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헨리 푸젤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헨리 푸젤리
1778년 헨리 푸젤리. 제임스 노스콧의 초상화.
1778년 헨리 푸젤리. 제임스 노스콧의 초상화.
신상정보
본명 요한 하인리히 퓌슬리
출생 1741년 2월 7일(1741-02-07)
취리히, 스위스
사망 1825년 4월 17일(1825-04-17)(84세)
퍼트니 힐, 런던, 잉글랜드
사조 낭만주의
배우자
소피아 롤린스(결혼: 1788년)
주요 작품
악몽 (푸젤리)
영향

헨리 푸젤리(영어: Henry Fuseli)[1][2][3] 요한 하인리히 퓌슬리(독일어: Johann Heinrich Füssli, 1741년 2월 7일 – 1825년 4월 17일)는 스위스의 화가, 제도사, 예술 작가로, 생애의 대부분을 영국에서 보냈다.

그의 성공적인 작품 중 다수는 악몽 (푸젤리)과 같은 초자연적인 경험을 묘사한다. 그는 존 보이델의 셰익스피어 갤러리와 자신의 "밀턴 갤러리"를 위해 그림 작품을 제작했다. 왕립예술원의 회화 교수와 관리직을 역임했다. 그의 스타일은 윌리엄 블레이크를 포함한 많은 젊은 영국 예술가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생애

[편집]
토르가 미드가르드 뱀을 공격하다. 푸젤리의 왕립예술원 졸업 작품(1790)

푸젤리는 1741년 2월 7일 취리히에서 18명의 자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4] 스위스 곤충학자이자 화가인 요한 카스파르 퓌슬리와 안나 퓌슬리가 형제이다. 그의 아버지는 초상화 및 풍경화가이자 스위스 화가들의 삶을 저술한 요한 카스파르 퓌슬리였다. 헨리 푸젤리는 교회 봉사를 원한 아버지의 뜻에 따라 취리히의 캐롤라인 대학에 입학하여 고전 교육을 받았다.[5] 푸젤리는 대학에서 후일 시인이자 철학자, 신학자가 되는 요한 카스파르 라바터와 친한 친구가 되었다.

1761년 성직을 받은 후, 푸젤리는 라바터가 부당한 판사를 폭로하는 것을 도운 결과로 인해 스위스를 떠나야 했다. 그는 독일을 여행했고, 1765년에 영국을 방문하여 한동안 잡문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그 과정에서 조슈아 레이놀즈 경을 알게 되었고, 그에게 자신의 그림을 보여주었다. 레이놀즈의 조언에 따라 그는 예술에 전념하기로 결정했다. 1770년, 그는 이탈리아로 예술 순례를 떠났고, 1778년까지 그곳에 머물면서 자신의 이름을 퓌슬리에서 더 이탈리아어스러운 푸젤리로 바꿨다.[4] 로마에서 그는 스코틀랜드 예술가 알렉산더 런시먼과 스웨덴 조각가 토비아스 세르겔과 함께 활동했다.[6]

1779년 초, 그는 취리히를 방문한 후 영국으로 돌아왔다. 런던에서 그는 당시 셰익스피어 갤러리를 설립 중이던 상인 존 보이델로부터 의뢰를 받았다. 푸젤리는 보이델을 위해 여러 작품을 그렸고,[7] 라바터의 관상학 관련 작품의 첫 영어판을 감독했다.[8][9] 그는 또한 영국의 시인이자 성공회 찬송가 작곡자인 윌리엄 쿠퍼호메로스 번역을 준비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1788년, 푸젤리는 그의 모델이었던 소피아 롤린스와 결혼했고, 곧 왕립예술원 회원이 되었다.[4] 초기 페미니스트 메리 울스턴크래프트(푸젤리가 초상화를 그려주었음)가 그와 함께 하는 파리 여행을 계획했고 그를 계속 쫓아다녔지만, 롤린스가 둘의 관계를 막아 중단되었다. 푸젤리는 나중에 "나는 똑똑한 여자들을 싫어한다. 그들은 단지 귀찮을 뿐이다"라고 말했다.[10] 1790년에 그는 정식 왕립예술원 회원이 되었고, 미드가르드 뱀을 공격하는 토르를 졸업 작품으로 제출했다.[11] 1799년, 푸젤리는 왕립예술원의 회화 교수로 임명되었다. 4년 후, 그는 관리자로 선출되어 교수직을 사임했지만, 1810년에 다시 교수직을 맡아 사망할 때까지 두 직책을 모두 유지했다.[4]

1799년, 푸젤리는 존 밀턴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은 일련의 그림들을 전시하여, 보이델의 셰익스피어 갤러리에 필적하는 밀턴 갤러리를 설립하고자 하였다. 9년 동안 간헐적으로 47점의 밀턴 그림을 그렸고, 그 중 대부분의 작품이 대형작이었다. 이 전시는 상업적으로 실패하여 1800년에 문을 닫았다.

