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핵티비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나키스트 해커들

핵티비즘(hacktivism, hactivism)은 해킹활동주의를 결합한 혼성어로, 정치적 의제사회 변천을 촉진하기 위해 해킹과 같은 컴퓨터 기반 기술을 시민 불복종의 한 형태로 사용하는 운동이다.[1][2] 해커 문화해커 윤리에 뿌리를 둔 인터넷 활동주의의 한 형태로, 그 목적은 종종 표현의 자유, 인권 또는 정보의 자유 운동과 관련이 있다.[3]

핵티비스트 활동은 다양한 정치적 이념과 쟁점을 포함한다. 하이퍼넷은 검열 저항 통신을 위한 피어 투 피어 플랫폼으로, 정치적 사고표현의 자유를 코드로 구현한 대표적인 예시다. 활동주의의 한 형태로서 해킹은 개별 사회 운동가에 의해 수행되거나, 어나니머스위키리크스처럼 overarching 권위자 없이 공동의 목표를 향해 협력하는 사회 운동가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4][5] 예를 들어, 미국 법무부의 성명에 따르면 위키리크스의 설립자 줄리언 어산지는 전 세계적으로 여러 사이버 공격과 연루된 "어나니머스" 및 "룰즈섹" 그룹과 연결된 해커들과 공모했다. 2012년, 미국으로부터의 송환 요청으로 영국에 구금되어 있던 어산지는 룰즈섹의 수장에게 해킹할 목표 목록을 제공했으며, 가장 중요한 유출 자료는 미국 국가안보국, 중앙정보국 또는 뉴욕 타임스에서 나올 것이라고 알려주었다.[6]

'핵티비즘'은 여러 의미를 지닌 논쟁적인 용어이다. 이 단어는 프로그래밍 기술과 비판적 사고를 결합하여 사회 변천을 위한 전자 직접행동을 특징짓기 위해 만들어졌다. 그러나 '해킹'이 사이버 범죄를 의미할 수 있듯이, 핵티비즘은 기술적, 경제적, 정치적 플랫폼으로서 인터넷보안을 악의적으로 훼손하고 파괴하며 약화시키는 활동을 의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7] 이전의 사회 운동 형태와 비교할 때, 핵티비즘은 전례 없는 성공을 거두었으며, 더 많은 참가자를 유치하고, 더 많은 도구를 사용하며, 선거를 변경하고, 분쟁을 시작하고, 기업을 무너뜨릴 수 있는 능력으로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8]

미국의 2020-2022년 방첩 전략에 따르면, 국가 적대자와 초국가적 범죄 조직 외에도 "핵티비스트, 리크티비스트 및 공공 정보 공개 조직과 같은 이념적으로 동기 부여된 단체들도 상당한 위협을 가한다"고 한다.[9][10]

기원과 정의

[편집]

작가 제이슨 색(Jason Sack)은 1995년 뉴 미디어 예술가 슈 리아 청(Shu Lea Cheang)의 영화 Fresh Kill을 개념화하는 기사에서 핵티비즘(hacktivism)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11][12] 하지만 이 용어는 컬트 오브 더 데드 카우 (cDc) 멤버 "오메가(Omega)"가 1996년 그룹에 보낸 이메일에서 사용한 것으로 자주 언급된다.[13][14] 핵티비즘의 정의는 그 어근 단어들의 다양한 의미 때문에 모호하며, 어떤 종류의 활동과 목적을 포함하는지에 대한 상당한 의견 불일치가 존재한다. 일부 정의는 사이버테러리즘 행위를 포함하는 반면, 다른 정의는 단순히 사회 변화를 일으키기 위한 기술적 해킹의 사용을 재확인한다.[15][16]

형태와 방법

[편집]
미국에서의 핵티비스트 시위

스스로를 "핵티비스트"라고 칭하는 이들은 종종 익명으로 활동하며, 때로는 집단으로, 때로는 한 명의 활동가에 해당하는 여러 사이버 페르소나를 가진 단독 개체로 활동한다.[17] 이러한 활동은 대중의 관심과 대중문화 내에서의 영향력을 얻고 있는 인터넷 활동주의의 우산 아래 있다. 핵티비스트들은 일반적으로 비정치적 이상 아래에서 활동하며, 사회의 감시를 받지 않고 자유로운 사상이나 남용을 표현한다. 이들은 익명의 신분으로 자신을 공개적으로 대표하거나 방어하며, 사이버테러리즘 공동체 내에서 권력감을 얻는다.[18]

핵티비스트는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새로운 도구를 만들거나, 인터넷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도구를 통합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핵티비스트 활동의 한 종류는 정치적으로 동기 부여된 온라인 행동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다.[19]

핵티비즘의 논쟁의 레퍼토리는 다음과 같다:

  1. 코드: 소프트웨어와 웹사이트는 정치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호화 소프트웨어 PGP는 통신 보안에 사용될 수 있다. PGP의 저자인 필 짐머만은 평화 운동에 먼저 배포했다고 말했다.[20] 짐 워렌(Jim Warren)은 PGP의 광범위한 배포가 바이든과 드콘시 상원의원이 작성한 상원 법안 266호에 대한 응답이었다고 제안한다. 이 법안은 "통신 시스템이 정부가 음성, 데이터 및 기타 통신 내용의 일반 텍스트를 얻을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을 요구했다.[21] 위키리크스는 정치적으로 동기 부여된 웹사이트의 한 예시이다: "정부를 투명하게 유지"하려고 한다.[22]
  2. 미러링: 웹사이트 미러링은 웹사이트에 대한 다양한 검열 차단을 우회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된다. 이 기술은 검열된 웹사이트의 내용을 복사하여 검열되지 않은 다른 도메인과 서브도메인에 배포한다.[23] 문서 미러링은 웹사이트 미러링과 유사하게 다양한 문서 및 기타 작업을 백업하는 데 중점을 둔 기술이다. RECAP은 '미국 판례법을 해방'하고 온라인에서 공개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작성된 소프트웨어이다. 이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는 분산된 문서 수집 및 아카이브 형태로 제공된다.[24] 주요 미러링 프로젝트에는 인터넷 아카이브위키문헌과 같은 이니셔티브가 포함된다.
  3. 익명: 인권 문제, 정부 탄압 등에 대해 광범위한 청중에게 목소리를 내는 방법으로, 무료 및 임시 이메일 계정, IP 마스킹, 블로그 소프트웨어와 같은 다양한 웹 도구를 활용하여 높은 수준의 익명성을 유지한다.[25]
  4. 신상 털기: 개인 및 기밀 문서와 기록을 해킹하여 공개하는 행위이다. 핵티비스트들은 이를 확실한 투명성의 한 형태로 보지만, 전문가들은 괴롭힘이라고 주장한다.[26]
  5. 서비스 거부 공격s: 일반적으로 DoS 공격이라고 불리는 이러한 공격은 해커가 이메일 첨부 파일이나 웹사이트 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악성 소프트웨어 실행 파일을 통해 제어하는 대규모의 개인 및 공용 컴퓨터 배열을 사용한다. 제어권을 획득한 후, 이 컴퓨터들은 좀비 떼처럼 행동하며, 서버를 과부하시켜 웹사이트를 오프라인으로 만들기 위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한 웹사이트로 리디렉션한다.[26]
  6. 가상 연좌 농성: DoS 공격과 유사하지만 소프트웨어가 아닌 개인이 실행하며, 대규모 시위대가 표적 웹사이트를 방문하고 빠르게 페이지를 로드하여 사이트에 네트워크 트래픽을 과부하 시켜 사이트를 느리게 하거나 오프라인으로 만든다.[27]
  7. 웹사이트 변조s: 해커가 웹 서버에 침투하여 특정 웹 페이지를 자신들의 페이지로 대체하며, 주로 특정 메시지를 전달한다.[28][27]
  8. 웹사이트 리다이렉션: 이 방법은 서버 내에서 웹사이트의 주소를 변경하여, 해당 사이트 방문자가 가해자가 만든 사이트로 리디렉션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원래 사이트를 비난하기 위함이다.[27]
  9. 지오밤밍: 네티즌유튜브 동영상을 편집하면서 지오태그를 추가하여 구글 어스에서 동영상의 위치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29]
  10. 프로테스트웨어: 사회 문제 또는 항의를 촉진하기 위해 악성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이다.[30] 프로테스트웨어는 메시지를 확산시키기 위해 프로젝트 관리자에 의해 자발적으로 감행되며, 주로 파괴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용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npm 생태계에 대한 peacenotwar 공급망 공격 이후 대중화되었다.[31]

논쟁

[편집]

누가 이 용어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핵티비즘은 정치적으로 동기 부여된 해킹이 될 수도 있고, 건설적인 형태의 아나키적 시민 불복종이 될 수도 있으며, 정의되지 않은 반체제적 제스처가 될 수도 있다.[32] 이는 반자본주의 또는 정치적 항의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스팸 활동가, 보안 전문가 또는 오픈 소스 옹호자를 지칭할 수도 있다.[33]

