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5년 전국체육대회 축구
보이기

1925년 전국체육대회 축구 | |
---|---|
![]() Football | |
개최국 | ![]() |
개최 도시 | 경기도 경성부 |
개최 기간 | 1925년 4월 28일 ~ 4월 30일 |
경기장 |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 |
세부 종목 | 4개 종목 (남자: 4개) |
« 1924 1926 » |
1925년 전국체육대회 축구 ![]() | ||
---|---|---|
소학부 | ||
남자 | ||
중학부 | ||
남자 | ||
전문부 | ||
남자 | ||
청년부 | ||
남자 |
1925년 전국체육대회 축구는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에서 개최된 1925년 전국체육대회의 경기 종목이다. '제6회 전조선축구대회'로 개최되었으며 1925년 4월 28일부터 4월 30일까지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1]
대회 진행
[편집]제6회 전조선축구대회는 1925년 4월 28일부터 사흘간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에 있는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1] 전문부와 청년부 종목에서는 5원의 참가비를 받았으며, 중학부는 3원의 참가비를 받았다.[1] 반면, 소학부 종목에서는 참가비를 받지 않았다.[1]
소학부에는 공옥, 숭덕, 광성 등 3개 선수단이 참가했고, 중학부에는 고창고등보통학교, 협성실업학교, 송도고등보통학교, 경신학교, 중앙청년학관, 배재고등보통학교, 북청고등보통학교, 숭덕중학, 보성고등보통학교 등 9개 선수단이 참가했다.[1] 전문부에는 보성전문학교, 숭실대학, 연희전문학교, 수원고등농업학교,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법정대학, 법학전문학교 등 7개 선수단이 참가했고, 청년부에는 고려구락부, 조선축구단 등 2개 선수단이 참가했다.[1]
소학부 종목 결승에서는 숭덕학교가 광성학교를 2:1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고, 중학부에서는 배재고등보통학교가 결승에서 경신학교를 3:0으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다.[1] 전문부에서는 연희전문이 숭실대학을 상대로 득점 없이 비긴 뒤 연장전에서 6:2로 이기며 우승을 하였고, 청년부 종목에서는 조선축구단이 고려구락부를 3:2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다.[1]
경기 결과
[편집]소학부
[편집]준결승 | 결승 | |||||
평양 숭덕학교 | 3 | |||||
경성 공옥학교 | 0 | |||||
평양 숭덕학교 | 2 | |||||
평양 광성학교 | 1 | |||||
평양 광성학교 | ||||||
부전승 | ||||||
중학부
[편집]준결승 | 결승 | |||||
경신학교 | 4 | |||||
송도고등보통학교 | 1 | |||||
경신학교 | 0 | |||||
배재고등보통학교 | 3 | |||||
배재고등보통학교 | 2 | |||||
청년학관 | 1 | |||||
전문부
[편집]준결승 | 결승 | |||||
연희전문학교 | 5 | |||||
법정학교 | 0 | |||||
연희전문학교 | 6 | |||||
숭실전문학교 | 2 | |||||
숭실전문학교 | 5 | |||||
법학전문학교 | 0 | |||||
청년부
[편집]결승 | ||||||
조선축구단 | 3 | |||||
고려구락부 | 2 |
각주
[편집]참고 문헌
[편집]- 대한체육회 (1990). 《대한체육회 70년사》.
- 대한체육회 (2011). 《대한체육회 90년사》.
- “제6회 전국체육대회 축구 경기 결과”. 대한체육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朝鮮體育會(조선체육회)의 蹴球(축구)씨슨 四月(사월)로變更(변경)”. 조선일보. 1925년 1월 16일.
- “今年運動界(금년운동계) 『씨슨』開幕(개막)”. 조선일보. 1925년 2월 7일.
- “第六回全朝鮮蹴球大會(제육회전조선축구대회)”. 동아일보. 1925년 2월 7일.
- “全朝鮮蹴球會(전조선축구회)”. 조선일보. 1925년 2월 20일.
- “第六回蹴球大會(제육회축구대회)”. 동아일보. 1925년 2월 20일.
- “蹴球準備委員會(축구준비위원회)”. 조선일보. 1925년 4월 2일.
- “第六回全朝鮮(제육회전조선) 蹴球大會(축구대회)”. 조선일보. 1925년 4월 9일.
- “蹴球大會(축구대회)와 規定變更(규정변경)”. 조선일보. 1925년 4월 12일.
