리텍대학 광명융합기술교육원. 2025년 9월 16일에 확인함.
- ↑ “내년 3월 본격 가동… 하이테크 인재 양성 ‘광명 융합기술교육원’”. 서울신문. 2020년 11월 12일. 2025년 9월 16일에 확인함.
- ↑ “고학력 청년 하이테크 취업 선도… 광명융합기술교육원 ‘도심형 캠퍼스’ 역할”. 인천일보. 2024년 2월 19일. 2025년 9월 16일에 확인함.
- ↑ “3D제품설계과 교육과정 및 실습 장비”. 한국폴리텍대학 광명융합기술교육원. 2025년 9월 16일에 확인함.
- ↑ “성과 지표(취업률/유지취업률)”. 한국폴리텍대학 광명융합기술교육원. 2025년 9월 16일에 확인함.
- ↑ “고학력 청년 하이테크 취업 선도… 광명융합기술교육원 ‘도심형 캠퍼스’ 역할”. 인천일보. 2024년 2월 19일. 2025년 9월 16일에 확인함.
- ↑ “한국폴리텍 광명융합기술교육원, ICT멘토링 공모전 금상 등 수상”. KPE뉴스. 2023년 12월 8일. 2025년 9월 16일에 확인함.
- ↑ “광명융합기술교육원, 벤처창업아이템경진대회 2년 연속 수상”. KPE뉴스. 2023년 11월 3일. 2025년 9월 16일에 확인함.
- ↑ “광명융합기술교육원, 창업아이템 경진대회 성과”. 우리일보. 2022년 11월 13일. 2025년 9월 1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