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확장 배커스-나우르 표기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컴퓨터 과학에서 확장 배커스-나우르 표기법(Augmented Backus–Naur form, ABNF)은 배커스-나우르 표기법(BNF)에 기반을 두지만 고유한 문법과 유도 규칙으로 구성된 메타 언어이다. ABNF의 동기 부여 원리는 양방향 통신 프로토콜로 사용될 언어의 형식 체계를 기술하는 것이다. 이 표기법은 인터넷 표준 68("STD 68", 대소문자 표기법은 원문 그대로)로 정의되며, 이는 2010년 12월 기준 RFC 5234였고, 종종 IETF 통신 프로토콜의 정의 언어로 사용된다.[1][2]

RFC 5234RFC 4234, 2234733를 대체한다.[3] RFC 7405는 대소문자를 구분하는 문자열 리터럴을 지정하기 위한 구문을 추가하여 이를 업데이트한다.

개요

[편집]
ABNF 문법 규칙의 ABNF 구문 다이어그램
ABNF 규칙의 ABNF 구문 다이어그램

ABNF 명세는 다음과 같이 작성된 유도 규칙의 집합이다.

rule = definition; comment CR LF

여기서 rule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 비단말 기호이며, definition은 규칙을 정의하는 기호 시퀀스, 문서화를 위한 주석으로 구성되며, 캐리지 리턴과 줄 바꿈으로 끝난다.

규칙 이름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rulename>, <Rulename>, <RULENAME>, <rUlENamE>는 모두 동일한 규칙을 참조한다. 규칙 이름은 글자로 시작하고 그 뒤에 글자, 숫자, 하이픈이 올 수 있다.

규칙 이름 주위에 꺾쇠 괄호(<, >)는 필요하지 않다(BNF와 달리). 그러나 규칙 이름을 구별하기 위해 산문에서 사용될 때는 규칙 이름을 구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시

[편집]

확장 배커스-나우르 표기법(ABNF) 페이지에 제시된 (미국) 우편 주소 예시는 다음과 같이 지정될 수 있다.

postal-address   = name-part street zip-part

name-part        = *(personal-part SP) last-name [SP suffix] CRLF
name-part        =/ personal-part CRLF

personal-part    = first-name / (initial ".")
first-name       = *ALPHA
initial          = ALPHA
last-name        = *ALPHA
suffix           = ("Jr." / "Sr." / 1*("I" / "V" / "X"))

street           = [apt SP] house-num SP street-name CRLF
apt              = 1*4DIGIT
house-num        = 1*8(DIGIT / ALPHA)
street-name      = 1*VCHAR

zip-part         = town-name "," SP state 1*2SP zip-code CRLF
town-name        = 1*(ALPHA / SP)
state            = 2ALPHA
zip-code         = 5DIGIT ["-" 4DIGIT]

단말 값

[편집]

단말 기호는 하나 이상의 숫자 문자로 지정된다.

숫자 문자는 퍼센트 기호 %, 그 뒤에 진법(b = 이진법, d = 십진법, x = 십육진법), 그 뒤에 값 또는 값의 연결(.로 표시)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지 리턴은 십진법으로 %d13 또는 십육진법으로 %x0D로 지정된다. 줄 바꿈이 뒤따르는 캐리지 리턴은 %d13.10으로 연결하여 지정할 수 있다.

리터럴 텍스트는 인용 부호(")로 묶인 문자열을 사용하여 지정된다. 이러한 문자열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으며, 사용되는 문자 집합은 (미국)ASCII이다. 따라서 문자열 "abc"는 "abc", "Abc", "aBc", "abC", "ABc", "AbC", "aBC", "ABC"와 일치한다. RFC 7405는 대소문자 구분 문자열을 위한 구문을 추가했다: %s"aBc"는 "aBc"와만 일치한다. 그 이전에는 대소문자 구분 문자열은 개별 문자를 나열하는 방식으로만 지정할 수 있었다: "aBc"와 일치하려면 정의는 %d97.66.99가 된다. 문자열은 %i 접두사를 사용하여 명시적으로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 것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연산자

[편집]

공백 문자

[편집]

공백 문자는 정의의 요소를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 공백이 구분 기호로 인식되려면 명시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단일 공백 문자에 대한 명시적 참조는 WSP(선형 공백)이며, LWSP는 새 줄이 허용되는 0개 이상의 공백 문자를 위한 것이다. RFC5234의 LWSP 정의는 두 필드 사이에 구분 기호를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공백 문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논란이 있다.[4]

정의는 왼쪽 정렬된다. 여러 줄이 필요한 경우(가독성을 위해), 연속 줄은 공백으로 들여쓰기된다.

