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해동명신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은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 김육(金堉)이 저술한 책이다. 전9권 9책.

개설

[편집]

명신록(名臣錄)은 한 인물의 사적을 도입부(소전)-사적부-평결부로 나누어 기존 자료에서 해당 인물과 관련된 기록을 발췌하고 수록한 차기류 작품이다.[1]

《잠곡집》에 실린 김육의 연보에는 효종(孝宗) 3년인 임진년(1652년)에 《해동명신록》을 저술하기 시작하였다고 하여, 김육이 《해동명신록》의 편찬자임은 틀림없지만, 서문이나 발문이 없고 권별로 수록된 인물의 성격을 알 수 있는 어떤 내용으로 항목명을 부여하거나 하지 않아서, 정확한 편찬 시기나 간행 여부, 김육 본인이 이 책을 편찬한 목적이나 편찬 방침이 어떤 것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한국고전적종합목록에는 현전하는 《해동명신록》의 목판본이 다수 전하고 있어서 1652년 이후 김육 생전인 1658년 이전에 9권 9책으로 편찬을 완료하였고 이후 가까운 시기에 목판본으로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간본

[편집]

《해동명신록》은 전체 9권 9책으로, 완질은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도서관에 소장된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모두 낱권으로 전해지고 있다. 전체 판본의 판사항을 보면, 반엽광곽(半葉匡郭) 21×15cm, 유계(有界), 10행(行) 20자(字), 상하내향세화문어미(上下內向細花紋魚尾)의 형태를 크게 벗어나지 않아서 모두 동일한 판본일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2]

내용

[편집]

《해동명신록》의 전체 9권 9책에는 모두 302명(실제로는 299명)의 인물이 수록되어 있다. 권1에 신라 시대의 설총과 최치원, 고려 시대의 최충, 안유, 정몽주, 길재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조선 시대 인물로 구성되어 있다.