스스로를 핵티비스트라고 칭하는 일부 사람들[누가?]웹사이트 변조를 정치적인 이유로 삼아, 정부와 자신들의 이념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웹사이트를 공격하고 훼손하기도 했다.[34] 반면, 옥스블러드 러핀 (Cult of the Dead Cow와 Hacktivismo의 "외무장관")과 같은 사람들은 웹 변조나 서비스 거부 공격을 포함하는 핵티비즘 정의에 강력히 반대했다.[35]

핵티비즘은 익명성 때문에 종종 그림자 같은 존재로 여겨지며, 주로 한계 집단이나 사회의 주변인들의 소행으로 간주된다.[17] 핵티비스트들이 수행하는 소셜 미디어 공격에 대해 책임 있는 당사자가 없다는 점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 모두에서 기업 및 연방 보안 조치에 영향을 미쳤다.[26]

일부 자칭 핵티비스트들[누가?]은 DoS 공격에 참여했지만, 비평가들은[누가?] DoS 공격이 표현의 자유에 대한 공격이며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DoS 공격은 자원을 낭비하고 아무도 이길 수 없는 "DoS 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 2006년에 블루 시큐리티는 스패머에 대한 DoS 공격을 자동화하려고 시도했으나, 이는 블루 시큐리티에 대한 대규모 DoS 공격으로 이어져 그들과 그들의 이전 ISP, DNS 공급자를 인터넷에서 마비시키고 사업을 파괴했다.[36]

위키리크스의 명백한 억압에 대한 보복으로 어나니머스의 여러 사이트에 대한 서비스 거부 공격 이후, 전자 프런티어 재단의 창립 멤버인 존 페리 발로는 "누구의 것이든 표현의 자유를 지지하므로, 어떤 목표물이든 DoS 공격에 반대한다... 그것은 사이버 공간의 독가스다"라고 말했다.[37] 반면, 많은 핵티비스트의 변호사인 제이 라이더만(Jay Leiderman)은 DoS가 시간, 장소, 방식이 합리적으로 제한된 상황에서는 합법적인 형태의 항의 연설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38]

관련 사건

[편집]
  • 1996년, 미국 법무부 홈페이지의 제목이 "Department of Injustice"로 변경되었다. 통신 품위법에 항의하기 위해 포르노 이미지가 홈페이지에 추가되기도 했다.[39]
  • 컬트 오브 더 데드 카우는 중국의 인터넷 검열을 약화시키기 위해 활동하는 중국 반체제 해커 그룹인 홍콩 블론즈(Hong Kong Blondes)의 존재를 발표했다. 이 그룹은 미국 정부의 고위층에서도 널리 보도되고 논의되었지만, 나중에 디지털 탄압에 대한 관심을 끌고 중국 활동가들의 탈출을 위한 은폐를 제공하기 위한 조작으로 밝혀졌다.[40][41][42]
  • 1998년, 전자 교란 극단(Electronic Disturbance Theater)의 멤버들은 치아파스주사파티스타 반군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들이 서비스 거부 공격(그들이 '전자 시민 불복종'이라고 불렀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웹 도구인 플러드넷(FloodNet)을 만들었다.[43]
  • 1998년 12월, 미국에서 레기온스 오브 더 언더그라운드(Legions of the Underground)라는 핵티비스트 그룹이 등장했다. 그들은 이라크와 중국에 대한 사이버 전쟁을 선포하고, 해당 국가들의 인권 유린에 대한 보복으로 인터넷 접근을 차단할 계획을 세웠다.[44] 이 움직임은 반대 해커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는데, 인터넷 시스템을 차단함으로써 핵티비스트 그룹이 정보의 자유로운 접근을 제공하는 데 아무런 영향을 미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45]
  • 2001년 7월, 컬트 오브 더 데드 카우의 한 분파인 해크티비스모(Hacktivismo)는 "해크티비스모 선언"을 발표했다. 이 선언은 핵티비즘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위한 행동 강령 역할을 했으며, "국가가 후원하는 인터넷 검열"을 중단하고 "의견과 표현의 자유"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는 해커 커뮤니티의 목표를 선언했다.[46]
  • 2009년 이란 선거 시위 동안, 어나니머스는 어나니머스 이란(Anonymous Iran) 웹사이트를 개설하여 이란과 이란으로부터 정보를 전파하는 데 역할을 했다.[47] 그들은 또한 이란 정부에 비디오 매니페스토를 발표했다.
  • 2011년 시위 중 이집트 정부의 인터넷 차단에 대응하여 구글은 세이나우(SayNow)와 트위터의 엔지니어들과 협력하여 이집트 국민들에게 통신을 제공했다. 그 결과인 스피크 투 트윗(Speak To Tweet)은 전화로 남긴 음성 메시지가 구글의 세이나우에 있는 음성 메시지 링크와 함께 트위터를 통해 트윗되는 서비스였다.[48]
  • 2010년 5월 29일 토요일, '카카 아르헨티나(Kaka Argentine)'라고 자칭하는 해커가 우간다 국무원 웹사이트를 해킹하여 나치 당의 상징인 하켄크로이츠가 있는 아돌프 히틀러의 눈에 띄는 사진을 게시했다.[34]
  • 2011년 1월 28일부터 2월 2일까지 이집트의 인터넷 차단 기간 동안 텔레코믹스(Telecomix)는 이집트 국민들에게 전화 접속 서비스와 기술 지원을 제공했다.[49] 텔레코믹스는 이집트 국민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는 비디오를 공개하고, 전화 접속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과 인터넷 필터 및 정부 감시를 피하는 방법을 제시했다.[50] 이 핵티비스트 그룹은 또한 누군가가 중요한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를 대비하여 무선 주파수를 면밀히 추적하고 있다고 발표했다.[51]
  • 프로젝트 채널로지(Project Chanology)는 "오퍼레이션 채널로지"(Operation Chanology)라고도 불리며, 2008년 톰 크루즈와의 인터뷰 자료 삭제와 관련된 인터넷 검열에 참여한 사이언톨로지교에 대한 핵티비스트 항의였다. 해커 그룹 어나니머스는 대규모 DoS 공격을 통해 "교회를 인터넷에서 추방"하려 했다. 2008년 2월, 이 운동은 비폭력 저항의 법적 방법으로 전환되었다. 프로젝트 채널로지의 일환으로 2008년에 시작되어 2009년에 끝나는 여러 시위가 열렸다.
  • 2011년 6월 3일, 룰즈섹은 FBI 웹사이트를 다운시켰다. 이는 그들이 민간 부문이 아닌 웹사이트를 처음으로 공격한 것이었다. 그 주, FBI는 룰즈섹의 리더인 헥토르 사비에르 몬세구르(Hector Xavier Monsegur)를 추적할 수 있었다.[52]
  • 2011년 6월 20일, 룰즈섹은 영국의 중대 조직범죄청(Serious Organised Crime Agency)을 공격하여 영국 당국이 웹사이트를 폐쇄하게 만들었다.[53]
  • 2011년 8월, "올리버 터켓(Oliver Tucket)"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어나니머스 멤버가 시리아 국방부 웹사이트를 장악하고 이스라엘 정부 웹 포털을 추가했으며, 웹사이트의 메일 서버를 중국 해군 소유의 서버로 변경했다.[54]
  • 어나니머스와 뉴 월드 해커스(New World Hackers)는 줄리언 어산지 런던 주재 대사관에 대한 에콰도르의 인터넷 접속 철회에 대한 보복으로 2016년 다인 사이버 공격의 책임을 주장했다.[55] 위키리크스는 이 공격을 암시했다.[56] 이어서 플래시포인트(FlashPoint)는 이 공격이 대부분 스크립트 키디에 의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57]
  • 2013년, 밀리언 마스크 행진의 온라인 구성 요소로, 필리핀의 어나니머스는 30개의 정부 웹사이트를 다운시키고 11월 5일에 국회의사당 앞에 사람들을 모아 필리핀 정부에 대한 불만을 표명하는 유튜브 비디오를 게시했다.[58]
  • 2014년, 소니 픽처스는 GOP(Guardians of Peace)라는 그룹에 의해 해킹당했으며, 공개되지 않은 영화, 직원 급여, 사회 보장 데이터, 비밀번호, 계정 정보를 포함한 100테라바이트 이상의 데이터를 획득했다. GOP는 여러 소셜 미디어 계정을 해킹하고 비밀번호를 diespe123 (die sony pictures entertainment)으로 변경하여 페이지에 위협을 게시했다.[59]
  • 2016년, 튀르키예 프로그래머 아제르 코쿨루(Azer Koçulu)는 자신의 소프트웨어 패키지 left-pad를 npm에서 제거하여, left-pad를 종속성으로 포함하는 다른 소프트웨어 패키지들의 연쇄적인 오류를 야기했다. 이는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인 Kik이 코쿨루가 자신의 `kik` 패키지 이름을 변경하는 것을 거부한 후 법적 조치를 위협했기 때문이다. npm은 결국 Kik의 편을 들었고, 코쿨루는 항의의 의미로 left-pad를 포함한 모든 자신의 패키지를 npm에서 게시 취소했다.[60]
  • 청소년 구금 시설에서 2년형을 선고받은 영국 해커 케인 갬블(Kane Gamble)은 당시 CIA 국장이었던 존 브레넌과 FBI 부국장이었던 마크 줄리아노를 사칭하여 고도로 민감한 정보에 접근했다.[61] 판사는 갬블이 "정치적 동기가 있는 사이버 테러리즘"에 가담했다고 말했다.[62]
  • 2021년, 어나니머스는 미국 웹 호스팅 회사 에픽의 데이터베이스를 해킹하여 유출했다.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대응으로, 어나니머스는 러시아 컴퓨터 시스템에 대해 여러 사이버 공격을 수행했다.[63]
  • 2023년 이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따라 친이스라엘 및 친팔레스타인 핵티비스트 그룹으로부터 여러 사이버 공격이 발생했다.[64][65][66] 인도의 친이스라엘 핵티비스트들은 팔레스타인 국립은행, 국영 통신 회사 및 하마스 웹사이트의 포털을 다운시켰다.[67][68] 여러 이스라엘 웹사이트는 친팔레스타인 핵티비스트들에 의해 악성 트래픽으로 넘쳐났다. 이스라엘 신문 예루살렘 포스트는 자사 웹사이트가 일련의 사이버 공격으로 인해 다운되었다고 보도했다.[69][70]