주석

[편집]

; comment

세미콜론(;)은 줄의 끝까지 이어지는 주석을 시작한다.

연결

[편집]

Rule1 Rule2

규칙은 일련의 규칙 이름을 나열하여 정의될 수 있다.

"aba" 문자열과 일치시키기 위해 다음 규칙을 사용할 수 있다.

  • fu = %x61 ; a
  • bar = %x62 ; b
  • mumble = fu bar fu

대안

[편집]

Rule1 / Rule2

규칙은 슬래시(/)로 구분된 대체 규칙 목록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규칙 fu 또는 규칙 bar를 수락하기 위해 다음 규칙을 구성할 수 있다.

  • fubar = fu / bar

증분 대안

[편집]

Rule1 =/ Rule2

규칙 이름과 정의 사이에 =/를 사용하여 규칙에 추가 대안을 추가할 수 있다.

규칙

  • ruleset = alt1 / alt2
  • ruleset =/ alt3
  • ruleset =/ alt4 / alt5

은 따라서 다음과 동등하다.

  • ruleset = alt1 / alt2 / alt3 / alt4 / alt5

값 범위

[편집]

%c##-##

숫자 값의 범위는 하이픈(-)을 사용하여 지정될 수 있다.

규칙

  • OCTAL = %x30-37

은 다음과 동등하다.

  • OCTAL = "0" / "1" / "2" / "3" / "4" / "5" / "6" / "7"

시퀀스 그룹

[편집]

(Rule1 Rule2)

요소는 정의에서 규칙을 그룹화하기 위해 괄호 안에 넣을 수 있다.

"a b d" 또는 "a c d"와 일치시키기 위해 다음 규칙을 구성할 수 있다.

  • group = a (b / c) d

"a b" 또는 "c d"와 일치시키기 위해 다음 규칙을 구성할 수 있다.

  • group = a b / c d
  • group = (a b) / (c d)

가변 반복

[편집]

n*nRule

요소의 반복을 나타내기 위해 <a>*<b>element 형식이 사용된다. 선택적 <a>는 포함될 최소 요소 수를 제공한다(기본값은 0). 선택적 <b>는 포함될 최대 요소 수를 제공한다(기본값은 무한대).

0개 이상의 요소를 위해서는 *element, 0개 또는 1개의 요소를 위해서는 *1element, 1개 이상의 요소를 위해서는 1*element, 2개 또는 3개의 요소를 위해서는 2*3element를 사용한다. 정규 표현식e*, e?, e+, e{2,3}와 유사하다.

특정 반복

[편집]

nRule

명시적인 요소 수를 나타내기 위해 <a>element 형식이 사용되며, 이는 <a>*<a>element와 동등하다.

두 개의 숫자 자리를 얻으려면 2DIGIT를 사용하고, 세 개의 숫자 자리를 얻으려면 3DIGIT를 사용한다. (DIGIT는 아래 "핵심 규칙"에서 정의된다. 아래 예시에서 우편 번호도 참조하라.)

선택적 시퀀스

[편집]

[Rule]

선택적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다음 구성이 동등하다.

  • [fubar snafu]
  • *1(fubar snafu)
  • 0*1(fubar snafu)

연산자 우선순위

[편집]

다음 연산자들은 가장 강한 결합에서 가장 약한 결합으로 주어진 우선순위를 갖는다.

  1. 문자열, 이름 형성
  2. 주석
  3. 값 범위
  4. 반복
  5. 그룹화, 선택적
  6. 연결
  7. 대안

연결 연산자와 함께 대체 연산자를 사용하는 것은 혼란스러울 수 있으며, 명시적인 연결 그룹을 만들기 위해 그룹화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핵심 규칙

[편집]
핵심 규칙의 ABNF 구문 다이어그램
핵심 규칙의 ABNF 구문 다이어그램

핵심 규칙은 ABNF 표준에 정의되어 있다.

