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예선
보이기
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스키 ![]() | ||||
올림픽 예선 | ||||
거리종목 | ||||
---|---|---|---|---|
프리 | 남자 | 여자 | ||
스키애슬론 | 남자 | 여자 | ||
클래식 | 남자 | 여자 | ||
계주 | 남자 | 여자 | ||
스프린트 | ||||
개인 | 남자 | 여자 | ||
단체 | 남자 | 여자 |
다음은 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종목 출전 예선에 관한 규칙과 출전권 배정 현황에 관한 것이다.[1]
출전권 부여 규정
[편집]기준
[편집]이번 대회에서는 총 310명의 선수에게 출전권이 부여된다. 한 국가당 최대 20명까지 부여받을 수 있으며, 남녀당 최대 12명까지 허용된다. 즉 어느 한쪽이 12명을 채웠다면 다른 한쪽은 8명만 내보내야 한다.
출전권 부여 과정에는 A기준과 B기준이 있다.
- A기준: FIS 거리종목 포인트 100위 내에 들은 선수는 거리종목과 스프린트 종목 모두, 혹은 둘 중 하나에 출전할 수 있다. 120위 이내의 선수들은 스프린트 전 종목에 참가할 수 있으며, 이후 300위까지의 선수는 일부 거리종목 (여자 10km, 남자 15km)에 출전 가능하다.
- B기준: A기준만으로는 한 명의 선수도 충족시키지 못하는 국가의 경우, 남녀당 한 명씩은 스프린트 종목이나 10km 프리 (여자)/15km 프리 (남자) 종목에 출전시킬 수 있는데 이를 기본쿼터 (basic quota)라 한다. 다만 이 경우에도 2018년 1월 22일까지의 경기에서 FIS 거리종목 포인트 300위 이내에 들은 선수여야 한다. 기준 시점은 2016년 7월부터였다.
쿼터배정
[편집]- 기본쿼터 - B기준을 충족하는 국가는 남녀당 한 명씩 총 두 명의 선수 출전권이 배정된다.
- 포인트순위 상위 300위 - 어느 종목이든 남녀 선수 중 한 명 이상이 300위 이내에 들은 국가는 기본쿼터에 남녀 추가쿼터 한 개 이상이 더 부여된다.
- 포인트순위 상위 30위 - 어느 종목이든 남녀 선수 중 한 명 이상이 30위 이내에 들은 국가는 기본쿼터에 남녀 추가쿼터 최대 네 개까지 부여할 수 있다.
- 잔여 쿼터 - 이밖에도 남은 쿼터는 2018년 1월 22일 기준 올림픽 쿼터배정 명단에 따라 배분된다. 위 쿼터들을 비롯해 전체 배분 쿼터수가 310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한 국가가 최대치에 도달하면 해당 국가의 나머지 선수들은 그대로 건너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명단은 거리종목과 스프린트 양 종목의 상위 500위까지의 순위명단이다.
기본쿼터 외에 나머지 세 기준의 경우, 한 쿼터는 한 선수에만 적용되어 출전권을 부여할 수 있다. 즉 한 국가의 어느 선수가 세 기준에 모조리 해당된다고 하더라도 세 쿼터가 배정되는 것이 아닌 하나로 통친다는 의미다.