대한민국

[편집]
  • 2013년 4월 4일, 어나니머스에 의해 우리민족끼리 사이트 및 북한계열 웹사이트에 대한 대규모 사이버 공격과 해당 사이트 회원들의 신상정보가 공개된 사건이 있었다.

주요 핵티비스트 인물/그룹

[편집]

위키리크스

[편집]
위키리크스가 공개한 영상. 로이터 직원 나미르 누르엘딘을 포함한 12명의 민간인이 미군 헬리콥터에 의해 살해되는 장면을 보여준다.

위키리크스는 2006년에 설립된 미디어 조직이자 출판사이다. 비영리 단체로 운영되며 기부[81]와 미디어 파트너십으로 운영된다. 익명 소스가 제공한 기밀 문서와 기타 미디어를 공개했다.[82] 줄리언 어산지가 설립했으며, 그는 현재 위키리크스 작업으로 인해 미국으로의 송환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는 오스트레일리아인 편집장, 출판인이자 사회 운동가이다.[83] 2018년 9월부터 크리스틴 흐라픈손편집장을 맡고 있다.[84][85] 웹사이트에 따르면 1천만 건 이상의 문서와 관련 분석 자료를 공개했다.[86] 위키리크스의 가장 최근 공개는 2021년이었고, 원본 문서의 가장 최근 공개는 2019년이었다.[87] 2022년 11월부터 이 조직 웹사이트의 많은 문서에 접근할 수 없게 되었다.[87][88][89][90]

위키리크스는 여러 정부의 심각한 인권시민 자유 침해를 폭로한 문서 캐시와 미디어를 공개했다. 2007년 7월 12일 바그다드 공습 당시 이라크 로이터 언론인과 여러 민간인이 미군 헬리콥터 승무원에 의해 살해된 장면을 담은 "부수적 살인"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공개했다.[91] 위키리크스는 또한 미국사우디아라비아의 외교 전보,[92][93] 시리아[94][95]튀르키예 정부의 이메일,[96][97][98] 케냐[99][100] 및 삼헤르지(Samherji)의 부패 등에 대한 정보를 공개했다.[101] 위키리크스는 또한 중앙정보국이 만든 사이버 전쟁 및 감시 도구[102][103] 미국 국가안보국의 프랑스 대통령 감시에 대한 문서도 공개했다.[104][105]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캠페인 기간 동안 위키리크스는 민주당 전국위원회 (DNC)와 힐러리 클린턴 캠페인 매니저의 이메일을 공개했다. 이는 당의 전국위원회가 예비 선거 기간 동안 클린턴 캠페인의 팔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며 버니 샌더스의 캠페인을 훼손하려 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공개는 DNC 의장의 사임을 초래했으며 클린턴 캠페인에 상당한 피해를 입혔다.[106] 캠페인 기간 동안 위키리크스는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세스 리치 살해 사건에 대한 가짜뉴스 음모론을 조장했다.[107][108][109]

위키리크스는 여러 상을 수상했으며, 국가 및 기업의 비밀을 폭로하고 투명성을 높이며, 출판의 자유를 돕고 민주적 담론을 강화하며, 강력한 기관에 도전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위키리크스와 일부 지지자들은 이 조직의 출판물들이 항상 원본 문서를 공개했다는 완벽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 조직은 팔란티어 및 HBGary의 중단된 캠페인을 포함하여 자신을 불신시키기 위한 캠페인의 표적이 되었다. 위키리크스는 또한 결제 처리기 문제로 인해 기부 시스템이 중단되는 일도 겪었다. 결과적으로 바우 홀란트 재단이 위키리크스의 기부 처리를 돕고 있다.

이 조직은 일부 콘텐츠를 부적절하게 큐레이션하고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예를 들어 위키리크스는 사회 보장 번호, 진료 기록, 신용 카드 번호자살 시도에 대한 세부 정보를 공개했다.[110][111][112] 뉴스 조직, 활동가, 언론인 및 전 멤버들도 이 조직이 반클린턴 및 친트럼프 편향, 러시아 정부와의 다양한 연관성, 유출 정보의 거래, 그리고 내부 투명성 부족에 대해 비판했다. 언론인들은 또한 이 조직이 위장술책 음모론을 조장하고 유출 내용에 대한 과장되고 오해의 소지가 있는 설명을 한다고 비판했다. 중앙정보국볼트 7 공개 이후 이 조직을 "비국가 적대적 정보기관"으로 정의했다.[113]

어나니머스

[편집]
가이 포크스 가면은 어나니머스에 의해 흔히 사용된다.

아마도 가장 활발하고 잘 알려진 핵티비스트 그룹인 어나니머스는 지난 10년 동안 많은 주요 온라인 해킹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어나니머스는 2003년 4chan 포럼에서 시작된 분산형 그룹이지만, 2008년 사이언톨로지교를 대규모 DoS 공격으로 직접 공격하면서 두각을 나타냈다.[114] 그 이후로 어나니머스는 오퍼레이션: 페이백과 오퍼레이션: 세이프 윈터(Operation: Safe Winter)와 같은 수많은 온라인 프로젝트에 참여했다.[115][116] 하지만 그들의 프로젝트 중 상당수가 자선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었지만,[115] 주로 불법 해킹으로 이루어진 작업의 특성 때문에 미디어로부터 악명을 얻었다.[117]

2015년 2015년 11월 파리 테러 이후 어나니머스는 테러 단체 ISIS에 대한 전쟁을 선포하는 영상을 게시했다.[118] ISIS에 대한 전쟁을 선포한 이후, 어나니머스는 ISIS 선전 활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이 운동과 관련된 여러 트위터 계정을 식별했다. 그러나 트위터가 어나니머스가 작성한 목록이 "매우 부정확하다"고 발표하면서, 이 목록에는 ISIS 멤버가 아닌 언론인과 학자의 계정이 포함되어 있어 어나니머스는 심한 비판을 받았다.[119]

어나니머스는 Black Lives Matter 운동에도 참여했다. 2015년 7월 초, 알튼 스털링(Alton Sterling)과 필랜도 캐스틸(Philando Castile) 총격 사건에 대한 보복으로 어나니머스가 폭력 시위와 폭동을 수반하는 '분노의 날'(Day of Rage) 시위를 촉구하고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 이 소문은 공식 어나니머스 유튜브 계정에 게시되지 않은 영상에 근거한 것이었다. 어나니머스와 관련된 트위터 계정 중 어느 곳도 '분노의 날'과 관련된 트윗을 올리지 않았으며, 이 소문은 2014년 마이크 브라운(Mike Brown) 사망 이후 돌았던 과거 소문과 동일했다.[120] 대신, 7월 15일, 어나니머스와 관련된 트위터 계정은 Black Lives Matter 운동과의 연대 시위를 촉구하는 일련의 트윗을 게시했다. 이 트위터 계정은 "#FridayofSolidarity" 해시태그를 사용하여 전국적인 시위를 조직했으며, '연대의 금요일'이 평화로운 시위를 위한 것임을 강조했다. 이 계정은 또한 그룹이 '분노의 날' 계획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밝혔다.[121]

2017년 2월, 이 그룹은 아동 포르노와 관련된 10,000개 이상의 다크 웹 사이트를 폐쇄했다.[3]

DkD[||

[편집]

프랑스의 사이버 핵티비스트 DkD[||은 2003년 3월 OCLCTIC(정보통신 기술 관련 범죄 중앙 사무소)에 의해 체포되었다. DkD[||은 2000개 이상의 웹페이지를 변조했으며, 그 중 상당수는 정부 및 미국 군사 사이트였다. 릴(Lille) 지역 사법 경찰국의 에릭 불르미노(Eric Voulleminot)는 이 젊은 해커를 "프랑스에서 가장 수배가 많은 핵티비스트"로 분류했다.[122]

