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 교통로

해상 교통로(sea lines of communication, 약칭 SLOC)는 항구 간의 주요 해운 경로를 나타내는 용어로, 무역, 물류 및 해군에 사용된다.[1] 일반적으로 SLOC가 개방되도록 보장하기 위한 해군 작전이나 전쟁 시 이를 폐쇄하기 위해 사용된다. 지정학에서 SLOC의 중요성은 1942년에 출판된 니콜라스 J. 스피크먼의 '미국의 세계 정치 전략'에서 설명되었다.
미국 독립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에서 SLOC는 대부분 영국 해군의 통제하에 있었다. 영국이 혁명 중 통제권을 잃었을 때, 그 결과는 요크타운 전투와 가장 큰 군대의 함락,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전쟁이었다. 나폴레옹 시대 내내 전쟁을 유지하면서 영국은 나폴레옹과 관련된 모든 국가를 금수 조치하고 봉쇄하여 프랑스 국민이 나폴레옹에게 환멸을 느끼게 하는 데 일조한 막대한 경제적 어려움과 혼란을 초래했다.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영국과 독일은 상호 봉쇄를 선언했고 전쟁해군은 잠수함을 사용하여 북아메리카에서 브리튼 제도로 이어지는 SLOC를 폐쇄하려고 시도했다. 두 경우 모두 연합군은 해상 교통로를 개방하는 데 성공했다. 두 경우 모두 독일은 독일에 대한 영국의 해군 봉쇄를 물리치지 못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미국 해군은 일본으로 가는 SLOC를 성공적으로 폐쇄하여 자원 빈곤국인 일본을 질식시켰다.
만약 냉전이 열전으로 변했다면, 유럽은 북아메리카로부터 재보급 및 증원을 필요로 했을 것이다. 소련 해군은 유럽에서 지상 공격을 지원하기 위해 대서양 SLOC를 잠재적으로 위협하고 경쟁할 수 있었을 것이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Global commerce and sea lines of communication in the Indian Ocean: A Sri Lankan perspective”. 《데일리 FT》. 2019년 4월 10일. 2020년 9월 23일에 확인함.
더 읽어보기
[편집]- Mahan, Alfred Thayer (1890). 《해양력이 역사에 미치는 영향: 1660–1783》.
위키문헌에 The Influence of Sea Power upon History 전문이 있습니다.
- Phelan, George R. (1954). 《Sea Power and Strategies for the Control of the Seas》. 《Naval War College Review》 6. 15–37쪽. ISSN 0028-1484. JSTOR 45104663.
- Underwood, G.L. (1981). 《Soviet Threat to the Atlantic Sea Lines of Communication: Lessons Learned from the German Capture of Norway in 1940》. 《Naval War College Review》 34. 43–47쪽. ISSN 0028-1484. JSTOR 44642156.
- Noer, John Halvard (1996). 《Southeast Asian Chokepoints: Keeping Sea Lines of Communication Open》 (영어). National Defense University, Institute for National Strategic Studies.
- Peele, Reynolds B. (1997년 4월 7일). 《Maritime Chokepoints: Key Sea Lines of Communication (SLOCs) and Strategy》 (영어). 《Homeland Security Digital Library》 (Army War College (U.S.)).
- Claxton, Karl (2014년 2월 20일). “China's sea lines of communication—implications for the South Pacific?”. 《The Strategist》.
- Kim, Meoung-Sung (2015). 《Sea Lines of Communication Security and Piracy》. 《Strategy21》 36. 150–179쪽. doi:10.22803/strategy21.2015.s36.150. ISSN 1226-9212.
- 《The Future of Sea Lane Security Between the Middle East and Southeast Asia》 (PDF), 에너지 연구소, 채텀 하우스, 2015년 6월 24일
- Andrews-Speed, Philip; Len, Christopher (February 2016), 《The Future of the US Security Umbrella for Sea Lines of Communication (SLOCs) between the Middle East and Southeast Asia, and the Future Role of China》 (PDF), Singapore: Energy Studies Institute
- Mubarok, Achmad Romadon; Putra, Agung Tri (2017), 《Protection of ASEAN Sea Lines of Communication in Maritime Perspective》, 6th ICADA 2017 — SSIS
- Rimland, Benjamin (2017년 7월 25일). “Japan's Maritime Strategy and the Dynamics of Denial”. Tokyo Review.
- Tarapore, Arzan (2021년 2월 9일). “India should prioritise a denial strategy in the Indian Ocean” (영어). 《The Interpreter》 (Lowy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