이탈리아 신고전주의 조각가인 안토니오 카노바는 영국을 방문했을 때 푸젤리의 작품에 깊이 감동했고, 1817년 로마로 돌아와 그를 산 루카 아카데미의 1급 회원으로 선출하도록 도왔다.[4]

작품

[편집]

푸젤리는 초자연적인 것을 선호했다. 그는 모든 것을 이상적인 규모로 설정했으며, 고차원의 역사 회화를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과장이 필요하다고 믿었다. 이 이론은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의 작품과 로마시대 대리석 조각상인 "말 조련사"을 연구하면서 확고해졌는데,[4][12] 그가 로마에 있을 때 어두운 저녁 하늘 혹은 번개가 칠 때 이 조각상을 감상하는 것을 좋아했다.[4]

영국의 작가이자 비평강인 윌리엄 마이클 로제티는 1911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에서 그의 스타일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였다.

그의 인물들은 생명력과 진지함으로 가득 차 있으며, 강렬하게 추구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는 루벤스처럼 인물들을 움직이게 하는 예술에 뛰어났다. 숭고하고 무서운 것이 그의 본래 영역이었지만, 푸젤리는 익설스러움에 대해서도 미세한 감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의 요정 장면, 특히 한여름 밤의 꿈에서 가져온 것들의 기괴한 유머는 그의 더 야심찬 작품들의 시적인 힘 못지않게 주목할 만하다.[4]

푸젤리는 색채 화가로 유명하지는 않았지만,[4] 빛과 그림자의 대가로 묘사되었다.[13] 대부분의 화가들처럼 팔레트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기보다는 색상들을 무작위로 분산시켰다. 그는 종종 마른 가루 형태의 안료를 사용했는데, 이를 브러시 끝으로 기름, 테레빈유, 또는 금박 도금과 혼합했으며, 양에 상관없이 전체적인 효과를 우연에 맡겼다. 이러한 무모함은 그가 25세까지 유화를 그리지 않았다는 사실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4]

악몽 (푸젤리) (1781), 디트로이트 미술관

푸젤리는 200점 이상의 그림을 그렸지만, 그 중 몇몇 작품만 공개했다. 그는 초기에 <빵집 주인과 집사의 꿈을 해석하는 요셉>을 그렸는데, 주목을 받은 첫 작품은 1782년에 전시된 악몽 (푸젤리)이었고, 그는 이 그림을 여러 버전으로 그렸다.[4] 악몽에서 볼 수 있는 공포, 흑마술, 섹슈얼리티와 같은 주제들은 1796년 그의 그림인 <라플란드 마녀를 방문하는 밤의 마녀>에서도 나타난다.[14]

그의 스케치나 디자인은 약 800점에 달했으며, 발명과 디자인에서 훌륭한 자질을 보여주며 그의 그림보다 뛰어난 작품도 존재한다. 그의 드로잉에서도 그림과 마찬가지로 인체의 비례를 의도적으로 과장하고 인물들을 뒤틀린 자세로 그리는 기법을 사용했다. 종이 위에 임의로 점을 찍은 후, 사지를 그 점에 맞추는 기법을 사용하기도 했다.[4] 그는 일상생활의 인물을 거의 그리지 않았고, 고대 미술과 미켈란젤로 연구를 바탕으로 자신의 예술을 만들었다.

그는 풍경화을 그리지 않았으며 — "젠장 자연! 그녀는 항상 나를 방해해"라는 것이 주장이었다 — 초상화는 두 점만 그렸다.[4] 그러나 조지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와 같은 동시대 풍경화가들처럼 그는 공포와 숭고함의 특성을 그림에 넣었다.

저술

[편집]
헨리 푸젤리 (83세), 에드워드 호지스 베일리 작, 1824, 내셔널 갤러리, 런던

그는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영어, 독일어에 능통했으며, 이 모든 언어로 쉽고 활력 있게 글을 쓸 수 있었지만, 그의 생각을 표현하는 데에는 독일어를 선호했다. 그의 주요 저술은 1801년에 시작된 왕립예술원에서 행한 열두 편의 강의 시리즈였다.[4]

영향

[편집]

그의 제자로는 데이비드 윌키, 벤저민 헤이든, 윌리엄 에티, 에드윈 랜드시어등이 있다.[15] 윌리엄 블레이크도 그에게 영감을 받았다.[16][17]

