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성욱 (법학자)
허성욱 허성욱 | |
|---|---|
| 국적 | 대한민국 |
| 시민권 | 대한민국 |
| 학력 | 서울대학교 |
| 직업 | 법학자 |
| 활동 기간 | 2003–현재 |
| 고용주 | 서울대학교 |
| 소속 | 서울대학교 아시아태평양법연구소 |
| 칭호 | 교수 |
| 칭호 기간 | 2015년–현재 |
| 병역 | 대한민국 육군 법무관 |
| 허성욱 | |
|---|---|
| 한글 표기: | 허성욱 |
| 한자 표기: | 許盛旭 |
| 개정 로마자 표기: | Heo Seong-uk |
| 매큔-라이샤워 표기: | Hŏ Sŏng-uk |
| 예일 표기: | he sengwuk |
| 공식 로마자 표기: | Seong Wook Heo |
허성욱은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공법 교수로, 행정법, 환경법, 법경제학을 중심으로 연구한다.[1][2] 공직에서 판사로 근무한 뒤 학계에 진입했으며, 학회·정부위원회 활동과 더불어 에너지·기후·데이터 규제 분야에서 법과 경제학의 분석틀을 접목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3] 2025년에는 한국법경제학회 회장으로 연임되었다.[4] 서울대학교에서 행정법, 환경법, 법경제학 관련 과목을 담당한다.[2]
생애와 교육
[편집]서울대학교 경제학부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한 뒤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에서 법학석사 및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5] 사법연수원을 수료한 뒤 육군 법무관으로 근무하였다.[5]
학문적 관심과 방법론
[편집]연구의 축은 규제행정, 환경·에너지, 개인정보·정보기술 분야이며, 선택이론·거래비용·공익개념 등 경제학적 분석도구를 공법 이론에 결합한다.[2] 공법의 근본개념으로 자유와 권리를 재구성한 글과[6] 비례원칙·사법심사 기준 등에 관한 비교연구를 통해 행정재량 통제의 이론화를 시도하였다.[7]
경력
[편집]- 1998–2000: 사법연수원 제29기 수료[5]
- 2000–2003: 대한민국 육군 법무관[5]
- 2003–2005: 인천지방법원 배석판사 (지적재산권·환경·건설 전담)[5]
- 2005–2006: 서울중앙지방법원 단독판사 (지적재산권 전담)[5]
- 2006–2010: 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조교수[5]
- 2010–2015: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부교수[5]
- 2010–2011: 스탠퍼드 대학교 아시아·태평양연구소 방문학자[8]
- 2009–2010: 뮌헨대학교(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 방문연구[5]
- 2015–현재: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5]
- 2016–2018: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부학장·법학전문대학원 부원장[5]
- 2023–현재: 서울대학교 아시아태평양법연구소장[2]
- 2023–현재: 한국법경제학회 회장(2025년 연임)[2][4]
주요 활동
[편집]- 학회: 한국공법학회·한국환경법학회·한국규제법학회 이사/부회장, 한국법경제학회 회장(2015–2019년 《법경제학연구》 편집주간 역임)[2][9]
- 국제네트워크: 아시아법경제학회(ASLEA) 이사[10]
- 정책·위원회(일부): 대통령실 행정심판위원회 위원, 금융감독원 제재심의위원회 위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비상임감사, 환경부 과징금심의위원회 위원, 법제처 국가행정법제위원회 위원, 전력거래소 수소발전입찰시장위원회 위원, 대법원 사법서비스진흥기금운용심의위원회 위원, 서울대학교 지식재산권관리위원회 위원(모두 2023년 기준)[2]
- 입법·정책 자문: 대한민국의 녹색성장기본법(안) 및 배출권거래제(안) 설계 과정에 참여하였다.[3]
연구 및 학문적 입장
[편집]그의 연구는 공익 개념과 개인의 자유·권리의 조화를 핵심축으로 삼는다. 공법과 사법의 경계에서 공법상 기준(예: 환경기준)의 사법상 효력을 둘러싼 논쟁에 체계적으로 답하며, 재량 통제의 기준으로서 비례원칙과 사후적 민주적 책무성을 함께 고려하는 접근을 취한다.[6] 데이터·알고리즘 환경에 대해서는 위험·편익 분석과 사전예방의 원칙을 균형 있게 적용해야 한다고 제시한다.[3]
저서
[편집]- (공편) 《경제적 효율성과 법의 지배》, 박영사, 2009.[11]
- (공편) 《기후변화와 법의 지배》, 박영사, 2010.[12]
- (공저) 《인공지능법》, 박영사, 2025.[13]
논문
[편집]- 허성욱, 김정민 (2024). 〈화물운수사업 구조의 법경제학적 검토 ― 최소운송의무 강화와 차량등록원부 명의변경 법률개정안을 중심으로〉, 법경제학연구 21(3): 301–328. doi:10.46758/kjle.2024.12.21.3.301.[14]
- 화물운수시장 구조를 계약유형과 거래비용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정책변경이 이해관계자 간 후생이전을 어떻게 초래하는지 계산 가능하게 제시한다. 최소운송의무 강화의 효과를 공공선택론으로 점검한다. 명의변경 제안의 효율성은 전환비용과 정보비대칭에 달려 있음을 보인다. 결론은 점진적 제도개선이 전체 효율을 높일 조건을 제시한다.