《해동명신록》의 수록인물[3]
수록인물 인물내용
권1(33명) 설총(薛聰) ⋅ 최치원(崔致遠) ⋅ 최충(崔沖) ⋅ 안유(安裕) ⋅ 정몽주(鄭夢周) ⋅ 길재(吉再) ⋅ 김숙자(金叔滋) ⋅ 김종직(金宗直) ⋅ 김굉필(金宏弼) ⋅ 정여창(鄭汝昌) ⋅ 조광조(趙光祖) ⋅ 이언적(李彦迪) ⋅ 이황(李滉) ⋅ 이이(李珥) ⋅ 성수침(成守琛) ⋅ 성혼(成渾) ⋅ 서경덕(徐敬德) 유학의 도통을 계승한 도학자
최덕지(崔德之) ⋅ 이맹전(李孟專) ⋅ 김시습(金時習) ⋅ 남효온(南孝溫) ⋅ 경연(慶延) ⋅ 강응정(姜應貞) ⋅ 정희량(鄭希良) ⋅ 이원(李黿) ⋅ 이목(李穆) ⋅ 류우(柳藕) ⋅ 정붕(鄭鵬) ⋅ 박영(朴英) ⋅ 김정(金淨) ⋅ 김구(金絿) ⋅ 한충(韓忠) ⋅ 이자(李耔) 학문적 성과가 뛰어난 학자
권2(33명) 김안국(金安國) ⋅ 김정국(金正國) ⋅ 박훈(朴薰) ⋅ 이연경(李延慶) ⋅ 경세인(慶世仁) ⋅ 김대유(金大有) ⋅ 정완(鄭浣) ⋅ 김인후(金麟厚) ⋅ 송인수(宋麟壽) ⋅ 백인걸(白仁傑) ⋅ 조욱(趙昱) ⋅ 이항(李恒) ⋅ 성운(成運) ⋅ 조식(曺植) ⋅ 성제원(成悌元) ⋅ 정렴(鄭磏) ⋅ 정지운(鄭之雲) ⋅ 홍인우(洪仁祐) ⋅ 이중호(李仲虎) ⋅ 이지함(李之菡) ⋅ 김근공(金謹恭) ⋅ 이몽규(李夢奎) ⋅ 민순(閔純) ⋅ 기대승(奇大升) ⋅ 서기(徐起) ⋅ 이지남(李至男) ⋅ 권춘란(權春蘭) ⋅ 정구(鄭逑) ⋅ 조호익(曺好益) ⋅ 김장생(金長生) ⋅ 성로(成輅) ⋅ 최명룡(崔命龍) ⋅ 문위(文緯) 학문적 성과가 뛰어난 학자
권3(40~42명) 심덕부(沈德符) ⋅ 조인옥(趙仁沃) ⋅ 조연(趙涓) ⋅ 민제(閔霽) ⋅ 하륜(河崙) ⋅ 성석린(成石燐) ⋅ 권근(權近) ⋅ 류관(柳觀) ⋅ 류정현(柳廷顯) ⋅ 이원(李原) ⋅ 황희(黃喜) ⋅ 황수신(黃守身) ⋅ 맹사성(孟思誠) ⋅ 노한(盧閈) ⋅ 노사신(盧思愼) ⋅ 노공필(盧公弼) ⋅ 허조(許稠) ⋅ 하연(河演) ⋅ 박안신(朴安信) ⋅ 박이창(朴以昌) ⋅ 강석덕(姜碩德) ⋅ 어변갑(魚變甲) ⋅ 어효첨(魚孝膽) ⋅ 어세겸(魚世謙) ⋅ 어세공(魚世恭) ⋅ 권홍(權弘) ⋅ 윤상(尹祥) ⋅ (김구 ⋅ 김반 ⋅ 김말)[주 1]윤회(尹淮) ⋅ 신석조(辛碩祖) ⋅ 남지(南智) ⋅ 최치운(崔致雲) ⋅ 기건(奇虔) ⋅ 박연(朴堧) ⋅ 김종서(金宗瑞) ⋅ 정분(鄭苯) ⋅ 박팽년(朴彭年) ⋅ 성삼문(成三問) ⋅ 하위지(河緯地) ⋅ 류성원(柳誠源) 조선 초기 문신
권4(40~41명) 정인지(鄭麟趾) ⋅ 한확(韓確) ⋅ 신숙주(申叔舟) ⋅ (권람남이)[주 2]한명회(韓明澮) ⋅ 구치관(具致寬) ⋅ 박원형(朴元亨) ⋅ 정갑손(鄭甲孫) ⋅ 최항(崔恒) ⋅ 윤자운(尹子雲) ⋅ 정척(鄭陟) ⋅ 정성근(鄭誠謹) ⋅ 이석형(李石亨) ⋅ 양성지(梁誠之) ⋅ 이예(李芮) ⋅ 김수온(金守溫) ⋅ 홍일동(洪逸童) ⋅ 서거정(徐居正) ⋅ 성임(成任) ⋅ 성간(成侃) ⋅ 성현(成俔) ⋅ 성세창(成世昌) ⋅ 윤필상(尹弼商) ⋅ 이파(李坡) ⋅ 손순효(孫舜孝) ⋅ 윤효손(尹孝孫) ⋅ 정난종(鄭蘭宗) ⋅ 이변(李邊) ⋅ 허성(許誠) ⋅ 이극배(李克培) ⋅ 허종(許琮) ⋅ 성준(成俊) ⋅ 홍귀달(洪貴達) ⋅ 이륙(李陸) ⋅ 채수(蔡壽) ⋅ 유호인(兪好仁) ⋅ 조위(曺偉) ⋅ 조지서(趙之瑞) ⋅ 권달수(權達手) ⋅ 박은(朴誾) 세종~성종대 문신
