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릉로
보이기
	
	
| 서울특별시도  경기도 지방도  | |
|---|---|
| 
 41 342  | |
| 헌릉로 | |
| 서울특별시도 제41호선의 일부 (안내용)  서울특별시도 제27호선의 일부 (관리용) 지방도 제342호선의 일부  | |
| 총연장 | 10.907km | 
| 기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 
| 주요 경유지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울특별시 강남구 서울특별시 송파구 경기도 성남시  | 
| 종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 | 
| 주요 교차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용인서울고속도로 국도 제3호선 국도 제47호선 서울특별시도 제51호선 서울특별시도 제61호선 서울특별시도 제71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지방도 제342호선 수정로  | 
헌릉로(獻陵路, Heolleung-ro)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염곡사거리에서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 산성역사거리를 잇는 도로다.
역사
[편집]- 1955년 6월 15일 : 복정동~수어장대 연결도로를 우남로(雩南路)로 명명. 이승만의 호를 땀.[1][2]
 - 1960년 4월 : 우남로 표지석 철거[2]
 - 1971년 9월 3일 : 양재동~복정동 간 서울특별시 구간을 대곡로(大谷路)로 개설. 대모산과 인릉산 사이의 큰 골짜기에 놓인 도로라는 의미이며, 본래 폭 20m에 총 연장 8.5km인 도로로 개설할 계획이었지만 건설 중 변경됨.[3]
 - 1984년 11월 7일 : 대곡로를 헌릉로(獻陵路)로 개칭[4]
 - 1986년 : 복정동~산성동 간 성남시 구간을 약진로(躍進路)로 개설[5][2]
 - 2002년 2월 : 약진로를 우남로로 개칭[6]
 - 2009년 7월 10일 : 헌릉로와 우남로를 통합하여,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헌릉로를 고시[7]
 - 2023년 7월 8일: 1구간 중앙버스차로 개통[8]
 
주요 경유지
[편집]노선
[편집]| 이름[9]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 강남대로와 직결 | ||||
| 염곡사거리  (염곡지하차도)  | 
국도 제47호선 (양재대로)  | 
서울특별시 | 서초구 | 서울특별시도 제41호선 구간 | 
| 청계산입구삼거리 | 청계산로 | |||
| 염곡 나들목 | 양재대로12길 | |||
| 내곡 나들목 | 서울특별시도 제51호선  (분당내곡로)  | |||
| 헌인릉입구 교차로 | 헌인릉길 | |||
| 헌릉 나들목 | 171호선 용인서울고속도로 | |||
| (세곡푸르지오) | 자곡로 | 강남구 | ||
| 세곡1교 | ||||
| 세곡동사거리 |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밤고개로)  | 
|||
| 세곡삼거리 | 위례터널  헌릉로718길  | 
|||
| 율현삼거리 | 헌릉로745길 | |||
| 대곡교 | ||||
| 송파구 | ||||
| 복정 교차로 | 서울특별시도 제61호선  (동부간선도로) 분당수서로  | 
|||
| 복정역 교차로 | 국도 제3호선  서울특별시도 제71호선 (송파대로) (성남대로)  | 
|||
| 송파 나들목 | 100호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
| 창곡천교 | 지방도 제342호선 구간 | |||
| 성남시 | 수정구 | |||
| 복정삼거리 | 헌릉로890번길 | |||
| (이름 없음) | 위례터널  위례서로  | |||
| 창곡 교차로 (남위례역) | 위례대로  공원로  | |||
| 산성역사거리 | 지방도 제342호선  (수정로) 수정로366번길  | |||
주요 건물 및 시설
[편집]- KOTRA, 외국기업창업지원센터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릉로 7)
 - 현대자동차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릉로 12)
 - 기아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릉로 12)
 - 염곡치안센터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릉로 73)
 - 서울특별시어린이병원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릉로 260)
 - 대왕파출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헌릉로 623)
 - 송파공영차고지 (서울특별시 송파구 헌릉로 869)
 - 위례119안전센터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헌릉로 1003)
 
각주
[편집]- ↑ “리 대통령 각하 송수탑 제막”. 《대한뉴스》. 1955년 7월 4일. 2016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이재명 (2016년 9월 12일). “<이승만의 호 우남>”. 《Tweeter》. 2016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손성진 (2013년 3월 27일). “[DB를 열다] 1971년 서울 양재동 말죽거리와 성남을 잇는 대곡로 개통식”. 《서울신문》. 2016년 7월 16일에 확인함.
 - ↑ 서울특별시공고 제673호, 1984년 11월 7일.
 - ↑ “시민상담실”. 《경향신문》. 1986년 6월 4일. 2016년 1월 3일에 확인함.
 - ↑ 디지털성남문화대전 - 헌릉로, 2016년 10월 9일 확인함.
 - ↑ 행정안전부고시 제2009-30호, 2009년 7월 10일.
 - ↑ 헌릉로 중앙버스차로 3.2㎞ 개통…정류소 8개 신설 출처: 뉴시스
 - ↑ 교차로와 나들목뿐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과 시설도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