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르헤 마누엘 테오토코풀로; 엘 그레코의 초상화 (c.1600)
호르헤 마누엘 테오토코풀로 데 라스 쿠에바스 (Jorge Manuel Theotocópuli de las Cuevas, 1578년 – 1631년 3월 29일)는 스페인의 화가이자 건축가였다. 그는 엘 그레코 (본명: 도미니코스 테오토코풀로스)의 외아들이었다.
호르헤 마누엘은 아버지의 작업실에서 일하며 기술을 배웠다. 1603년경, 그는 일례스카스 에서 맞춤형 제단화를 만드는 데 참여했다. 이는 그의 첫 번째 문서화된 작업이다. 이후 1607년, 그는 티툴시아 에서 제단화를 제작하며 보다 독립적으로 작업하기 시작했는데, 이 작품은 일반적으로 아버지의 스타일을 따랐지만 그만의 개성이 엿보였다.[ 1]
1614년 아버지가 사망한 후, 그는 건축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니콜라스 데 베르가라 엘 모조 와 후안 바우티스타 모네그로가 사용했던 에레리아 양식 으로 주로 작업했다. 1612년부터 1618년까지 그는 톨레도 시청(Casa Consistorial)의 건축에 참여했다.[ 2]
몇 년 후, 1625년에 그는 톨레도 대성당 의 건축 책임자, 조각가, 건축가가 되었다.[ 2] 원래 1519년에 엔리케 에가스가 설계한 모사라베 예배당 의 돔과 옥타곤 예배당 건축에 참여했다.[ 1] 그는 또한 1870년대에 철거된 "메손 데 라 프루타"라는 코미디 극장을 설계하는 등 다소 덜 진지한 몇몇 프로젝트에도 참여했다.[ 3]
결국 그는 아버지가 주요 미완성 작업을 남긴 타베라 병원 과의 법적 분쟁으로 재정적 파탄에 이르게 되었다. 이 사건은 그의 재산 압류로 끝났다.[ 1]
성 마우리티우스의 순교
옷을 벗는 그리스도
성 마르틴과 거지
엘 그레코의 가족 (c.1605)
마르타의 집의 그리스도
시몬의 집에서의 만찬
날 만지지 마라
위키미디어 공용에 호르헤 마누엘 테오토코풀로스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위키미디어 공용에 호르헤 마누엘 테오토코풀로스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회화
동방박사의 경배 (아테네, 1565 c.–1567)
성모안식 (1565–1566)
맹인 치유
모데나 삼면화 (1567–1569)
그리스도의 세례 (이라클리온, 1567–1569)
최후의 만찬 (1568)
이집트로의 피신 (1570)
수태고지
성전 정화
우화 (1570–1575)
그리스도의 매장 (1570–1576)
엘 소플론 (1571–1572)
피에타 (1571–1576)
참회하는 막달레나 (1576–1578)
성 세바스티아노 (1576–1579)
산토 도밍고 엘 안티구오 제단화 (1577)
성 로렌스의 성모자와의 만남 (1577)
예수 성명의 숭배 (1577–1579) (예비 스케치 )
성모승천 (1577–1579)
그리스도의 옷 벗김 (엘 엑스폴리오) (1577–1579)
성삼위일체 ( 1577 c.–1579)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1580)
십자가를 멘 그리스도
성 마우리티우스의 순교 (1580–1582)
성 베드로의 눈물
바너드 캐슬 , 1580–1589
멕시코시티 , 1587–1596
오슬로 , 1590 c.
샌디에이고 , 1590–1595 c.
시체스 , 1595–1600 c.
톨레도, 엘 그레코 미술관 , 1595–1600 c.
워싱턴 , 1600–1605 c.
톨레도, 레르마 미술관 재단 , 1605–1610 c.
톨레도 대성당 , 1620–1630
성 요한 복음사가와 함께 있는 원죄 없는 잉태 ( 1585 c.)
성흔을 받는 성 프란치스코 (볼티모어, 1585 c.)
오르가스 백작의 매장 (1586)
성가족 (1586–1588)
예수의 성스러운 얼굴 (1586–1595)
성 베드로와 성 바울
겟세마네의 고뇌
두 후원자의 숭배를 받는 십자가 위의 그리스도 ( 1590 c.)
성 루이 (1592–1595)
성모 마리아 (슬픔의 성모) ( 1594 c.–1604)
성가족 ( 1595 c.)
어머니에게 작별을 고하는 그리스도 (1595)
성 안드레아와 성 프란치스코 (1595–1598)
성흔을 받는 성 프란치스코 (포, 1595년 이전)
목자들의 경배
도냐 마리아 데 아라곤 제단화 (1596–1599)
톨레도 풍경 (1596–1600)
그리스도의 세례 (로마, 1596–1600)
성모 마리아 (1597)
성 마르틴과 거렁뱅이 (1597–1599)
자선의 성모 (1597–1603)
카말돌레세 수도회 알레고리 ( 1597 c.)
세례자 요한 (1597–1607)
성 요한 복음사가와 성 프란치스코 ( 1600 c.)
시에나의 성 베르나르디노 (1603)
그리스도 탄생 (1603–1605)
성모 대관식 (1603–1605)
성모 결혼 (1603–1607)
성 요한 복음사가 ( 1605 c.)
성 히아킨투스에게 나타난 성모 ( 1605–1610 c.)
원죄 없는 잉태 (1607–1613)
성 베드로 (1608)
톨레도 풍경과 지도 (1608)
천사들의 (1608)
구세주 (1608–1614)
사도 성 토마스 (1608–1614)
다섯째 봉인의 개봉 (1608–1614)
성 예로니모 (1609)
성 일데폰소 (1609)
성 프란치스코와 레오 형제 (1609)
성 대 야고보 (1610)
성 루카 (1610–1614)
라오콘 (1610–1614)
성 바울 (1610–1614)
성 세바스티아노 (c.1610–1614)
성 세바스티아노 (1610–1614)
훌리안 로메로와 성 훌리안 (1612–1614)
초상화 박물관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