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
|---|---|
| 개최국 | |
| 개최기간 | 1월 21일 ~ 2월 12일 | 
| 참가팀 | 16개 | 
| 경기장 | 4개 (4개 도시) | 
| 결과 | |
| 우승 | |
| 준우승 | |
| 3위 | |
| 4위 | |
| 통계 | |
| 경기 수 | 32경기 | 
| 득점 수 | 76골 (경기당 2.38골) | 
| 관중 수 | 456,332명 (경기당 14,260명) | 
| 최다 득점 | (각 3골)  | 
| 최우수 선수 | |
« 2010 2013 »  |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영어: 2012 Africa Cup of Nations, 프랑스어: Coupe d'Afrique des nations de football 2012, 스페인어: Copa Africana de Naciones 2012)은 28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으로 아프리카 축구의 최강자를 가리는 대회이다. 2012년 1월 21일부터 2월 12일까지 가봉과 적도 기니에서 공동으로 개최되었다. 그리고 적도 기니는 개최와 동시에 첫 출전하였다.
개최국 선정
[편집]2010년부터 2013년까지 다음과 같은 순서대로 개최하기로 결정된 바 있었다.
(†) 개최국 선정 이후 2011년 리비아 내전으로 인하여 2013년 개최국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변경되었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
[편집]| 도시 | 경기장 | 수용인원 | 
|---|---|---|
| 스타드 당공제 | 40,000 | |
| 스타드 드 프랑스빌 | 35,000 | |
| 에스타디오 데 바타 | 37,500 | |
| 누에보 에스타디오 데 말라보 | 15,250 | 
예선
[편집]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예선전은 2010년 9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시행될 예정이다. 개최국인 가봉과 적도기니를 제외한 51개 팀[1] 중에서 44개 팀이 참가하여(당시 토고는 2대회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었다.) 이들이 4개 팀씩 11개 조로 나뉘어서 가봉과 적도기니를 제외한 14장의 출전권을 각 조 1위팀 전원과 각 조 2위팀 중 전적을 비교하여 최상위 3팀에 해당하는 팀에게 배분하는 방식으로 할 예정이었다.
토고가 스포츠 중재 재판소에 제기한 징계 취소 소송에서 승소함으로써 징계 취소가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토고는 예선 K조에 편성되었으며, K조의 2위는 최종 전적에 관계 없이 본선에 직행하게 되고 나머지 10개 조 중에서만 비교하여 조 2위팀 중 최상위에 해당하는 2개 팀이 1위팀들과 함께 본선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본선 진출 팀
[편집]
다음과 같이 16개 팀이 본선에 진출하였다. 가봉과 적도 기니는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에 자동 진출, 나머지 14개 팀은 예선을 통과하여 본선에 진출하였다.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한 적도기니와 예선 K조에서 1위를 한 보츠와나, 예선 G조에서 1위를 한 니제르가 첫 출전하였다.
| 국가 | 본선 자격 | 과거 본선 진출 횟수와 연도 | 
|---|---|---|
| 개최국 자동 진출 | 4회 (1994, 1996, 2000, 2010) | |
| 개최국 자동 진출 | 첫 출전 | |
| A조 1위 | 6회 (1972, 1994, 2002, 2004, 2008, 2010) | |
| B조 1위 | 10회 (1970, 1974, 1976, 1980, 1984, 1994, 1998, 2004, 2006, 2008) | |
| C조 1위 | 14회 (1974, 1978, 1982, 1986,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2010) | |
| C조 2위 | 2회 (1982, 2006) | |
| D조 1위 | 13회 (1972, 1976, 1978, 1980, 1986, 1988, 1992,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 |
| E조 1위 | 11회 (1965, 1968, 1986, 1990, 1992, 1994, 2000, 2002, 2004, 2006, 2008) | |
| F조 1위 | 7회 (1978, 1996, 1998, 2000, 2002, 2004, 2010) | |
| G조 1위 | 첫 출전 | |
| H조 1위 | 18회 (1965, 1968, 1970, 1974, 1980,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2010) | |
| I조 1위 | 17회 (1963, 1965, 1968, 1970, 1978, 1980, 1982, 1984,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2010) | |
| I조 2위 | 7회 (1957, 1959, 1963, 1970, 1972, 1976, 2008) | |
| J조 1위 | 5회 (1996, 1998, 2006, 2008, 2010) | |
| K조 1위 | 첫 출전 | |
| K조 2위 | 14회 (1962, 1963, 1965, 1978, 198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 
- 참고
 
- 나미비아 축구 협회는 에르브 사비에르 젱그가 부르키나파소의 선수로 나미비아와의 경기에 출전한 것에 대해 부르키나파소 국가대표팀 자격 문제로 이의를 제기했다.[2]
 
시드 배정
[편집]시드는 공동 개최국인 적도 기니와 가봉을 최상위 시드에 놓고 나머지 팀을 지난 3개 대회의 전적을 근거로 하여 점수를 부여해 배정했다. 그 결과 한 번도 본선에 진출해 본 적이 없었던 니제르와 보츠와나는 자동적으로 최하위 시드를 배정받았다.