DkD[||은 그의 정치적 견해 때문에 지하 세계에서 매우 유명한 변조범이었으며, 다양한 정치적 이유로 변조 행위를 했다. 그의 체포에 대한 반응으로, 고스트 보이스(The Ghost Boys)는 “Free DkD[||!!”라는 슬로건을 사용하여 많은 navy.mil 사이트를 변조했다.[123][124]

룰즈섹

[편집]

2011년 5월, 어나니머스 멤버 5명이 핵티비스트 그룹 룰즈 시큐리티(Lulz Security), 일명 룰즈섹(LulzSec)을 결성했다. 룰즈섹이라는 이름은 인터넷 속어인 "lulz"(웃음)와 "sec"(보안)의 결합에서 유래했다.[52] 그룹 멤버들은 인터넷 릴레이 채널에서 자신을 식별하기 위해 특정 핸들(닉네임)을 사용했는데,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사부(Sabu)", "케일라(Kayla)", "T-플로우(T-Flow)", "토피아리(Topiary)", "AV유닛(AVUnit)", "폰소스(Pwnsauce)"였다. 룰즈섹 멤버들은 하루 최대 20시간 동안 소통했지만, 서로를 개인적으로 알지 못했고 개인 정보도 공유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멤버들의 신원이 밝혀졌을 때 "T-플로우"는 15세로 밝혀졌다. 다른 멤버들은 그의 뛰어난 코딩 능력 때문에 그가 30대일 것이라고 생각했다.[125]

룰즈섹이 추구한 첫 번째 주목할 만한 목표 중 하나는 HBGary였는데, 이는 이 기술 보안 회사가 어나니머스 멤버를 식별했다고 주장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수행되었다. 이후 룰즈섹 멤버들은 폭스 텔레비전, 트리뷴 컴퍼니, PBS, 소니, 닌텐도, 미국 상원 웹사이트를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회사와 단체를 목표로 삼았다. 이러한 단체들을 표적으로 삼는 것은 일반적으로 기밀 사용자 정보에 접근하여 다운로드하거나 해당 웹사이트를 훼손하는 것을 포함했다.[126] 위키리크스나 어나니머스만큼 강력하게 정치적이지는 않았지만, 룰즈섹은 정보의 자유에 대한 유사한 정서를 공유했다. 그들의 분명히 정치적으로 동기 부여된 공격 중 하나는 새로운 이민법에 대한 대응으로 애리조나 주 경찰을 표적으로 삼는 것을 포함했다.[127]

이 그룹의 첫 번째 주요 정부의 관심을 끈 공격은 2011년에 발생했는데, FBI 웹사이트를 집단으로 다운시켰다. 이 사건 이후, 룰즈섹의 리더인 "사부"는 FBI에 의해 헥토르 사비에르 몬세구르로 식별되었고, 그가 그룹에서 처음으로 체포되었다. 체포 직후 몬세구르는 범죄 활동을 시인했다. 그는 이후 미국 정부와 협력하여 FBI 당국이 8명의 공범을 체포하고, 300건의 잠재적인 사이버 공격을 방지하며, 기존 컴퓨터 시스템의 취약점을 식별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2011년 8월, 몬세구르는 "정부와의 협력 계약에 따라 컴퓨터 해킹 공모, 컴퓨터 해킹, 사기 조장을 위한 컴퓨터 해킹, 접근 장치 사기 공모, 은행 사기 공모, 가중 신원 도용"에 대해 유죄를 인정했다. 그는 총 1년 7개월을 복역하고 1,200달러의 벌금을 부과받았다.[128]

시즈드섹

[편집]

시즈드섹(SiegedSec)은 시즈드 시큐리티(Sieged Security)의 줄임말이며, 흔히 스스로를 "게이 퍼리 해커"라고 부른다.[129][130] 2022년 초에 결성된 블랙햇 범죄 핵티비스트 해커 그룹으로, NATO,[131][132][133] 아이다호 국립연구소,[129][130]리얼 아메리카스 보이스(Real America's Voice)를 포함하여[134][135] 여러 건의 고위 프로필 사이버 공격을 저질렀다. 2024년 7월 10일, 이 그룹은 헤리티지 재단을 공격한 후 해산하겠다고 발표했다.[136]

시즈드섹은 "바이오(vio)"라는 가명을 사용하는 개인에 의해 이끌어진다.[137] "Sieged Security"의 줄임말인 시즈드섹의 텔레그램 채널은 2022년 4월에 만들어졌으며,[138] 그들은 흔히 스스로를 "게이 퍼리 해커"라고 부른다.[139][140] 여러 차례, 이 그룹은 데이터를 유출하여 우익 운동을 표적으로 삼았는데, 여기에는 헤리티지 재단,[141][142] 리얼 아메리카스 보이스,[143] 그리고 성 정체성 확인 의료에 반대하는 법안을 추진한 다양한 미국 주들이 포함되었다.[144]

관련 관행

[편집]

문화 방해

[편집]

해킹은 때때로 문화 방해의 한 형태로 묘사되기도 한다.[145]:88 이는 현상 유지에 도전하기 위해 정치적 메시지와 미디어 문화를 전복하고 비판하는 행위이다. 이는 종종 시청자의 잠재의식적인 사고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인식을 높이고 패러다임 전환을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화 방해는 간판 해킹, 전파 납치, 애드혹 예술 공연, 모의 법률 위반,[146] , 그리고 아티비즘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147]

'문화 방해'라는 용어는 1984년 미국 음악가 도널드 조이스가 밴드 네거티블랜드에서 처음 사용했다.[148] 하지만 문화 방해의 시작 시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많다. 사회 연구원 빈스 카두치(Vince Carducci)는 문화 방해를 1950년대 유럽 사회 운동 단체인 상황주의 인터내셔널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본다. 작가이자 문화 비평가인 마크 데리는 중세 카니발이 당시 사회 계층을 전복하는 방법으로서 가장 초기의 문화 방해 형태라고 생각한다.

문화 방해는 때때로 기물 파손 행위와 혼동되기도 한다. 그러나 문화 방해와 달리 기물 파손의 주된 목표는 파괴를 일으키는 것이며, 정치적 주제는 중요성이 덜하다. 아티비즘은 보통 재산 훼손이 수반되기 때문에 문화 방해의 한 형태로서 가장 의심스러운 성격을 지닌다.

미디어 해킹

[편집]

미디어 해킹은 다양한 전자 매체를 혁신적이거나 비정상적인 방식으로 사용하여 가능한 한 많은 사람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으로, 주로 월드 와이드 웹을 통해 이루어진다.[149][150] 미디어 해킹의 인기 있고 효과적인 수단은 블로그에 게시하는 것인데, 블로그는 일반적으로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는 한 명 이상의 독립적인 개인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이다. 소셜 북마크 개념과 웹 기반 인터넷 포럼은 이러한 메시지가 다른 사이트 사용자에게도 보여지도록 하여 총 도달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미디어 해킹은 정치적 목적, 즉 정치 정당정치 반대자 모두에 의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에 대한 좋은 예는 2008년 미국 대선으로, 민주당공화당 모두 점점 더 인터넷 지향적인 청중에게 관련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미디어를 사용했다.[151] 동시에 정치적 반대자들은 블로그트위터와 같은 다른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여 대선 후보들에게 개별적으로 답변했다. 특히 트위터와 같은 사이트는 후보자에 대한 대중적 지지를 측정하는 데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지만, 이 사이트는 긍정적인 지지를 보여주기보다는 반대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152]

모바일 기술 또한 정치적 목적의 미디어 해킹 대상이 되어왔다. SMS는 정치적 반체제 인사들이 스마트 몹을 정치적 행동으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조직하는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이는 필리핀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는데, SMS 미디어 해킹은 두 차례나 대통령이 당선되거나 퇴임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153]

현실 해킹

[편집]

현실 해킹은 정치적, 사회적, 또는 문화적으로 전복적인 목적을 추구하는 불법적이거나 법적으로 모호한 디지털 도구의 비폭력적 사용에서 발생하는 모든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도구에는 웹사이트 변조, URL 리다이렉션, 서비스 거부 공격, 정보 절도, 웹사이트 패러디, 가상 연좌 농성, 가상 사보타주가 포함된다.

1970년대 플럭서스해프닝과 같은 예술 운동은 느슨한 조직과 그룹 활동에 대한 수용 분위기를 조성했으며, 여기에서는 자발성, 원시적 행동으로의 회귀, 그리고 활동과 사회 참여 예술 실천이 미학적 관심만큼 중요하게 여겨지는 윤리가 확립되었다.