권5(40~41명) 김수동(金壽童) ⋅ 류순(柳洵) ⋅ 류순정(柳順汀) ⋅ 성희안(成希顔) ⋅ 안침(安琛) ⋅ 이손(李蓀) ⋅ 이집(李諿) ⋅ 신용개(申用漑) ⋅ 정광필(鄭光弼) ⋅ 안당(安塘) ⋅ 성세순(成世純) ⋅ 임유겸(任由謙) ⋅ 임추(任樞) ⋅ 임권(任權) ⋅ 임호신(任虎臣) ⋅ 조원기(趙元紀) ⋅ 성몽정(成夢井) ⋅ 이계맹(李繼孟) ⋅ 이현보(李賢輔) ⋅ 이사균(李思鈞) ⋅ 박상(朴祥) ⋅ 허굉(許硡) ⋅ 권발(權橃) ⋅ 홍언필(洪彦弼) ⋅ 홍섬(洪暹) ⋅ 소세양(蘇世讓) ⋅ 채세영(蔡世英) ⋅ 신광한(申光漢) ⋅ 박소(朴紹) ⋅ 심연원(沈連源) ⋅ 심봉원(沈逢源) ⋅ 조광원(曺光遠) ⋅ 장필무(張弼武) 중종~명종대 문신
권6(34명) 상진(尙震) ⋅ 정옥형(丁玉亨) ⋅ 정희등(鄭希登) ⋅ 박광우(朴光佑) ⋅ 임억령(林億齡) ⋅ 김란상(金鸞祥) ⋅ 류희춘(柳希春) ⋅ 이담(李湛) ⋅ 민기문(閔起文) ⋅ 송희규(宋希奎) ⋅ 이윤경(李潤慶) ⋅ 이준경(李浚慶) ⋅ 송현(安玹) ⋅ 조언수(趙彦秀) ⋅ 이택(李澤) ⋅ 오겸(吳謙) ⋅ 민기(閔箕) ⋅ 이탁(李鐸) ⋅ 박순(朴淳) ⋅ 暗室先生自銘(盧守愼) ⋅ 정유길(鄭惟吉) ⋅ 정종영(鄭宗榮) ⋅ 류성룡(柳成龍) ⋅ 김계휘(金繼輝) ⋅ 이제신(李濟臣) ⋅ 윤두수(尹斗壽) ⋅ 윤근수(尹根壽) ⋅ 노신(盧禛) ⋅ 홍성민(洪聖民) ⋅ 이산보(李山甫) ⋅ 구사맹(具思孟) ⋅ 구성(具宬) ⋅ 이해수(李海壽) ⋅ 권율(權慄) 명종~선조대 문신
권7(26명) 이항복(李恒福) ⋅ 이덕형(李德馨) ⋅ 이원익(李元翼) ⋅ 고경명(高敬命) ⋅ 조헌(趙憲) ⋅ 김천일(金千鎰) ⋅ 김성일(金誠一) ⋅ 이정암(李廷馣) ⋅ 송상현(宋象賢) ⋅ 김여물(金汝岉) ⋅ 김정란(金廷鸞) ⋅ 김권(金權) 선조~인조대의 의병장, 문신
이호민(李好閔) ⋅ 홍이상(洪履祥) ⋅ 오억령(吳億齡) ⋅ 장운익(張雲翼) ⋅ 장유(張維) ⋅ 나급(羅級) ⋅ 배삼익(裵三益) ⋅ 윤기(尹祁) ⋅ 박동현(朴東賢) ⋅ 박동량(朴東亮) ⋅ 이직언(李直彦) ⋅ 한준겸(韓浚謙) ⋅ 이수광(李晬光) ⋅ 강찬(姜燦) 선조~인조대의 문신
권8(23명) 신흠(申欽) ⋅ 신익성(申翊聖) ⋅ 이정구(李廷龜) ⋅ 서성(徐渻) ⋅ 황신(黃愼) ⋅ 오윤겸(吳允謙) ⋅ 정엽(鄭曄) ⋅ 김상용(金尙容) ⋅ 이춘원(李春元) ⋅ 이상길(李尙吉) ⋅ 김류(金瑬) ⋅ 이귀(李貴) ⋅ 이홍주(李弘冑) ⋅ 이시발(李時發) ⋅ 장만(張晩) ⋅ 정홍익(鄭弘翼) ⋅ 정온(鄭蘊) ⋅ 임숙영(任叔英) ⋅ 민성휘(閔聖徽) ⋅ 윤계(尹棨) ⋅ 이시직(李時稷) ⋅ 심현(沈誢) ⋅ 홍명구(洪命耉) 선조~인조대의 문신
권9(37명) 영순군(永順君) ⋅ 주계군(朱溪君) ⋅ 수천부정(秀泉副正) ⋅ 명양정(鳴陽正) ⋅ 무풍정(茂豐正) ⋅ 파릉군(巴陵君) ⋅ 장성수(長城守) ⋅ 숭선정(嵩善正) ⋅ 시산정(詩山正) ⋅ 순천군(順川君) ⋅ 절신군(節愼君) ⋅ 구천군(龜川君) 종실
최윤덕(崔潤德) ⋅ 이종무(李從茂) ⋅ 이종생(李從生) ⋅ 어유소(魚有沼) ⋅ 유응부(兪應孚) ⋅ 이덕량(李德良) ⋅ 박원종(朴元宗) ⋅ 장언량(張彦良) ⋅ 우맹선(禹孟善) ⋅ 신립(申翌) ⋅ 변협(邊協) ⋅ 이순신(李舜臣) ⋅ 원호(元豪) ⋅ 곽재우(郭再祐) ⋅ 유극량(劉克良) ⋅ 황진(黃進) ⋅ 김덕령(金德齡) ⋅ 김응하(金應河) ⋅ 류행(柳珩) ⋅ 이서(李曙) ⋅ 신경진(申景禛) ⋅ 김량언(金良彦) ⋅ 이희건(李希建) ⋅ 정충신(鄭忠臣) ⋅ 최진립(崔震立) 국난에 충의를 발휘한 무신