시드 점수 부여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전적 | 점수 | 
|---|---|
| 우승 | 7 | 
| 준우승 | 5 | 
| 준결승에서 탈락 | 3 | 
| 준준결승에서 탈락 | 2 | 
| 조별 라운드에서 탈락 | 1 | 
| 지역 예선 탈락 / 불참 | 0 | 
또한, 2010년 대회의 전적에 대해서는 3배의 가중치를, 2008년 대회의 전적에 대해서는 2배의 가중치를 적용한다. 2006년 대회의 전적에 대해서는 그냥 그대로 적용한다.
이 기준에 근거한 시드 배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시드 | 2시드 | 3시드 | 4시드 | ||||||||||||||||||||
|---|---|---|---|---|---|---|---|---|---|---|---|---|---|---|---|---|---|---|---|---|---|---|---|
| # | 팀 | '10 | '08 | '06 | 총점 | # | 팀 | '10 | '08 | '06 | 총점 | # | 팀 | '10 | '08 | '06 | 총점 | # | 팀 | '10 | '08 | '06 | 총점 | 
| - | 개최국 (A조 배정) | 3 | QF | QF | 1R | 11 | 7 | 1R | 1R | 5 | 11 | 1R | 2 | ||||||||||
| - | 개최국 (C조 배정) | 4 | QF | 1R | 1R | 9 | 7 | 1R | SF | 5 | 12 | 1R | 1 | ||||||||||
| 1 | 2위 | SF | 1R | 22 | 4 | 1R | QF | QF | 9 | 9 | 1R | 1R | 3 | 13 | 0 | ||||||||
| 2 | QF | SF | 2위 | 17 | 6 | QF | QF | 6 | 9 | 1R | 3 | 13 | 0 | ||||||||||
조 추첨 결과
[편집]| 조 | 1시드 | 2시드 | 3시드 | 4시드 | 
|---|---|---|---|---|
| A | ||||
| B | ||||
| C | ||||
| D | 
조별 리그
[편집]A조와 B조는 적도 기니에서, C조와 D조는 가봉에서 경기를 치른다.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1)을 따름.
 
| 조별 리그 규칙 | 
|---|
| 각 조 1, 2위 팀이 8강에 진출하게 된다. | 
| 각 조 3, 4위 팀은 탈락한다. | 
A조
[편집]|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 3 | 2 | 1 | 0 | 5 | 3 | +2 | 7 | |
| 3 | 2 | 0 | 1 | 3 | 2 | +1 | 6 | |
| 3 | 1 | 1 | 1 | 4 | 4 | 0 | 4 | |
| 3 | 0 | 0 | 3 | 3 | 6 | -3 | 0 | 
B조
[편집]|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 3 | 3 | 0 | 0 | 5 | 0 | +5 | 9 | |
| 3 | 1 | 1 | 1 | 4 | 4 | 0 | 4 | |
| 3 | 1 | 1 | 1 | 4 | 5 | -1 | 4 | |
| 3 | 0 | 0 | 3 | 2 | 6 | -4 | 0 | 
C조
[편집]|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 3 | 3 | 0 | 0 | 6 | 2 | +4 | 9 | |
| 3 | 2 | 0 | 1 | 4 | 3 | +1 | 6 | |
| 3 | 1 | 0 | 2 | 4 | 5 | -1 | 3 | |
| 3 | 0 | 0 | 3 | 1 | 5 | -4 | 0 | 
D조
[편집]|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 3 | 2 | 1 | 0 | 4 | 1 | +3 | 7 | |
| 3 | 2 | 0 | 1 | 3 | 3 | 0 | 6 | |
| 3 | 1 | 1 | 1 | 7 | 3 | +4 | 4 | |
| 3 | 0 | 0 | 3 | 2 | 9 | -7 | 0 | 
결선 토너먼트