쿼터배정
[편집]2018년 1월 26일 쿼터 재배정 이후의 기준.[2]
현황
[편집]국가 | 남자 | 여자 | 추가쿼터 | 총합 |
---|---|---|---|---|
![]() |
1 | 1 | ||
![]() |
1 | 1 | 2 | |
![]() |
1 | 1 | 2 | |
![]() |
2 | 2 | 2 | 6 |
![]() |
2 | 2 | 3 | 7 |
![]() |
2 | 2 | 5 | 9 |
![]() |
1 | 1 | ||
![]() |
1 | 1 | ||
![]() |
1 | 1 | ||
![]() |
1 | 1 | 2 | |
![]() |
1 | 1 | 2 | |
![]() |
2 | 1 | 3 | |
![]() |
2 | 2 | 7 | 11 |
![]() |
1 | 1 | 2 | |
![]() |
2 | 2 | 4 | |
![]() |
1 | 1 | ||
![]() |
2 | 2 | 4 | |
![]() |
2 | 2 | 6 | 10 |
![]() |
1 | 1 | ||
![]() |
1 | 1 | ||
![]() |
2 | 2 | 3 | 7 |
![]() |
2 | 2 | 15 | 19 |
![]() |
2 | 2 | 9 | 13 |
![]() |
2 | 2 | 12 | 16 |
![]() |
1 | 1 | 2 | 4 |
![]() |
1 | 1 | 2 | |
![]() |
1 | 1 | 2 | |
![]() |
2 | 1 | 3 | |
![]() |
1 | 1 | ||
![]() |
1 | 1 | 2 | |
![]() |
1 | 1 | ||
![]() |
2 | 2 | 11 | 15 |
![]() |
1 | 1 | 2 | |
![]() |
2 | 2 | 3 | 7 |
![]() |
1 | 1 | ||
![]() |
1 | 2 | 3 | |
![]() |
1 | 1 | ||
![]() |
1 | 1 | ||
![]() |
2 | 1 | 3 | |
![]() |
1 | 1 | 2 | |
![]() |
1 | 1 | ||
![]() |
1 | 1 | ||
![]() |
1 | 1 | 2 | |
![]() |
1 | 1 | ||
![]() |
1 | 1 | ||
![]() |
2 | 1 | 3 | |
![]() |
2 | 2 | 16 | 20 |
![]() |
1 | 1 | ||
![]() |
2 | 2 | 3 | 7 |
![]() |
1 | 1 | ||
![]() |
2 | 1 | 3 | |
![]() |
2 | 2 | 8 | 12 |
![]() |
1 | 1 | ||
![]() |
2 | 2 | 1 | 5 |
![]() |
2 | 2 | 4 | 8 |
![]() |
2 | 2 | 4 | |
![]() |
2 | 2 | ||
![]() |
2 | 2 | 16 | 20 |
![]() |
2 | 2 | 9 | 13 |
![]() |
1 | 1 | 2 | |
![]() |
1 | 1 | ||
![]() |
1 | 1 | ||
![]() |
2 | 1 | 3 | |
![]() |
2 | 2 | 4 | |
![]() |
2 | 2 | 16 | 20 |
총 65개국 | 93 | 69 | 151 | 313 |
남자
[편집]기준 | 나라당 참가선수 | 총 선수 | 출전국 |
---|---|---|---|
상위 300위 | 2 | 5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본쿼터 | 1 | 3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OC 특별 숙고 | 2 | 2 | ![]() |
총합 | 93 |
여자
[편집]기준 | 나라당 참가선수 | 총 선수 | 출전국 |
---|---|---|---|
상위 300위 | 2 | 4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본쿼터 | 1 | 22 | ![]() ![]() ![]() ![]() ![]() ![]() ![]() ![]() ![]() ![]() ![]() ![]() ![]() ![]() ![]() ![]() ![]() ![]() ![]() ![]() ![]() ![]() ![]() ![]() |
IOC 특별 숙고 | 1 | 1 | ![]() |
총합 | 70 |
잔여 쿼터
[편집]나라별 선수 | 총합 | 출전국 |
---|---|---|
16 | 48 | ![]() ![]() ![]() |
15 | 15 | ![]() |
12 | 12 | ![]() |
11 | 11 | ![]() |
9 | 18 | ![]() ![]() |
8 | 8 | ![]() |
7 | 7 | ![]() |
6 | 6 | ![]() |
5 | 5 | ![]() |
4 | 4 | ![]() |
3 | 12 | ![]() ![]() ![]() ![]() |
2 | 4 | ![]() ![]() |
1 | 1 | ![]() ![]() |
총합 | 151 |
- 독일이 총 세 명분의 쿼터를 반납했으며, 오스트리아와 일본이 받아갔다. 이후 러시아 팀이 8명분을 반납하였다. 이 모든 변동 과정이 해당 목록에 반영되어 있다.
참가 가능성 국가
[편집]총 열다섯명 분의 쿼터가 재배정된다. 특히 러시아 출신 선수들의 대거 탈락으로 8명분을 반납한 데 대해 재배정이 실시되었다. 굵은 글씨는 쿼터를 배정받은 국가, 취소선은 쿼터를 받지 않아도 된다고 표명한 국가.
Next available NOC |
각주
[편집]- ↑ “Qualification Systems for XXIII Olympic Winter Games, Pyeonchang 2018” (PDF). 국제 크로스컨트리 연맹. 2016년 3월 9일. 2017년 1월 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1일에 확인함.
- ↑ “Olympic quota list”. 2017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6일에 확인함.
- ↑ “North Korea will send 22 athletes to Pyeongchang”. BBC.com. 2018년 1월 20일에 확인함.
- ↑ “Cross-Country and Alpine Skiers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o compete in PyeongChang 2018”. fis-ski.com. 2018년 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2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