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1906년 에콰도르-콜롬비아 지진

1906년 에콰도르-콜롬비아 지진
1906년 에콰도르-콜롬비아 지진은(는) 에콰도르 안에 위치해 있다
1906년 에콰도르-콜롬비아 지진
본진
UTC 시각1906-01-31 15:36:10
ISC 지진번호16957884
USGS-ANSSComCat
현지일1906년 1월 31일
현지시간10시 36분 10초[1]
규모   모멘트 규모 8.8
최대 진도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진도 IX : [2]
진원 깊이20 km km
진앙에콰도르 북부
북위 0° 57′ 18″ 서경 79° 22′ 08″ / 북위 0.955° 서경 79.369°  / 0.955; -79.369
종류해구형 지진
피해
피해 지역에콰도르, 콜롬비아
지진해일최대 5 m 높이 쓰나미 관측[3]
사상자약 1천명 사망

1906년 에콰도르-콜롬비아 지진은 1906년 1월 31일 수요일 UTC+5 기준 10시 36분 10초에 에콰도르 해안 에스메랄다스 인근에서 발생한 지진이다. 이 지진모멘트 규모 M8.8이며, 파괴적인 지진해일을 일으켜 콜롬비아 해안에서 최소 50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1900년 이후 발생한 지진 중 2010년 칠레 지진과 함께 6번째로 규모가 큰 지진으로 기록되었다.

지질학적 환경

[편집]

이 지진은 이전에 나스카판의 동북쪽 부분으로 여겨졌던 말펠로판과 북안데스판의 경계를 따라 발생했다. 이번 지진은 코이바판, 말펠로판, 나스카판이 북안데스판과 남아메리카판 아래로 섭입하면서 발생하는 충상단층 운동의 결과로 추정된다. 에콰도르와 콜롬비아의 해안 지역은 이 말펠로-북안데스판 경계에서 발생하는 강한 해구형 지진이 여러차례 발생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피해

[편집]

지진해일로 인한 가장 큰 피해는 에콰도르 리오베르데현과 콜롬비아 미카이 사이 해안에서 발생했다. 지진해일로 인한 사망자 수는 500명에서 1,500명 사이로 추정된다.[1]

특성

[편집]

지진

[편집]

이 지진의 단층 파열 구간은 길이 500~600 km에 달했으며, 1942년(Mw7.9), 1958년(Mw 7.7), 1979년(Mw 8.2) 지진의 파열 구간을 모두 포함한다. 최근 세 지진 간의 중첩이 없다는 것은 판 경계를 따라 단층 파열 전파에 약한 장벽이 존재했음을 시사한다.[4][5] 이 세 지진이 전반적으로 같은 판 경계 영역을 파열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1906년 지진 에너지의 극히 일부만을 방출했다.[6]

지진해일

[편집]

콜롬비아 투마코에서 기록된 최대 쓰나미 높이는 5 m이다. 하와이 힐로에서는 이 사건으로 인해 1.8 m 높이의 쓰나미가 기록되었다. 이 쓰나미는 코스타리카, 파나마, 멕시코, 캘리포니아주, 일본에서도 관측되었다.[1] 일본에서는 와카야마현 구시모토정에서 최대 48 cm 높이의 쓰나미를 관측했다.[7][8]

미래의 지진 위험

[편집]

1979년에 끝난 세 차례의 지진이 1906년 지진만큼 많은 에너지를 방출하지 않았기 때문에 1906년과 유사한 규모의 지진이 가까운 미래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후 세 지진과 관련된 미끄러짐 양에 대한 분석은 이들이 1906년 이후 판 경계를 가로질러 축적된 변위의 대부분을 방출했음을 시사한다.[6] 2016년 4월 16일, 같은 지역에서 규모 7.8의 지진이 발생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NGDC. “Comments for the Ecuador-Colombia tsunami”. 2017년 9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3월 7일에 확인함. 
  2. “Significant Earthquake Information”. 《ngdc.noaa.gov》. NCEI. 2021년 7월 3일에 확인함. 
  3. 《PAGER-CAT Earthquake Catalog》, Version 2008_06.1,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09년 9월 4일, 2020년 3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 Kanamori, H.; McNally, K.C. (1982). 《Variable rupture model of the subduction zone along the Ecuador-Colombia coast》 (PDF).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72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1241–1253쪽. 2016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8월 26일에 확인함. 
  5. Mendoza, C.; Dewey J.W. (1984). 《Seismicity associated with the great Colombia-Ecuador earthquakes of 1942, 1958, and 1979: Implications for barrier models of earthquake rupture》.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74. 577–593쪽. 2010년 3월 7일에 확인함. 
  6. White, S.M.M.; Trenkamp R. & Kellogg J.N. (2003). 《Recent crustal deformation and the earthquake cycle along the Ecuador-Colombia subduction zone》 (PDF).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216. 231–242쪽. Bibcode:2003E&PSL.216..231W. doi:10.1016/S0012-821X(03)00535-1. 2011년 7월 2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3월 7일에 확인함. 
  7. 都筑基博, 小山順二, Aditya R. GUSMAN, 蓬田清 (2017). “1906年Ecuador・Colombia巨大地震の地震および津波規模の再評価”. 《地震 第2輯》 (日本地震学会) 69: 87–98. doi:10.4294/zisin.69.87. ISSN 0037-1114. NAID 130005662066. 
  8. “過去の地震活動 平成28年4月 地震・火山月報 (防災編)” (PDF). 気象庁. 2021年3月13日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