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미딕티움속
보이기
	
	
| 
 | |
|---|---|
| 생물 분류ℹ️ | |
| 계: | 식물계 | 
| 문: | 양치식물문 | 
| 강: | 양치식물강 | 
| 목: | 고사리목 | 
| 아목: | 꼬리고사리아목 | 
| 과: | 헤미딕티움과 (Hemidictyaceae) Christenh. & H. Schneider. 2011  | 
| 속: | 헤미딕티움속 (Hemidictyum) C.Presl 1836  | 
| 종: | 헤미딕티움 마르기나툼 (H. marginatum)  | 
| 학명 | |
| Hemidictyum marginatum | |
| (L.) C.Presl | |
헤미딕티움속(Diplaziopsidaceae)은 양치식물강 고사리목 분류군에 속하는 양치류 속의 하나이다.[1] 헤미딕티움과(Hemidictyaceae)의 유일속이다. 헤미딕티움과는 꼬리고사리과의 자매 과로 간주되며, 백악기에 갈라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2][3] 헤미딕티움(Hemidictyum)이라는 학명은 "중간"(half) 또는 "절반"이라는 의미의 "헤미"(hemi)와 "그물"이라는 의미의 "딕티온"(diktyon)의 합성어에서 유래했다.[4]
분포
[편집]헤미딕티움속은 신열대구에서 자생하는 양치류로 멕시코와 카리브해, 코스타리카, 과테말라, 온두라스, 니카라과, 파나마, 프랑스령 기아나, 수리남, 브라질, 베네수엘라, 푸에르토리코, 볼리비아, 콜롬비아, 에콰도르 그리고 페루 등에서 발견된다.[5]
하위 종
[편집]현재, 헤미딕티움속(Hemidictyum)으로 공식 인정되는 종은 헤미딕티움 마르기나툼(H. marginatum)뿐이다. 나머지는 이명으로 간주하거나 꼬리고사리속(Asplenium)으로 분류한다.[6]
- Hemidictyum marginatum (L.) C.Presl 1836
 
- = Asplenium marginatum L. 1753
 - = Asplenium limbatum Willd 1810 (nom. illeg superfl.)
 - = Diplazium marginatum Blume 1828
 - = Hemidictyum limbatum (Willd.) C.Presl 1851
 - = Diplazium marginatum (L.) Diels 1899 (nom. illeg)
 - = Diplazium limbatum (Willd.) Proctor 1966 (comb. superfl.)
 
- Hemidictyum purdieanum (Hook.) T.Moore 1857
 
- = Asplenium purdieanum Hook 1854
 
- Hemidictyum finlaysonianum (Wall. ex Hook) T.Moore 1857
 
- = Asplenium finlaysonianum Wall. ex Hook 1854
 
계통발생학적 관계
[편집]2016년 꼬리고사리아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7]
| 꼬리고사리아목 | 
  | ||||||||||||||||||||||||||||||||||||||||||||||||||||||||||||
각주
[편집]- ↑ Alan R. Smith, Kathleen M. Pryer, Eric Schuettpelz, Petra Korall, Harald Schneider & Paul G. Wolf (2006). “A classification for extant ferns” (PDF). 《Taxon》 55 (3): 705–731. doi:10.2307/25065646. 2008년 2월 2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21일에 확인함.
 - ↑ Maarten J. M. Christenhusz, Xian-Chun Zhang & Harald Schneider (2011). “A linear sequence of extant families and genera of lycophytes and ferns” (PDF). 《Phytotaxa》 19: 7–54.
 - ↑ Maarten J. M. Christenhusz & Harald Schneider (2011). “Corrections to Phytotaxa 19: Linear sequence of lycophytes and ferns” (PDF). 《Phytotaxa》 28: 50–52.
 - ↑ The Fern Manual, being a description of all the best stove, greenhouse and hardy ferns by contributors to the Journal of Horticulture p.69, London, 1863
 - ↑ Hemidictyum marginatum[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USDA-ARS Germplasm Resources Information Network (GRIN) 25 Jul 2002
 - ↑ Hemidictyum Tropicos.org. Missouri Botanical Garden. 04 Feb 2012
 - ↑ PPG I (2016). “A community-derived classification for extant lycophytes and ferns”. 《Journal of Systematics and Evolution》 54 (6): 563–603. doi:10.1111/jse.12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