1990년대 중후반 이러한 두 역사의 혼합으로 인해 가상 연좌 농성, 전자 시민 불복종, 서비스 거부 공격, 그리고 국제 통화 기금세계은행과 같은 그룹에 대한 대규모 시위가 교차적으로 발생했다. 집단, 넷아트 그룹, 그리고 기술과 현실의 유동적인 상호 작용(종종 환경 문제에서 비롯됨)에 관심을 가진 이들의 등장은 "현실 해킹"이라는 관행을 낳았다.

현실 해킹은 일반 대중의 정치적 및 공동체적 의식을 일깨우는 것을 목적으로 개인이 가장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일상적인 통신을 '조작'하는 것에 의존한다. 이 용어는 뉴욕과 샌프란시스코의 예술가들 사이에서 처음 사용되었지만, 이후 문화 방해를 중심으로 한 정치 활동가 학파에 의해 채택되었다.

허구 속에서

[편집]

1999년 공상 과학 액션 영화 매트릭스 등은 모의실험 가설을 대중화했다. 이 가설은 실재가 사실상 시뮬레이션이며, 시뮬런트의 영향을 받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이를 인지하지 못한다는 제안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실 해킹"은 시뮬레이션된 현실 환경의 활동(예: 매트릭스 디지털 레인)을 나타내는 코드를 읽고 이해하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물리학 법칙을 구부리거나 시뮬레이션된 현실을 다른 방식으로 수정하기 위해 코드를 수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실 해킹은 고스 펑크 미학에서 영감을 받은 화이트 울프도시 판타지 메이지: 더 어센션 역할극 게임에서 신비로운 실천으로 탐구된다. 이 게임에서 현실 코더(Reality Coders, 현실 해커 또는 현실 크래커라고도 함)는 가상 적응자 내의 한 파벌로, 이들은 디지털 기술을 중심으로 마법을 사용하는 마법사들의 비밀 사회이다. 그들은 가상 공간의 이점을 실제 공간으로 가져오는 데 전념한다. 이를 위해 그들은 "소스 코드"라고 부를 만한, 우리의 우주가 기능하게 하는 코드를 식별해야 했다. 그리고 그것이 그들이 그 이후로 계속 해온 일이다. 코더들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지식의 집대성을 모으기 위해 여러 사회 계층에 침투했다. 코더들의 더 명백한 의제 중 하나는 대중에게 다가올 세상에 적응시키는 것이다. 그들은 비디오 게임과 "리얼리티 쇼"를 통해 가상 적응자들의 아이디어를 퍼뜨리는데, 이 쇼들은 "진정한" 현실보다 가상 현실을 훨씬 더 모방한다. 현실 코더들은 스스로를 가상 적응자들의 미래로 간주하며, 그랜트 모리슨이나 테렌스 맥켄나와 같은 선지자들의 비전에 따라 세상을 창조한다.

위치 기반 게임 (퍼베이시브 게임이라고도 함)에서 현실 해킹은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현상에 접근하여 이를 게임 이야기 우주와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154]

학술적 해석

[편집]