인물에 대한 서술 내용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양식으로, 각 인물의 초명, 자, 호, 본관, 간단한 가계, 과제, 관력, 졸년 및 향년, 배향, 증시, 사후의 추존 사실 등을 도입부에 기본적으로 기재하였다. 그리고 인물의 인품을 알 수 있는 언행과 선행, 그가 이룬 업적, 색다른 일화, 인물에 대한 평가 등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서술하는 도중에 내용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는 동그라미 권점을 표기하고 서술하였다. 인물에 대해 수록한 내용은 여러 자료에서 초출하여 구성했지만 출처를 따로 적어 두지는 않았다.

《해동명신록》에는 권별로 수록된 인물들의 성격을 알 수 있는 어떤 항목명을 부여하거나 하지 않았지만, 대체적으로 권1의 서두에 수록된 인물들은 문묘에 배향된 인물들로 성리학의 이른바 '도통'을 이루는 것으로 여겨진 인물들로, 여기에 이이나 성수침, 성혼, 서경덕 등 서인 인물들까지 서술하여 서인의 도통론을 따르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4] 서경덕까지 서술한 뒤에 다시 조선 초기 인물인 최덕지와 이맹전을 시작으로 조선 초기부터 중종대에 걸쳐 활동한 인물들을 수록하였다. 권2에는 김안국(金安國) ⋅ 김정국(金正國) 형제로부터 문위(文緯)까지 수록하였는데, 고위 관료를 지낸 인물보다는 학문적 성과가 뛰어난 학자들을 중심으로 수록하고 있어서, 김육이 '도통'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성리학자들을 평가하였다는 것과 고위 관료를 지낸 정치인보다는 성리학자를 높이 평가하여 '명신'으로 인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김육 자신이 고조할아버지 김식으로부터 연유한 '기묘사림'의 학맥을 계승한 가학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이해된다.[5]

평가

[편집]

정조는 《해동명신록》의 체제를 본따, 책에 수록된 인물 가운데 191명을 추린 《해동신감》을 저술하기도 하였다.

한편 실학자 이익(李瀷)은 자신의 9대조로 세조 때의 인물인 이계손(李繼孫)이 당대에 함경도 일대를 다스리며 현지에서 명망이 높았음에도 《해동명신록》에 실리지 않은 점이나 명종 때의 문신으로 강직함에 대한 일화를 남긴 윤개(尹漑)가 《해동명신록》에는 실리지 않았음을 지적하며 "문견(聞見)이 넓지 못했던가 보다."[6]라고 비판하였다. 이는 김육이 서인 계통의 인물을 중심으로 기술하고 남인 계통의 인물은 소략하게 수록하였음을 짐작하게 하는 것이다.

각주

[편집]

내용주

[편집]
  1. 김구(金鉤) ⋅ 김반(金泮) ⋅ 김말(金末)은 세 사람의 이름을 한 항목에 두고 함께 서술하였는데, 세 명 모두 경사(經史)에 해박하고 성리학에 심오하였고, 동시에 학관 교수로 뽑혀서 인재를 키우는 데 공이 있어 '삼김'(三金)으로 불렸기에 한 항목에 세 명을 나란히 언급하였다.
  2. 남이는 권람의 사위였는데, 이들을 한 항목으로 함께 기재하여 서술하였다. 한 명씩 구분하여 보면 모두 302인이 된다.

출처주

[편집]
  1. 김영건 (2024). “국조명신언행록의 일고잘”. 《고전과해석》 (43집): 84쪽. 
  2. 우정임 (2016년). “金堉의 海東名臣錄 ⋅ 國朝名臣錄 편찬과 사상적 의미”. 《영남학》 (30): 19쪽. 
  3. 우정임 (2016년). 같은 논문. 《영남학》 (30): 20~21쪽.
  4. 우정임 (2016년). 같은 논문. 《영남학》 (30): 23쪽.
  5. 우정임 (2016년). 같은 논문. 《영남학》 (30): 23~24쪽.
  6. 《성호사설》권19 경사문 '해동명신록'

참고문헌

[편집]
  • 우정임 (2016년). “金堉의 海東名臣錄 ⋅ 國朝名臣錄 편찬과 사상적 의미”. 《영남학》 (30). 
  • 김영건 (2024). “국조명신언행록의 일고잘”. 《고전과해석》 (43집).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