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효자 (유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효자(孝子, filial son)는 유교에서 부모에게 효(孝)를 다하는 자식을 이르는 말이다.[1] 효는 유교 윤리의 근본이자 인(仁)의 실천으로 간주되며, 효자는 그 덕목을 몸소 행한 사람을 의미한다.[2] 유교적 세계관에서 효는 가정의 질서와 국가의 정치, 천지의 조화까지 연결되는 핵심 도덕 원리이다.[3]

유교적 맥락

[편집]

공자는 『논어』에서 “효제(孝悌)는 인(仁)의 근본이다”(《논어》 「학이」편)라고 하여 효가 모든 덕의 출발점임을 강조하였다.[4]효경』에서는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은 하늘의 뜻을 따르는 것이다(孝者 天之經也)”라 하여 효를 천지의 도리에 부합하는 절대적 가치로 설명한다.[5] 맹자는 “부모에게 효도하지 않으면 인을 완성할 수 없다”고 하며 효를 인간다움의 실천적 기준으로 보았다.[6] 이러한 사상은 후대 성리학에서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첫째로 효를 위치시키며 사회와 국가 질서의 기초로 발전하였다.[7]

역사적 전개

[편집]
효자김천공원

효자는 단순한 가족적 미덕을 넘어 조선 시대 국가적 윤리 체계의 핵심이 되었다.[8] 조선 왕조는 효를 교화의 중심으로 삼아 효행이 뛰어난 인물에게 ‘효자비(孝子碑)’를 세워 표창하였고, 『삼강행실도』·『동국신속삼강행실도』 등 도덕 교화서에 효행 사례를 수록하였다.[9] 이러한 전통은 지역별로 ‘효자각(孝子閣)’·‘효자문(孝子門)’ 등의 형태로 남아 있으며, 효자는 충신·열녀와 함께 유교 사회의 ‘삼강(三綱)’을 상징하는 인물상으로 전승되었다.[10]

문헌 속의 효자상

[편집]

효자는 고전 문헌에서 부모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거나 어려운 상황에서도 도리를 지킨 인물로 묘사된다.[11]효경』은 효의 원리를 이론적으로 정립하였고, 『삼강행실도』는 이를 구체적인 일화로 시각화하여 백성 교화를 도모하였다.[12] 고려·조선 시대의 효자 일화로는 김천(金遷), 정문손(鄭文孫), 김일손(金馹孫) 등의 기록이 대표적이며 이들은 지방 향교나 유향소의 제향 인물로 포함되어 지방 교육과 예절의 본보기로 활용되었다.[13]

현대적 의미

[편집]

오늘날 ‘효자’는 유교의 전통적 의미를 넘어 부모를 공경하고 가정의 유대를 유지하는 사람을 넓게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14] 그러나 그 근원에는 여전히 ‘인(仁)’과 ‘예(禮)’를 실천하는 유교적 덕목으로서의 효(孝)가 자리한다.[15]

각주

[편집]
  1. Confucius, Analects, trans. James Legge (London: Clarendon Press, 1893).
  2. 김위현, 『고려시대 대외관계사 연구』(경인문화사, 2004), 112쪽.
  3. 조동일, 《한국사상사》(지식산업사, 1998), 53쪽.
  4. Confucius, Analects, trans. James Legge (London: Clarendon Press, 1893).
  5. Mengzi, The Book of Filial Piety, trans. Wing-Tsit Cha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3).
  6. Mencius, Mengzi, trans. D.C. Lau (London: Penguin Classics, 1970).
  7. 윤사순, 《유교윤리의 구조와 전개》(일조각, 1997), 144쪽.
  8. 장동익, 『고려후기외교사연구』(일조각, 1994), 211쪽.
  9. 윤용혁, 『고려대몽항쟁사연구』(일지사, 1991), 87쪽.
  10. 김위현, 『고려시대 대외관계사 연구』(경인문화사, 2004), 115쪽.
  11. 노혜진, 「『고려사』열전 효우편의 효우설화 연구」(한양대학교 석사논문, 2005), 64쪽.
  12. Choe Jin-hee, “Illustrating Filial Piety in Late Joseon,” Korean Studies Review (2011).
  13. 한국학중앙연구원, 「효자」 항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2024).
  14. 윤사순, 《유교윤리의 구조와 전개》(일조각, 1997), 222쪽.
  15. 조동일, 《한국사상사》(지식산업사, 1998), 63쪽.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