- 허성욱 (2020). 〈공법의 근본개념으로서 자유와 권리〉, 공법연구 48(4): 1–27. doi:10.38176/PublicLaw.2020.06.48.4.1.[15]
- 자유·권리의 개념을 공법이론에 맞게 단계적으로 정리한다. 개인선택과 사회선택이 충돌할 때 법원이 취할 기준을 제안한다. 공익 개념의 작동방식을 판례를 통해 설명한다. 행정재량 통제와의 연계를 도식화한다. 비례원칙 적용의 구체적 판단틀을 제시한다.
- 허성욱 (2012). 〈기후변화시대의 불법행위법〉, 사법 21: 3–30. doi:10.22825/juris.2012.1.21.003.[16]
- 기후위기 손해와 인과관계를 불법행위법 관점에서 정리한다. 과학불확실성 하에서의 입증책임 분담을 비교법적으로 검토한다. 예방원칙과 비용편익분석의 결합 방식을 설명한다. 집단소송·징벌배상의 적합성을 검토한다. 규제수단과 사법구제의 상호보완을 제안한다.
대외·국제 활동
[편집]2010–2011년 스탠퍼드 대학교 방문학자였다.[17] 아시아법경제학회(ASLEA) 이사로 활동한다.[18]
상훈
[편집]-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공동편저 《경제적 효율성과 법의 지배》(2010), 《기후변화와 법의 지배》(2011)) 선정[3]
- 2017년 마르퀴스 후즈 후(Albert Nelson Marquis Lifetime Achievement Award) 평생공로상 — 법 분야 한국인 최초 수상으로 발표되었다.[19]
각주
[편집]- ↑ “교수진 목록”.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서울대학교.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허성욱 — 교수진 소개”.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서울대학교.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Bio — Seongwook Heo” (PDF) (영어). 《Seoul National University Law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허성욱 서울대 교수, 한국법경제학회 회장 연임”. 《법률신문》. Lawtimes. 2025년 2월 7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Curriculum Vitae — Seongwook Heo” (PDF) (영어). 《Seoul National University Law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공법의 근본개념으로서 자유와 권리”. 《RISS》. KERIS.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The Functional Transformation of Courts — Korea Chapter (excerpts)” (영어). 《V&R eLibrary》. V&R unipress.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Seong Wook Heo — Visiting Scholar 2010–2011” (영어). 《Stanford FSI》. Stanford University.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People — SNU Trustworthy AI Lab (bio excerpt)” (영어). 《Trustworthy AI Lab (SNU)》. Seoul National University.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ASLEA Board Members” (영어). 《Asia Law and Economics Association》. ASLEA.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경제적 효율성과 법의 지배”. 《YES24》. 예스이십사.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기후변화와 법의 지배”. 《알라딘》. 알라딘커뮤니케이션.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저자: 허성욱 — 소장 자료(일부)”. 《한양대학교 도서관》. 한양대학교.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KCI 서지 정보 — 법경제학연구 21(3)”. 《KCI》. 한국연구재단.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RISS 기록 — 공법의 근본개념으로서 자유와 권리”. 《RISS》. KERIS.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사법 21권 — 목차/서지(외부 색인)”. 《대한민국 법원도서관 외부 색인》. 사법연구.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Seong Wook Heo — Visiting Scholar 2010–2011” (영어). 《Stanford FSI》. Stanford University.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ASLEA Board Members” (영어). 《ASLEA》. Asia Law and Economics Association.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서울대 허성욱 교수 법 분야 한국인 최초 ‘마르퀴즈 후즈 후’ 평생공로상”. 《MBN》. 매일방송. 2017년 6월 9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