핵티비즘과 도시 해킹을 다루는 다양한 학술적 접근 방식이 있었다. 2010년 귄터 프리징어(Günther Friesinger), 요하네스 그렌츠푸르트너 및 토마스 발하우젠(Thomas Ballhausen)은 이 주제에 전념하는 독자용 자료를 출판했다. 그들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도시 공간은 전장이 되었고, 기호들은 침략당했으며, 새로운 구조들이 확립되었다: 넷문화는 대부분의 부분에서 반문화를 대체했으며, 현대 도시의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에도 초점을 맞췄다. 중요한 질문들이 최신 정보에 따라 재고되었으며, 현재의 입장과 담론을 고려했다. 자본주의적 압력과 보수적 정치의 영향 아래에서 문화 기반 저항을 어떻게 창조할 것인가라는 주요 질문은 여전히 남아있다.[155]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THE "ANONYMOUS" MOVEMENT: HACKTIVISM AS AN EMERGING FORM OF POLITICAL PARTICIPATION” (PDF). 2017년 10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7월 5일에 확인함. 
  2. Gawel, Hanna (2024). 《Hacktivism》. 《Internet Policy Review》 13. doi:10.14763/2024.2.1751. hdl:10419/296498. 
  3. “Hackers take down thousands of 'dark web' sites, post private data” (영어). 《NBC News》. 2017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27일에 확인함. 
  4. Milone, Mark (2002). 《Hactivism: Securing the National Infrastructure》. 《The Business Lawyer》 58. 383–413쪽. JSTOR 40688127. 
  5. Pawlicka, Aleksandra; Choraś, Michał; Pawlicki, Marek (2021). 《The stray sheep of cyberspace a.k.a. the actors who claim they break the law for the greater good》. 《Personal and Ubiquitous Computing25. 843–852쪽. doi:10.1007/s00779-021-01568-7. 
  6. Pettersson, Edvard (2020년 6월 25일). “WikiLeaks Founder Julian Assange Accused of Conspiring With LulzSec and Anonymous Hackers” (영어). 《TIME》. 2024년 10월 7일에 확인함. 
  7. Peter Krapp, "Noise Channels: Glitch and Error in Digital Cultur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1. ISBN 978-0-8166-7625-5. 보관됨 2013-05-23 - 웨이백 머신.
  8. George, Jordana J.; Leidner, Dorothy E. (2019년 9월 1일). 《From clicktivism to hacktivism: Understanding digital activism》. 《Information and Organization》 29. 100249쪽. doi:10.1016/j.infoandorg.2019.04.001. ISSN 1471-7727. 
  9. Menn, Joseph (2021년 3월 25일). “New wave of 'hacktivism' adds twist to cybersecurity woes”. 《Reuters》. 2023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0. "National Counterintelligence Strateg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20-2022", Director ofNational Intelligence.
  11. Logan, Jason (November 1995). “Take the Skinheads Bowling”. 《InfoNation》 (Minneapolis). 1997년 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12. Webber, Craig; Yip, Michael (June 2018). 《The Rise of Chinese Cyber Warriors: Towards a Theoretical Model of Online Hacktivism》 (PDF). 《International Journal of Cyber Criminology》 12. 230쪽. 2022년 6월 2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7월 13일에 확인함. 
  13. Shantz, Jeff; Tomblin, Jordon (2014년 11월 28일). 《Cyber Disobedience: Re: // Presenting Online Anarchy》. John Hunt Publishing. ISBN 9781782795551. 2015년 1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4. Mills, Elinor (2012년 3월 30일). “Old-time hacktivists: Anonymous, you've crossed the line”. 《CNet》.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15. Peter Ludlow "What is a 'Hacktivist'?" 보관됨 2013-05-21 - 웨이백 머신 The New York Times. January 2013.
  16. Jordon, Tomblin (2015년 1월 1일). “The Rehearsal and Performance of Lawful Access”. 《curve.carleton.ca》. 2016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16일에 확인함. 
  17. Sorell, Tom (2015년 9월 22일). 《Human Rights and Hacktivism: The Cases of Wikileaks and Anonymous》 (영어). 《Journal of Human Rights Practice》 7. 391–410쪽. doi:10.1093/jhuman/huv012. ISSN 1757-9619. 
  18. “What is Hacktivism? | CrowdStrike”. 
  19. Romagna, Marco; Leukfeldt, Eric Rutger. 《Becoming a hacktivist. Examining the motivations and the processes that prompt an individual to engage in hacktivism》. 《Journal of Crime and Justice》 47. 
  20. “PGP Marks 10th Anniversary”. Phil Zimmermann. 2011년 5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3일에 확인함. 
  21. “The Persecution of Phil Zimmermann, American”. Jim Warren. 1996년 1월 8일. 2011년 5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2월 1일에 확인함. 
  22. “WikiLeaks homepage”. WikiLeaks. 2011년 1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2월 1일에 확인함. 
  23. Ben Gharbia, Sami. “Mirroring a Censored Wordpress Blog”. Global Voices Advocacy. 2011년 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2월 9일에 확인함. 
  24. “Recap the law”. 2013년 4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20일에 확인함. 
  25. Zuckerman, Ethan. “Anonymous Blogging with Wordpress and Tor”. Global Voices Advocacy. 2011년 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2월 9일에 확인함. 
  26. 'Hacktivists' Increasingly Target Local and State Government Computers”. 《www.pewtrusts.org》. 2017년 1월 10일. 2018년 5월 1일에 확인함. 
  27. Fitri, Nofia (April 2011). 《Democracy Discourses through the Internet Communication: Understanding the Hacktivism for the Global Changing》. 《Online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Media Technologies》 1. 11쪽. doi:10.29333/ojcmt/2332. 
  28. Romagna, M.; van den Hout, N. J. (October 2017). 《Hacktivism and Website Defacement: Motivations, Capabilities and potential Threats》. 《Proceedings of the 27th Virus Bulletin International Conference》. 41–50쪽. 2019년 5월 12일에 확인함. 
  29. “Geo-bombing: YouTube + Google Earth · Global Voices Advocacy” (영어). 《Global Voices Advocacy》. 2020년 11월 24일에 확인함. 
  30. “Open source 'protestware' harms Open Source” (영어). 《opensource.org》. 2022년 3월 24일. 2022년 3월 28일에 확인함. 
  31. “Pro-Ukraine 'Protestware' Pushes Antiwar Ads, Geo-Targeted Malware – Krebs on Security” (미국 영어). 2022년 3월 17일. 2022년 3월 28일에 확인함. 
  32. 《Hactivism's New Face: Are Your Company's Enemies Embracing New Tactics?》. 《Security Directors Report》 10. 2010. 2–4쪽 – EBSCO Host 경유. 
  33. Ragan, Steve (2014). 《Hactivism Struggles With a Slippery Slope as Anonymous Targets Children's Hospital》. 《CSO Magazine》 13 – EBSCO Host 경유. 
  34. Solomon, Rukundo (2017). 《Electronic protests: Hacktivism as a form of protest in Uganda》. 《Computer Law & Security Review》 33. 718–28쪽. doi:10.1016/j.clsr.2017.03.024. 
  35. Ruffin, Oxblood (2004년 6월 3일). “Hacktivism, From Here to There”. 2008년 4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19일에 확인함. 
  36. Lemos, Robert (2006년 5월 17일). 《Blue Security folds under spammer's wrath》. 《SecurityFocus》. 2008년 5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19일에 확인함. 
  37. “Analysis: WikiLeaks — a new face of cyber-war?”. 《Reuters》. 2010년 12월 9일. 2012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9일에 확인함. 
  38. Leiderman, Jay (2013년 1월 22일). “Why DDoS is Free Speech”. 《The Guardian》 (London). 2016년 1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9. “The Rise of Hacktivism |” (미국 영어). 《journal.georgetown.edu》. 2017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28일에 확인함. 
  40. Menn, Joseph (2019). 《Cult of the Dead Cow: How the Original Hacking Supergroup Might Just Save the World》. PublicAffairs. 115쪽. 
  41. 틀:Cite web archived
  42. Ruffin, Oxblood (2015년 3월 23일). “Blondie Wong And The Hong Kong Blondes: hacking, human rights, and hype”. Medium. 2015년 8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일에 확인함. 
  43. “When art meets cyberwar” (미국 영어). 《Forbes》.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44. “Old-time hacktivists: Anonymous, you've crossed the line”. 《CNET》. 2016년 1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19일에 확인함. 
  45. D'Amico, Mary Lisbeth. “CNN – Hackers spar over cyber war on Iraq, China – January 13, 1999”. 《www.cnn.com》. 2013년 8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19일에 확인함. 
  46. McCormick, Ty (2013년 4월 29일). “Hacktivism: A Short History”. 《Foreign Policy》. 
  47. “Anonymous Iran @WhyWeProtest.net”. Iran.whyweprotest.net. 2011년 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3일에 확인함. 
  48. Singh, Ujjwal. “Some weekend work that will (hopefully) allow more Egyptians to be heard”. 2011년 5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3일에 확인함. 
  49. Galperin, Eva (2011년 2월 8일). “Egypt's Internet Blackout Highlights Danger of Weak Links, Usefulness of Quick Links”. Electric Frontier Foundation. 2011년 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2월 10일에 확인함. 
  50. 《Telecomix Message to North Africa and the Middle east》. czardalan. 2011년 1월 30일. 2014년 8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1일에 확인함. 
  51. Greenberg, Andy. “Amid Digital Blackout, Anonymous Mass-Faxes WikiLeaks Cables To Egypt”. 《Forbes》. 2016년 1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1일에 확인함. 
  52. Arthur, Charles (2013년 5월 16일). “LulzSec: what they did, who they were and how they were caught” (영국 영어). 《The Guardian》. ISSN 0261-3077. 2016년 10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0일에 확인함. 
  53. Laville, Sandra (2012년 5월 3일). “Soca shuts down website after cyber-attack” (영국 영어). 《The Guardian》. ISSN 0261-3077. 2016년 1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0일에 확인함. 
  54. Peterson, Andrea (2013년 8월 28일). “Here's how one hacker is waging war on the Syrian government”. 《The Washington Post》. 
  55. Romm, Tony; Geller, Eric (2016년 10월 21일). “WikiLeaks supporters claim credit for massive U.S. cyberattack, but researchers skeptical”. 《POLITICO》. 2016년 10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2일에 확인함. 
  56. Han, Esther (2016년 10월 22일). “WikiLeaks' strange admission around internet attacks against Netflix and Twitter”. 《The Sydney Morning Herald》. 2016년 10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2일에 확인함. 