- “蹴球大會(축구대회)”. 동아일보. 1925년 4월 14일.
- “蹴球大會(축구대회)”. 동아일보. 1925년 4월 17일.
- “蹴球大會(축구대회)”. 동아일보. 1925년 4월 19일.
- “第六囬全朝鮮(제육회전조선) 蹴球大會(축구대회)”. 동아일보. 1925년 4월 21일.
- “第六回(제육회) 全朝鮮(전조선) 蹴球大會(축구대회)”. 동아일보. 1925년 4월 21일.
- “臨迫(임박)한蹴球會(축구회)의 綱領(강령)과規定一部(규정일부)”. 조선일보. 1925년 4월 22일.
- “第六回(제육회) 蹴球大會任員(축구대회임원)”. 동아일보. 1925년 4월 26일.
- “六回蹴球大會(육회축구대회) 抽籤今日(추첨금일)”. 동아일보. 1925년 4월 27일.
- “臨迫(임박)한 蹴球大會(축구대회)”. 조선일보. 1925년 4월 27일.
- “蹴球大會(축구대회)의 抽籤結果(추첨결과) 參加二十三團(참가이십삼단)”. 조선일보. 1925년 4월 28일.
- “北(북)으로北靑(북청)·南(남)으로固城(고성) 參加二十二團(참가이십이단) 今日(금일)부터全朝鮮蹴球大會(전조선축구대회)”. 동아일보. 1925년 4월 28일.
- “培材軍連勝(배재군연승)”. 조선일보. 1925년 4월 28일.
- “今日第六回(금일제육회) 全朝鮮蹴球大會(전조선축구대회)”. 동아일보. 1925년 4월 29일.
- “滿都市民(만도시민)의歡聲裏(환성리)에 開幕(개막)된蹴球大會(축구대회) 朝鮮體育會主催(조선체육회주최) 東亞日報社後援(동아일보사후원) 蹴球大會(축구대회)【第一日(제일일)】”. 동아일보. 1925년 4월 29일.
- “盛况(성황)을이루운 蹴球大會(축구대회) 培材球場(배재구장)애서”. 조선일보. 1925년 4월 29일.
- “第六回蹴球(제육회축구) 優聯(우련)은어데로!”. 조선일보. 1925년 4월 29일.
- “◇성리를다투는용사(개막된축구대회)”. 조선일보. 1925년 4월 29일.
- “蹴球大會(축구대회)의 初日壯觀(초일장관) 開場式(개장식)과經過(경과)”. 조선일보. 1925년 4월 29일.
- “必勝(필승)을期(기)하는 蹴球戰績(축구전적) 中學團二勝軍(중학단이승군)”. 조선일보. 1925년 4월 30일.
- “今日第六回(금일제육회) 全朝鮮蹴球大會(전조선축구대회)”. 동아일보. 1925년 4월 30일.
- “龍攘虎搏(용양호박)의壯觀(장관)!第二回豫選戰(제이회예선전)”. 동아일보. 1925년 4월 30일.
- “第二日戰績續(제이일전적속) 豫選終了(예선종료)”. 조선일보. 1925년 5월 1일.
- “衝天動地(충천동지)의氣勢(기세) 乘勝長驅(승승장구)의勇姿(용자) 朝鮮體育會主催東亞日報社後援蹴球大會(조선체육회주최동아일보사후원축구대회) 【第三日(제삼일)】”. 동아일보. 1925년 5월 1일.
- “極度(극도)로緊張(긴장)된 决勝戰績(결승전적)”. 조선일보. 1925년 5월 1일.
- “결승!결승!축구대회최종일”. 동아일보. 1925년 5월 1일.
- “鮮銀(선은)의利下(이하)”. 동아일보. 1925년 5월 2일.
- “壯嚴(장엄)한優勝旗授與式(우승기수여식)”. 동아일보. 1925년 5월 2일.
- “最後一刻(최후일각)의决勝戰(결승전) 優勝旗(우승기)는어데로! 朝鮮體育會(조선체육회) 主催東亞日報社後援(주최동아일보사후원) 第六回蹴球大會(제육회축구대회)”. 동아일보. 1925년 5월 2일.
외부 링크
[편집]전국체육대회 축구 | ||
이전 대회 | 1925년 전국체육대회 축구 경성 1925 |
다음 대회 |
경성 1924 | 경성 1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