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옥타코사놀
보이기
![]() | |
이름 | |
---|---|
우선명 (PIN)
옥타코산-1-올 | |
별칭
n-옥타코사놀; 옥타코실 알코올; 옥타노솔; 몬타닐 알코올; 클루이틸 알코올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08.348 |
KEGG | |
MeSH | 1-octacosanol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28H58O | |
몰 질량 | 410.771 g·mol−1 |
녹는점 | 83 °C (181 °F; 356 K)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1-옥타코사놀(1-Octacosanol, n-옥타코사놀, 옥타코실 알코올, 클루이틸 알코올, 몬타닐 알코올로도 알려짐)은 많은 유칼립투스속 종의 잎, 대부분의 여물 및 곡류 풀 종, 아카시아속, 클로버속, 완두속 및 기타 많은 협과 속 등 식물의 표피 왁스에서 흔히 발견되는 직쇄 지방족 28-탄소 일차 지방 알코올이며, 때로는 주요 왁스 성분이기도 하다.[1] 옥타코사놀은 밀 배아에서도 발견된다.[2]
화학
[편집]옥타코사놀은 물에 녹지 않지만 저분자 알칸과 클로로포름에 자유롭게 용해된다.
생물학적 영향
[편집]옥타코사놀은 혼합물인 폴리코사놀의 주성분이다.[3] 옥타코사놀은 파킨슨병 환자에게 잠재적인 이점이 있는지 예비 연구 대상이 되었다.[4][5] 연구에서는 옥타코사놀이 콜레스테롤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발견하기도 했다.[3] 쥐 실험에서 옥타코사놀은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스트레스로 인해 영향을 받은 수면을 정상으로 회복시켰다.[6]
각주
[편집]- ↑ EA Baker (1982) Chemistry and morphology of plant epicuticular waxes. pp. 139–165. In "The Plant Cuticle". edited by DF Cutler, KL Alvin and CE Price. Academic Press, London. ISBN 0-12-199920-3
- ↑ “Octacosanol”. 《Natural Products (Professional)》. drugs.com. 2009년 6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7월 9일에 확인함.
isolated from wheat germ oil or other plants
- ↑ 가 나 Taylor, Johanna C; Rapport, Lisa; Lockwood, G.Brian (2003). 《Octacosanol in human health》. 《Nutrition》 19. 192–5쪽. doi:10.1016/S0899-9007(02)00869-9. PMID 12591561.
- ↑ Snider, SR (1984). 《Octacosanol in parkinsonism》. 《Annals of Neurology》 16. 723쪽. doi:10.1002/ana.410160615. PMID 6395790. S2CID 43313071.
- ↑ Wang, T; Liu, YY; Wang, X; Yang, N; Zhu, HB; Zuo, PP (2010). 《Protective effects of octacosanol on 6-hydroxydopamine-induced Parkinsonism in rats via regulation of ProNGF and NGF signaling》. 《Acta Pharmacologica Sinica》 31. 765–74쪽. doi:10.1038/aps.2010.69. PMC 4007727. PMID 20581854.
- ↑ Kaushik, MK; Aritake, K; Takeuchi, A; Yanagisawa, M; Urade, Y (2017년 8월 21일). 《Octacosanol restores stress-affected sleep in mice by alleviating stress》. 《Scientific Reports》 7. 8892쪽. Bibcode:2017NatSR...7.8892K. doi:10.1038/s41598-017-08874-2. PMC 5566941. PMID 288276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