  57. Lomas, Natasha (2016년 10월 26일). “Dyn DNS DDoS likely the work of script kiddies, says FlashPoint”. 《TechCrunch》. 2016년 10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6일에 확인함. 
  58. Potter, Garry (2015). 《Anonymous: A Political Ontology of Hope》. 《Theory in Action》 8. 2–3쪽. doi:10.3798/tia.1937-0237.15001. 
  59. “A Breakdown and Analysis of the December, 2014 Sony Hack” (미국 영어). 《www.riskbasedsecurity.com》. 2014년 12월 5일.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1일에 확인함. 
  60. Collins, Keith (2016년 3월 27일). “How one programmer broke the internet by deleting a tiny piece of code” (영어). 《Quartz》. 2022년 4월 22일에 확인함. 
  61. "British 15-year-old gained access to intelligence operations in Afghanistan and Iran by pretending to be head of CIA, court hears 보관됨 2018-04-23 - 웨이백 머신". The Daily Telegraph. 19 January 2018.
  62. UK teen Kane Gamble gets two years for hacking CIA ex-chief John Brennan 보관됨 2018-04-22 - 웨이백 머신". Deutsche Welle. 20 April 2018.
  63. “Anonymous apparently behind doxing of 120K Russian soldiers in Ukraine war” (영어). 《Newsweek》. 2022년 4월 3일. 2022년 4월 6일에 확인함. 
  64. “How hackers piled onto the Israeli-Hamas conflict” (영국 영어). 《POLITICO》. 2023년 10월 15일. 2024년 7월 18일에 확인함. 
  65. “Hacktivists take sides in Israel-Palestinian war”. 《therecord.media》. 2024년 7월 18일에 확인함. 
  66. “Attacks on Israeli orgs 'more than doubled' since October 7, cyber researcher says”. 《therecord.media》. 2024년 7월 18일에 확인함. 
  67. “Israel-Palestine conflict: How Indian hackers sunk their cyber fangs into Hamas, Palestinian national bank” (영어). 《DNA India》. 2024년 7월 18일에 확인함. 
  68. “Pro-Palestine hackers target India, pro-India groups strike back”. 《The Times of India》. 2023년 10월 10일. ISSN 0971-8257. 2024년 7월 18일에 확인함. 
  69. “Israeli daily Jerusalem Post hit by multiple cyberattacks” (영어). 《Hindustan Times》. 2023년 10월 8일. 2024년 7월 18일에 확인함. 
  70. Franceschi-Bicchierai, Lorenzo (2023년 10월 9일). “Hacktivism erupts in response to Hamas-Israel war” (미국 영어). 《TechCrunch》. 2024년 7월 18일에 확인함. 
  71. Cardoso, Gustavo; Jacobetty, Pedro (2012). 〈Surfing the Crisis: Cultures of Belonging and Networked Social Change〉. Castells, Manuel; Caraça, João; Cardoso, Gustavo (편집). 《Aftermath: The Cultures of the Economic Crisis》. Oxford: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177–209쪽. ISBN 9780199658411. WikiLeaks is also based on an openness culture, as it is a crowd-sourced, crowd-funded non-profit organization operating internationally. 
  72. Pogrebna, Ganna; Skilton, Mark (2019). 《Navigating New Cyber Risks: How Businesses Can Plan, Build and Manage Safe Spaces in the Digital Age》. Cham, Switzerland: 팔그레이브 맥밀란. 2쪽. doi:10.1007/978-3-030-13527-0. ISBN 9783030135270. S2CID 197966404. WikiLeaks is an international non profit organization that receives and subsequently shares on its website confidential documents from large organizations or governments. 
  73. Braccini, Alessio Maria; Federici, Tommaso (2013). 〈New Internet-Based Relationships Between Citizens〉. Baskerville, Richard; De Marco, Marco; Spagnoletti, Paolo (편집). 《Designing Organizational Systems: An Interdisciplinary Discourse》. Berlin: 스프링거 네이처. 157–179쪽. doi:10.1007/978-3-642-33371-2. ISBN 978-3-642-33370-5. Julian Assange had introduced a new term into the lexicon of several generations. This term was 'WikiLeaks' and described an international non-profit organisation, committed to publishing secret information, news leaks, and classified media provided by anonymous sources. 
  74. Hindman, Elizabeth Blanks; Thomas, Ryan J (June 2014). 《When Old and New Media Collide: The Case of WikiLeaks》. 《New Media & Society16 (세이지 퍼블리싱). 541–558쪽. doi:10.1177/1461444813489504. S2CID 30711318. WikiLeaks was founded in 2006 as an international non-profit organization specializing in the publication of 'classified, censored or otherwise restricted material of political, diplomatic or ethical significance' obtained via anonymous sources 
  75. Dodds, Klaus J. (2012). 《The WikiLeaks Arctic Cables》.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48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01쪽. Bibcode:2012PoRec..48..199D. doi:10.1017/S003224741100043X. S2CID 129682201. With a keen sense of timing, given the Greenlandic and Danish governments' hosting of the 7th Arctic Council ministerial meeting, seven 'sensitive' US diplomatic cables were leaked by WikiLeaks, an international non-profit organisation that publishes materials from anonymous sources, news leaks, and whistleblowers 
  76. Benkler, Yochai (2011). 《A Free Irresponsible Press: Wikileaks and the Battle over the Soul of the Networked Fourth Estate》. 《하버드 민권-시민자유 법률 리뷰46 (Cambridge: 하버드 법학대학원). 311–397쪽 – 하버드 도서관 경유. Wikileaks is a nonprofit that depends on donations from around the world to fund its operation. A second system that came under attack on a model parallel to the attack on technical infrastructure was the payment system... Like the Sunlight Foundation and similar transparency-focused organizations, Wikileaks is a nonprofit focused on bringing to light direct, documentary evidence about government behavior so that many others, professional and otherwise, can analyze the evidence and search for instances that justify public criticism. 
  77. Fuchs, Christian (2014). 〈WikiLeaks: Can We Make Power Transparent?〉. 《Social Media: A Critical Introduction》. London/Thousand Oaks: 세이지 퍼블리싱. 210–233쪽. ISBN 978-1-4462-5730-2. WikiLeaks (www.wikileaks.org) is a non-commercial and non-profit Internet whistleblowing platform that has been online since 2006. Julian Assange founded it. It is funded by online donations. 
  78. Beckett, Charlie (2012). 《Wikileaks: News in the Networked Era》. Cambridge: 와일리. 26쪽. ISBN 978-0-745-65975-6. WikiLeaks is independent of commercial, corporate, government or lobbygroup control or ownership. It is a non-membership, non-profit organisation funded by donations 
  79. Flesher Fominaya, Cristina (2020). 《Social Movements in a Globalized World》 Seco판. London: 블룸즈버리 퍼블리싱. 177쪽. ISBN 9781352009347. As a non-profit organization, Wikileaks is funded by crowdfunding donations, which were subsequently blocked by PayPal, Mastercard, a Swiss Bank and Bank of America in protest over their political activity, a troubling example of 'the ability of private infrastructure companies to restrict speech without being bound by the contraints of legality, and the possibility that government actors will take advantage of this affordance in an extra-legal public-private partnership for censorship'. 
  80. Daly, Angela (2014). 《The Privatization of the Internet, WikiLeaks and Free Expression》. 《국제 통신 저널8 (Los Angeles: 남캘리포니아 대학교 아넨버그 커뮤니케이션 및 저널리즘 스쿨). 2693–2703쪽. SSRN 2496707유럽 대학 연구소 경유. In late 2010, the online nonprofit media organization WikiLeaks published classified documents detailing correspondence between the U.S. State Department and its diplomatic missions around the world, numbering around 250,000 cables. 
  81. [71][72][73][74][75][76][77][78][79][80]
  82. “WikiLeaks”. 《뉴욕 타임스》. 2016년 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4월 17일에 확인함. 
  83. McGreal, Chris (2010년 4월 5일). “Wikileaks reveals video showing US air crew shooting down Iraqi civilians”. 《가디언》 (London). 2011년 6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15일에 확인함. 
  84. “WikiLeaks names one-time spokesman as editor-in-chief” (미국 영어). 《AP (통신사). 2018년 9월 26일에 확인함. 
  85. Bridge, Mark (2018년 9월 27일). “Loss of internet forces Assange to step down from Wikileaks editor role”. 《타임스. 2019년 4월 11일에 확인함. 
  86. “What is Wikileaks”. 《WikiLeaks》. 2020년 4월 14일에 확인함. 
  87. “WikiLeaks' Website Is Falling Apart” (영어). 《Gizmodo》. 2022년 11월 22일. 2022년 12월 24일에 확인함. 
  88. Thalen, Mikael (2022년 11월 22일). “Millions of documents disappear from WikiLeaks as site completely breaks down” (미국 영어). 《더 데일리 닷. 2022년 12월 24일에 확인함. 
  89. Burgess, Matt. “Apple Tracks You More Than You Think” (미국 영어). 《와이어드》. ISSN 1059-1028. 2022년 12월 24일에 확인함. 
  90. “WikiLeaks è in grave difficoltà: sito a malapena online, leak ormai assenti” (이탈리아어). 《HDblog.it》. 2022년 11월 22일. 2022년 12월 24일에 확인함. 
  91. “Reporters Sans Frontières - Open letter to Wikileaks founder Julian Assange: A bad precedent for the Internet's future”. 2010년 8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5월 1일에 확인함. 
  92. Hubbard, Ben (2015년 6월 20일). “Cables Released by WikiLeaks Reveal Saudis' Checkbook Diplomacy”. 《뉴욕 타임스. 2019년 4월 20일에 확인함. 
  93. Zorthian, Julia (2015년 6월 19일). “WikiLeaks Begins Releasing Leaked Saudi Arabia Cables”. 《타임. 2019년 4월 20일에 확인함. 
  94. “Syria files: Wikileaks releases 2m 'embarrassing' emails”. BBC 뉴스. 2012년 7월 5일. 2019년 4월 20일에 확인함. 
  95. Greenberg, Andy (2012년 7월 5일). “WikiLeaks Announces Massive Release With The 'Syria Files': 2.4 Million Emails From Syrian Officials And Companies”. 《포브스. 2019년 4월 20일에 확인함. 
  96. Yeung, Peter (2016년 7월 20일). “President Erdogan emails: What is in the Wikileaks release about Turkey's government?”. 《인디펜던트. 2019년 4월 20일에 확인함. 
  97. Doctorow, Cory (2016년 7월 29일). “Wikileaks' dump of "Erdogan emails" turn out to be public mailing list archives”. BoingBoing. 2019년 4월 20일에 확인함. 
  98. Gramer, Robbie (2016년 12월 7일). “Latest Wikileaks Dump Sheds New Light on Erdogan's Power In Turkey”. 《외교 정책》. 2019년 4월 20일에 확인함. 
  99. Dahir, Abdi Latif (2019년 4월 13일). “It all started in Nairobi: How Kenya gave Julian Assange's WikiLeaks its first major global scoop”. Quartz Africa. 2019년 4월 20일에 확인함. 