규칙 형식 정의 의미
ALPHA %x415A / %x617A 대문자 및 소문자 ASCII 문자(A–Z, a–z)
DIGIT %x3039 십진 숫자(0–9)
HEXDIG DIGIT / "A" / "B" / "C" / "D" / "E" / "F" 십육진 숫자(0–9, A–F, a–f)
DQUOTE %x22 겹따옴표
SP %x20 공백
HTAB %x09 수평 탭
WSP SP / HTAB 공백 및 수평 탭
LWSP *(WSP / CRLF WSP) 선형 공백(새 줄 뒤)
VCHAR %x217E 가시(인쇄 가능한) 문자
CHAR %x017F NUL을 제외한 모든 ASCII 문자
OCTET %x00FF 8비트 데이터
CTL %x001F / %x7F 제어 문자
CR %x0D 캐리지 리턴
LF %x0A 줄 바꿈
CRLF CR LF 인터넷 표준 새 줄
BIT "0" / "1" 이진 숫자

핵심 규칙 다이어그램에서 CHAR2 문자 세트가 char-val에 인라인되고 CHAR3가 RFC 명세의 prose-val에 인라인된다는 점에 유의하라. 여기서는 주 구문 다이어그램에서 명확성을 위해 이름이 지정되었다.

ABNF 자체의 ABNF 표현

[편집]

ABNF의 구문 자체는 다음과 같은 ABNF로 표현될 수 있다.

rulelist       =  1*( rule / (*WSP c-nl) )

rule           =  rulename defined-as elements c-nl
                       ; continues if next line starts
                       ;  with white space

rulename       =  ALPHA *(ALPHA / DIGIT / "-")

defined-as     =  *c-wsp ("=" / "=/") *c-wsp
                       ; basic rules definition and
                       ;  incremental alternatives

elements       =  alternation *WSP

c-wsp          =  WSP / (c-nl WSP)

c-nl           =  comment / CRLF
                       ; comment or newline

comment        =  ";" *(WSP / VCHAR) CRLF

alternation    =  concatenation
                  *(*c-wsp "/" *c-wsp concatenation)

concatenation  =  repetition *(1*c-wsp repetition)

repetition     =  [repeat] element

repeat         =  1*DIGIT / (*DIGIT "*" *DIGIT)

element        =  rulename / group / option /
                  char-val / num-val / prose-val

group          =  "(" *c-wsp alternation *c-wsp ")"

option         =  "[" *c-wsp alternation *c-wsp "]"

char-val       =  DQUOTE *(%x20-21 / %x23-7E) DQUOTE
                       ; quoted string of SP and VCHAR
                       ;  without DQUOTE

num-val        =  "%" (bin-val / dec-val / hex-val)

bin-val        =  "b" 1*BIT
                  [ 1*("." 1*BIT) / ("-" 1*BIT) ]
                       ; series of concatenated bit values
                       ;  or single ONEOF range

dec-val        =  "d" 1*DIGIT
                  [ 1*("." 1*DIGIT) / ("-" 1*DIGIT) ]

hex-val        =  "x" 1*HEXDIG
                  [ 1*("." 1*HEXDIG) / ("-" 1*HEXDIG) ]

prose-val      =  "<" *(%x20-3D / %x3F-7E) ">"
                       ; bracketed string of SP and VCHAR
                       ;  without angles
                       ; prose description, to be used as
                       ;  last resort

문제점

[편집]

RFC 5234는 LWSP 정의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경고를 추가한다.

이 선형 공백 규칙의 사용은 메일 헤더에서 더 이상 유효하지 않으며 다른 컨텍스트에서 상호 운용성 문제를 일으킨 공백만 포함하는 줄을 허용한다. 메일 헤더를 정의할 때 사용하지 말고 다른 컨텍스트에서는 주의해서 사용하라.

각주

[편집]
  1. “Official Internet Protocol Standards”. RFC Editor. 2010년 2월 21일. 2010년 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2월 21일에 확인함. 
  2. Crocker, D.; Overell, P. (January 2008). “Augmented BNF for Syntax Specifications: ABNF” (plain text). RFC Editor. 16쪽. 2010년 2월 21일에 확인함. 
  3. “RFC Index”. RFC Editor. 2010년 2월 19일. 2010년 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2월 21일에 확인함. 
  4. RFC 에라타 30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