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하이드록시아이소뷰티르산 탈수소효소 (영어 : 3-hydroxyisobutyrate dehydrogenase ) (EC 1.1.1.31 )는 사람에서 HIBADH 유전자 에 의해 암호화되는 효소 이며[ 5] 다음과 같은 화학 반응 을 촉매 하는 효소이다.[ 6]
3-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산 + NAD+ ⇄ 2-메틸-3-옥소프로판산 + NADH + H+
3-하이드록시아이소뷰티르산 탈수소효소의 2가지 기질 은 3-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산 , NAD+ 이며, 3가지 생성물 은 2-메틸-3-옥소프로판산 , NADH , H+ 이다.
3-하이드록시아이소뷰티르산 탈수소효소는 산화환원효소 부류에 속하며, 특히 공여체가 CH-OH기이며, 수용체가 NAD+ 또는 NADP+ 인 효소에 속한다. 3-하이드록시아이소뷰티르산 탈수소효소는 발린, 류신, 아이소류신의 분해 과정 에 참여한다.
3-하이드록시아이소뷰티르산 탈수소효소의 계통명은 3-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산:NAD+ 산화환원효소 (영어 : 3-hydroxy-2-methylpropanoate:NAD+ oxidoreductase )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이름으로는 β-하이드록시아이소뷰티르산 탈수소효소 (영어 : β-hydroxyisobutyrate dehydrogenase )가 있다.
3-하이드록시아이소뷰티르산 탈수소효소는 발린 대사의 중간생성물인 3-하이드록시아이소뷰티르산을 메틸말론산 세미알데하이드로 가역적 산화를 NAD+ 의존적으로 촉매하는 사량체의 미토콘드리아 효소이다.[ 5]
2007년을 기준으로 이러한 부류의 효소에 대해 PDB 접근 코드 1WP4, 2CVZ, 2GF2, 2H78, 2I9P의 5가지 구조가 해결되었다.
Gerhard DS, Wagner L, Feingold EA 외 (2004). “The status, quality, and expansion of the NIH full-length cDNA project: the Mammalian Gene Collection (MGC).” . 《Genome Res.》 14 (10B): 2121–7. doi :10.1101/gr.2596504 . PMC 528928 . PMID 15489334 .
Hillier LW, Fulton RS, Fulton LA 외 (2003). “The DNA sequence of human chromosome 7.”. 《Nature》 424 (6945): 157–64. Bibcode :2003Natur.424..157H . doi :10.1038/nature01782 . PMID 12853948 .
Scherer SW, Cheung J, MacDonald JR 외 (2003). “Human chromosome 7: DNA sequence and biology.” . 《Science》 300 (5620): 767–72. Bibcode :2003Sci...300..767S . doi :10.1126/science.1083423 . PMC 2882961 . PMID 12690205 .
Mammalian Gene Collection Program Team; Strausberg, R. L.; Feingold, E. A.; Grouse, L. H. 외 (2002). “Generation and initial analysis of more than 15,000 full-length human and mouse cDNA sequences”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 99 (26): 16899–16903. Bibcode :2002PNAS...9916899M . doi :10.1073/pnas.242603899 . PMC 139241 . PMID 12477932 .
Sanger Centre, The; Washington University Genome Sequencing Cente, The (1999). “Toward a complete human genome sequence.”. 《Genome Res.》 8 (11): 1097–108. doi :10.1101/gr.8.11.1097 . PMID 9847074 .
Hughes GJ, Frutiger S, Paquet N 외 (1994). “Human liver protein map: update 1993.”. 《Electrophoresis》 14 (11): 1216–22. doi :10.1002/elps.11501401181 . PMID 8313870 . S2CID 33424554 .
Rougraff PM, Paxton R, Kuntz MJ 외 (1988).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3-hydroxyisobutyrate dehydrogenase from rabbit liver.”. 《J. Biol. Chem.》 263 (1): 327–31. doi :10.1016/S0021-9258(19)57396-3 . PMID 3335502 .
Rougraff PM, Zhang B, Kuntz MJ 외 (1989). “Cloning and sequence analysis of a cDNA for 3-hydroxyisobutyrate dehydrogenase. Evidence for its evolutionary relationship to other pyridine nucleotide-dependent dehydrogenases.”. 《J. Biol. Chem.》 264 (10): 5899–903. doi :10.1016/S0021-9258(18)83634-1 . PMID 2647728 .
인간 HIBADH 게놈 위치와 HIBADH 유전자의 상세한 설명은 UCSC 게놈 브라우저 에 있습니다.
PDBe-KB provides an overview of all the structure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PDB for Human 3-hydroxyisobutyrate dehydrogenase, mitochondrial
PDB 갤러리
{{PDB Gallery/{{{gene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