[편집]| 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 2월 4일 - 바타 | ||||||||||
| 3 | ||||||||||
| 2월 8일 - 바타 | ||||||||||
| 0 | ||||||||||
| 1 | ||||||||||
| 2월 5일 - 프랑스빌 | ||||||||||
| 0 | ||||||||||
| 2 | ||||||||||
| 2월 12일 - 리브르빌 | ||||||||||
| 1 | ||||||||||
| 0 (8) | ||||||||||
| 2월 5일 - 리브르빌 | ||||||||||
| 0 (7) | ||||||||||
| 1 (4) | ||||||||||
| 2월 8일 - 리브르빌 | ||||||||||
| 1 (5) | ||||||||||
| 0 | ||||||||||
| 2월 4일 - 말라보 | ||||||||||
| 1 | 3위 결정전 | |||||||||
| 3 | ||||||||||
| 2월 11일 - 말라보 | ||||||||||
| 0 | ||||||||||
| 0 | ||||||||||
| 2 | ||||||||||
8강전
[편집]준결승전
[편집]3·4위전
[편집]결승전
[편집]| 잠비아  | 
0 – 0 (연장전) | |
|---|---|---|
| 승부차기 | ||
| C. 카통고  마유카 찬사 F. 카통고 음위네 싱칼라 룽구 칼라바 순주  | 
8 – 7 | |
우승 팀
[편집]|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팀 | 
|---|
잠비아 1번째 우승  | 
최종 순위
[편집]|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 1 | 6 | 4 | 2 | 0 | 9 | 3 | +6 | 14 | |
| 2 | 6 | 5 | 1 | 0 | 9 | 0 | +9 | 16 | |
| 3 | 6 | 3 | 1 | 2 | 6 | 5 | +1 | 10 | |
| 4 | 6 | 3 | 1 | 2 | 6 | 5 | +1 | 10 | |
| 5 | 4 | 3 | 1 | 0 | 7 | 3 | +4 | 10 | |
| 6 | 4 | 2 | 0 | 2 | 5 | 5 | 0 | 6 | |
| 7 | 4 | 2 | 0 | 2 | 3 | 5 | -2 | 6 | |
| 8 | 4 | 1 | 1 | 2 | 4 | 7 | -3 | 4 | |
| 9 | 3 | 1 | 1 | 1 | 7 | 3 | +4 | 4 | |
| 10 | 3 | 1 | 1 | 1 | 4 | 4 | 0 | 4 | |
| 11 | 3 | 1 | 1 | 1 | 4 | 5 | -1 | 4 | |
| 12 | 3 | 1 | 0 | 2 | 4 | 5 | -1 | 3 | |
| 13 | 3 | 0 | 0 | 3 | 3 | 6 | -3 | 0 | |
| 14 | 3 | 0 | 0 | 3 | 2 | 6 | -4 | 0 | |
| 15 | 3 | 0 | 0 | 3 | 1 | 5 | -4 | 0 | |
| 16 | 3 | 0 | 0 | 3 | 2 | 9 | -7 | 0 | 
- 우승에서 4위까지는 준결승, 3, 4위전 및 결승전 결과로 순위를 가린다. 이전 단계에서 탈락한 팀들의 순위는 조별 리그와 동일하게 승점-골득실차-다득점순으로 가리며 모두 같을 경우 공동 순위로 한다.
 - 8강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5위에서 최하 8위까지이다.
 -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9위에서 최하 16위까지이다.
 - 토너먼트에서 승부차기로 경기가 가려진 경우에는 FIFA의 규정에 따라 무승부로 기재한다.
 
각주
[편집]- ↑ 아프리카 축구 연맹 준회원 자격인 
 레위니옹과 
 잔지바르 불포함.
 - ↑ “CAF investigates Burkina Faso's player eligibility following Namibia's claim”. CAFonline.com. June 2011. 2011년 6월 11일에 확인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