  100. Rice, Xan (2007년 8월 31일). “The looting of Kenya”. 《가디언. 2019년 4월 20일에 확인함. 
  101. “The Fishrot scandal” (영어). 《pplaaf.org》. 2022년 3월 7일. 2022년 3월 13일에 확인함. 
  102. Menn, Joseph (2017년 3월 29일). “A scramble at Cisco exposes uncomfortable truths about U.S. cyber defense”. 《로이터. 2019년 4월 20일에 확인함. 
  103. Shane, Scott; Rosenberg, Matthew; Lehren, Andrew W. (2017년 3월 7일). “WikiLeaks Releases Trove of Alleged C.I.A. Hacking Documents”. 《뉴욕 타임스. 2019년 4월 20일에 확인함. 
  104. Regan, James; John, Mark (2015년 6월 23일). “NSA spied on French presidents: WikiLeaks”. 《로이터. 2019년 4월 20일에 확인함. 
  105. Rubin, Alyssa J.; Shane, Scott (2015년 6월 24일). “Hollande Condemns Spying by U.S., but Not Too Harshly”. 《뉴욕 타임스. 2019년 4월 20일에 확인함. 
  106. “Why it's entirely predictable that Hillary Clinton's emails are back in the news”. 《워싱턴 포스트. 2016년 11월 12일에 확인함. 
  107. Ohlheiser, Abby (2016년 11월 4일). “No, John Podesta didn't drink bodily fluids at a secret Satanist dinner”. 《워싱턴 포스트》. ISSN 0190-8286. 2016년 11월 8일에 확인함. 
  108. “WikiLeaks Fuels Conspiracy Theories About DNC Staffer's Death”. NBC 뉴스. 2016년 11월 8일에 확인함. WikiLeaks ... is fueling Internet conspiracy theories by offering a $20,000 reward for information on a Democratic National Committee staffer who was killed last month ... in what police say was robbery gone wrong ... Assange implied this week in an interview that Rich was the source of the leak and even offered a $20,000 reward for information leading to the arrest of his murderer. Meanwhile, the Russian government funded propaganda outlet RT had already been covering Rich's murder two weeks prior. RT and other Russian government propaganda outlets have also been working hard to deny the Russian government was the source of the leak, including by interviewing Assange about the Rich murder. ... The original conspiracy theory can be traced back to a notoriously unreliable conspiracy website 
  109. Chafkin, Max; Silver, Vernon (2016년 10월 10일). “How Julian Assange turned WikiLeaks into Trump's best friend”. 《블룸버그 뉴스》. 2016년 11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4월 17일에 확인함. 
  110. Brustein, Joshua (2016년 7월 29일). “Why Wikileaks Is Losing Its Friends”. 블룸버그 뉴스. 
  111. Satter, Raphael; Michael, Maggie (2016년 8월 23일). “Private lives are exposed as WikiLeaks spills its secrets” (미국 영어). AP (통신사). 2017년 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월 6일에 확인함. 
  112. Peterson, Andrea. “Snowden and WikiLeaks clash over leaked Democratic Party emails”. 《워싱턴 포스트.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113. “U.S. prosecution of alleged WikiLeaks 'Vault 7' source hits multiple roadblocks” (미국 영어). 《news.yahoo.com》. 2021년 10월 6일. 2022년 10월 16일에 확인함. 
  114. “Feature by Chris Landers: Serious Business | 4/2/2008”. 2008년 6월 8일. 2008년 6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일에 확인함. 
  115. “#OpSafeWinter: Anonymous fights homelessness worldwide”. 《The Daily Dot》. 2014년 1월 4일. 2015년 11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일에 확인함. 
  116. “4chan Users Organize Surgical Strike Against MPAA – MediaCenter Panda Security” (미국 영어). 《MediaCenter Panda Security》. 2010년 9월 17일. 2016년 1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일에 확인함. 
  117. Goldman, David. “Hacker group Anonymous is a nuisance, not a threat”. 《CNNMoney》. 2013년 3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일에 확인함. 
  118. “Anonymous has declared war on Isis after the Paris attacks” (영국 영어). 《The Independent》. 2015년 11월 16일. 2016년 1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3일에 확인함. 
  119. “Anonymous Hacks ISIS, But Warns Against Collaborating With US”.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2015년 12월 15일. 2016년 1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3일에 확인함. 
  120. LaCapria, Kim (2016년 7월 11일). “Anonymous 'Day of Rage' Protests”. 《snopes》. 2016년 10월 23일에 확인함. 
  121. “Black Lives Matter Protests Happening Today At SF's Civic Center And Downtown Oakland” (미국 영어). 《SFist》. 2016년 7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3일에 확인함. 
  122. Antson, Franck (2003년 7월 9일). “Arrestation du " hacker " le plus recherché de France” (프랑스어). 《leparisien.fr》. 2021년 5월 5일에 확인함. 
  123. “DKD[|| Officially stopped”. 《www.zone-h.org》. 2019년 3월 10일에 확인함. 
  124. “Arrestation du " hacker " le plus recherché de France”. 
  125. Gilbert, David (2014년 9월 30일). “LulzSec Reunited: Anonymous Hackers Meet for the First Time in Real Life”.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UK》. 2016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1일에 확인함. 
  126. United States of America v. Hector Monsegur. Southern District Court of New York. 23 May 2014. Cryptome.org. N.p., n.d. Web. 20 Oct. 2016.
  127. Watts, Susan (2013년 5월 16일). “Former Lulzsec hacker Jake Davis on his motivations” (영국 영어). 《BBC News》. 2016년 1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1일에 확인함. 
  128. “Leading Member of the International Cyber Criminal Group LulzSec Sentenced in Manhattan Federal Court” (미국 영어).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2016년 1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1일에 확인함. 
  129. Rich Stanton (2023년 11월 23일). “Self-described gay furry hackers breach one of the biggest nuclear labs in the US, and demand it begin researching 'IRL catgirls' (영어). 《PC Gamer》. 2024년 5월 1일에 확인함. 
  130. “Self-proclaimed 'gay furry hackers' breach nuclear lab” (미국 영어). 《Engadget》. 2023년 11월 22일. 2024년 5월 1일에 확인함. 
  131. Lyons, Jessica. “NATO investigates hacktivist group's stolen data claims” (영어). 《www.theregister.com》. 2024년 5월 1일에 확인함. 
  132. “NATO investigates alleged data theft by SiegedSec hackers” (미국 영어). 《BleepingComputer》. 2024년 5월 1일에 확인함. 
  133. Vicens, A. J. (2023년 7월 26일). “NATO investigating apparent breach of unclassified information sharing platform” (미국 영어). 《CyberScoop》. 2024년 5월 1일에 확인함. 
  134. Thalen, Mikael (2024년 4월 16일). “Furry hackers far-right campaign sets sights on Charlie Kirk, Steve Bannon” (미국 영어). 《The Daily Dot》. 2024년 5월 1일에 확인함. 
  135. “Gay Furry Hacker Group SiegedSec Breached a Far-Right Media Outlet and Wreaked Havoc”. 《www.msn.com》. 2024년 5월 1일에 확인함. 
  136. Thalen, Mikael (2024년 7월 10일). “Read the furious texts the Heritage Foundation sent furry hacking collective SiegedSec after breach”. 《더 데일리 닷. 2024년 7월 10일에 확인함. 
  137. Cross, Alison (2023년 7월 5일). “UConn targeted in cyberattack allegedly by hacker in group known for targeting government agencies”. 《하트퍼드 쿠란트. 2024년 7월 10일에 확인함. 
  138. Vicens, A. J. (2024년 7월 9일). “Hacktivists release two gigabytes of Heritage Foundation data”. 《CyberScoop》. 2024년 7월 10일에 확인함. 
  139. Cahill, Sebastian (2023년 7월 14일). “Gay furry hackers are targeting US states for passing anti-trans legislation”. 《비즈니스 인사이더. 2024년 7월 10일에 확인함. 
  140. Musgrave, Shawn (2024년 7월 9일). "Gay Furry Hackers" Claim Credit for Hacking Heritage Foundation Over Project 2025”. 《디 인터셉트. 2024년 7월 10일에 확인함. 
  141. Hansford, Amelia (2024년 7월 10일). 'Gay furry hackers' steal 200GB of data in huge anti-Project 2025 cyber attack”. 《핑크뉴스. 2024년 7월 10일에 확인함. 
  142. Liu, Nicholas (2024년 7월 10일). "Gay furry hackers" claim credit for Heritage Foundation cyberattack” (영어). 《Salon.com. 2024년 7월 10일에 확인함. 
  143. Factora, James (2024년 4월 19일). “Gay Furry Hacker Group SiegedSec Breached a Far-Right Media Outlet and Wreaked Havoc”. 《. 2024년 7월 10일에 확인함. 
  144. Wilson, Jason (2023년 6월 29일). 'Gay furries' group hacks agencies in US states attacking gender-affirming care”. 《가디언. 2024년 7월 10일에 확인함. 
  145. 다리우스 예멜니아크; 알렉산드라 프르제갈린스카 (2020년 2월 18일). 《Collaborative Society》. MIT Press. ISBN 978-0-262-35645-9. 
  146. Steinberg, Monica (2021년 7월 3일). 《Coercive Disobedience: Art and Simulated Transgression》. 《Art Journal》 80. 78–99쪽. doi:10.1080/00043249.2021.1920288. ISSN 0004-3249. S2CID 237576098. 
  147. Leng, Kirsten (2020). 《Art, Humor, and Activism: The Sardonic, Sustaining Feminism of the Guerrilla Girls, 1985–2000》. 《Journal of Women's History》 32. 110–134쪽. doi:10.1353/jowh.2020.0042. S2CID 234960403. ProQuest 2474480405.  |id=에 templatestyles stripmarker가 있음(위치 1) (도움말)
  148. Carducci, Vince (2006). 《Culture Jamming》. 《Journal of Consumer Culture》 6. 116–138쪽. doi:10.1177/1469540506062722. S2CID 145164048. 
  149. Bohan, S. (2005). “Media Hacking”. SeanBohan.com. 2007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2월 9일에 확인함. 
  150. Heavens, A. (2005). “Hacking Baby Cheetahs and Hunger Strikes”. Meskel Square. 2006년 1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2월 9일에 확인함. 
  151. Peter Kafka (2008년 6월 20일). “Obama, McCain Debate Via Twitter: How To Follow Along*”. Alleyinsider.com. 2009년 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1일에 확인함. 
  152. “Twitter backlash over McCain campaign 'suspension'. Good Gear Guide. 2008년 9월 25일. 2008년 1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1일에 확인함. 
  153. 하워드 라인골드 (2006년 8월 22일). “Blog Archive » Wikipedia on SMS, political impacts”. Smart Mobs. 2011년 6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1일에 확인함. 
  154. Jonsson, Staffan; Waern, Annika (2008). 〈The art of game-mastering pervasive games〉. 《Proceedings of the 2008 International Conference in Advances on Computer Entertainment Technology - ACE '08》. 224–31쪽. doi:10.1145/1501750.1501803. ISBN 978-1-60558-393-8. S2CID 14311559. 
  155. “Urban Hacking: Cultural Jamming Strategies in the Risky Spaces of Modernity”. Transcript. 2018년 5월 15일에 확인함. 

더 읽어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