사망

[편집]

그는 1825년 4월 17일, 84세의 나이로 런던 남동부에 있는 길드포드 백작 부인의 집에서 사망했으며,[18] 세인트폴 대성당의 지하 묘지에 안장되었다.[19] 그는 사망 당시 비교적 부유했다.[4]

갤러리

[편집]

영화

[편집]

도서

[편집]

각주 및 자료

[편집]

각주

[편집]
  1. “Fuseli” 5판.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arperCollins. 2019년 8월 14일에 확인함. 
  2. “Fuseli”. 《콜린스 영어사전》. 하퍼콜린스. 2019년 8월 14일에 확인함. 
  3. 〈Fuseli, Henry〉.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UK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20년 9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 본 문서에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5. 국립 미술관의 헨리 푸젤리
  6. Macmillan, Duncan (2023), Scotland and the Origins of Modern Art, Lund Humphries, London, pp. 65–71, ISBN 978-1-84822-633-3
  7. 국립 미술관의 헨리 푸젤리
  8. LAVATER, John Caspar. Essays on Physiognomy, designed to promote the Knowledge and Love of Mankind. Translated by Henry Hunter, D. D. Lond. 1789-98, royal 4to. In 41 nos. forming 5 vols. "A sumptuous Edition, executed by, and under the inspection of, Thomas Holloway. The translation and engravings were under the superintendence of the celebrated H. Fuseli, R.A., at whose solicitation Lavater furnished an entire fresh set of Drawings in quarto, to suite the prevailing taste of the public, it having been originally intended for folio size. The Engravings were executed by Thos. Holloway, Bartolozzi, Wm. Blake, and other eminent artists. […]" In: The bibliographer's manual of English literature by William Thomas Lowndes volume 5
  9. Advertisement [by Henry Fuseli]. In: Essays on physiognomy; designed to promote the knowledge and the love of mankind. London: 1789-1798 (first edition). pp. [III-VIII]. Weblink: Wellcome Collection.
  10. Myrone, Martin (2001) Henry Fuseli. London: Tate Gallery Publishing, p. 53. ISBN 1854373579
  11. battering the Midgard Serpent, 1790. Royal Academy of Arts Collections, 5 February 2014. Retrieved 5 February 2014. Archived here.
  12. 몬테 카발로 교황궁, 로마. 2011년 12월 28일 검색.
  13. Leslie, C. R. (1855). Tom Taylor (편집). 《Autobiographical Recollections》 (Letter to Miss Leslie December 1816). Boston: Ticknor & Fields. 
  14. “The Night-Hag Visiting Lapland Witches”. 《The Met》. 2019년 11월 12일에 확인함. 
  15. Keay, Carolyn (1974). Henry Fuseli. London: Academy Editions. p. 7.
  16. Tomory, Peter A. (1972). The Life and Art of Henry Fuseli. New York: Praeger. p 211.
  17. Schiff, Gert (1975). Henry Fuseli 1741–1825: [Essay Catalogue Entries and Biographical Outline]. London: Tate Gallery Publications. p. 14. ISBN 9780900874888.
  18. “Putney | Old and New London: Volume 6 (pp. 489–503)”. British-history.ac.uk. 2003년 6월 22일. 2012년 5월 14일에 확인함. 
  19. "Memorials of St Paul's Cathedral" 싱클레어, W. p. 465: London; Chapman & Hall, Ltd; 1909.

자료

[편집]

추가 자료

[편집]
  • Calè, Luisa. Fuseli's Milton Gallery: 'Turning readers into spectators'. Oxford: 클래런던 프레스, 2006.
  • Hammelmann, Hans (1957). "Eighteenth-Century English Illustrators: Henry Fuseli, R.A.," The Book Collector 6 No.4 (winter): 350–363.
  • Lentzsch, Franziska, et al. Fuseli: The Wild Swiss. Zürich: Scheidegger & Spiess, 2005.
  • Myrone, Martin. Gothic Nightmares: Fuseli, Blake and the Romantic Imagination. London: 테이트 출판, 2006.
  • 안드레이 팝. Antiquity, Theatre, and the Painting of Henry Fuseli. Oxford: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15.
  • Powell, Nicolas. Fuseli: The Nightmare. London: Allen Lane, 1973.
  • Pressly, Nancy L. The Fuseli Circle in Rome: Early Romantic Art of the 1770s. New Haven: Yale Center for British Art, 1979.
  • Weinglass, David H. Henry Fuseli and the Engraver's Art. Boston: World Wide Books, 1982.

외부 링크

[편집]
외부 동영상
푸젤리의 티타니아와 보텀, 스마트히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