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J1리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J1리그
120.px
대륙AFC
국가일본 일본
참가 구단 수20
하위 리그J2리그
국내 대회J리그컵
천황배
웹사이트jleague.jp
역사
설립1993년 5월 15일(32년 전)(1993년 5월 15일)
최다 우승가시마 앤틀러스 (8회)
최근 우승비셀 고베 (2024)
최근 시즌 J1리그 2025

J1리그(J1リーグ, J1 League)는 일본의 프로 축구 리그인 J리그(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중 최상위 리그이자 일본의 축구 리그 중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리그이다. 1999년부터 2부제 도입에 따라 J리그 디비전 1(Jリーグ ディビジョン1)로 불리다가, 2015년 J1리그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역사

[편집]

리그 체계

[편집]

1993년에 10개 팀으로 시작한 J리그는 1998년에 18개 팀으로 늘어났고 1999년의 JFL(일본 풋볼 리그) 팀 중 프로 전환을 원하는 팀과 일부 J리그 팀을 합쳐 J1, J2 리그로 나누고 승강제를 실시했다.

J리그 창단해인 1993년부터 (1996년 제외) 2004년까지 전기, 후기 리그로 나누어서 진행되다가, 2005년부터 단일리그로 진행하기 시작했다. J1리그는 리그 18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로 2경기씩 34라운드를 치러 우승 팀을 겨룬다. 2009년부터 J리그 교체전이 폐지되고, 최하위 세 팀(16, 17, 18위)은 다음 해 J2리그로 강등된다. J1리그 상위 세 팀(1, 2, 3위)는 다음 해 AFC 챔피언스리그에 출전한다. 만약 J1리그 1~3위팀이나 다음 시즌 강등팀이 천황배에서 우승하는 경우 4위에게 출전권을 부여한다.

2015년부터 다시 전후기리그 및 플레이오프 제도로 변경되어 전기 리그와 후기 리그 각각의 1위 클럽 및 통합 순위 상위 3 개 클럽이 플레이오프를 실시하여 우승 클럽을 결정한다. 2017년에는 다시 전후기리그 및 플레이오프 제도에서 정규리그 제도로 변경되어 2경기씩 34라운드를 치르게 되었다.

현재 시즌 J1리그 팀

[편집]

1993년 첫 시즌부터 2017년 시즌까지 강등되지 않았던 클럽은 두 팀으로, 가시마 앤틀러스, 요코하마 F. 마리노스이다.

2025 시즌 참가팀

구단 연고지 경기장 수용인원 감독 비고
가시마 앤틀러스 이바라키 현, 가시마 시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40,728 일본 오이와 고 J1리그 2016 우승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사이타마 현, 사이타마 시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63,700 일본 호리 타카후미 J1리그 2016 준우승
가와사키 프론탈레 가나가와 현, 가와사키 시 도도로키 육상 경기장 26,232 일본 오니키 도루 J1리그 2016 3위
감바 오사카 오사카 부 스이타 시 시립 스이타 사커 스타디움 39,694 일본 하세가와 켄타 J1리그 2016 4위
오미야 아르디자 사이타마 현, 사이타마 시 NACK5 스타디움 오미야 15,500 일본 이토 아키라 J1리그 2016 5위
산프레체 히로시마 히로시마 현, 히로시마 시 에디온 스타디움 50,000 스웨덴 얀 옌손 J1리그 2016 6위
비셀 고베 효고 현, 고베 시 노에비아 스타디움 30,132 일본 요시다 다카유키 J1리그 2016 7위
가시와 레이솔 지바 현, 가시와 시 히타치 가시와 축구장 15,900 일본 시모타이라 타카히로 J1리그 2016 8위
요코하마 F. 마리노스 가나가와 현, 요코하마 시 닛산 스타디움 72,327 프랑스 에릭 몸바에르츠 J1리그 2016 9위
FC 도쿄 도쿄 도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49,970 일본 안마 다카요시 J1리그 2016 10위
사간 도스 사가 현, 도스 시 도스 스타디움 24,000 이탈리아 마시모 피카덴티 J1리그 2016 11위
베갈타 센다이 미야기 현, 센다이 시 유아텍 스타디움 센다이 19,694 일본 와타나베 스스무 J1리그 2016 12위
주빌로 이와타 시즈오카 현, 이와타 시 야마하 스타디움 15,165 일본 나나미 히로시 J1리그 2016 13위
방포레 고후 야마나시 현, 고후 시 야마나시 중앙은행 스타디움 17,000 일본 요시다 다쓰마 J1리그 2016 14위
알비렉스 니가타 니가타 현, 니가타 시 빅스완 스타디움 42,300 일본 나카노 유키오 J1리그 2016 15위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홋카이도, 삿포로 시 삿포로 돔 41,484 일본 요모다 슈헤이 J2리그 2016 우승
시미즈 에스펄스 시즈오카 현 시즈오카 시 IAI 스타디움 니혼다이라 20,339 일본 고바야시 신지 J2리그 2016 준우승
세레소 오사카 오사카 부, 오사카 시 & 사카이 시 긴쵸 스타디움 47,000 한국 윤정환 J2리그 2016 승격 P.O. 우승

우승

[편집]

시즌별 우승 클럽

[편집]

J리그 (1993–1998)

시즌 우승 준우승
1993 베르디 가와사키 가시마 앤틀러스
1994 베르디 가와사키 산프레체 히로시마
1995 요코하마 마리노스 베르디 가와사키
1996 가시마 앤틀러스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
1997 주빌로 이와타 가시마 앤틀러스
1998 가시마 앤틀러스 주빌로 이와타

J리그 디비전 1 (1999–2014)

시즌 우승 준우승
1999 주빌로 이와타 시미즈 에스펄스
2000 가시마 앤틀러스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01 가시마 앤틀러스 주빌로 이와타
2002 주빌로 이와타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03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주빌로 이와타
2004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005 감바 오사카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006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가와사키 프론탈레
2007 가시마 앤틀러스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008 가시마 앤틀러스 가와사키 프론탈레
2009 가시마 앤틀러스 가와사키 프론탈레
2010 나고야 그램퍼스 감바 오사카
2011 가시와 레이솔 나고야 그램퍼스
2012 산프레체 히로시마 베갈타 센다이
2013 산프레체 히로시마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14 감바 오사카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J1리그 (2015–현재)

시즌 우승 준우승
2015 산프레체 히로시마 감바 오사카
2016 가시마 앤틀러스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017 가와사키 프론탈레 가시마 앤틀러스
2018 가와사키 프론탈레 산프레체 히로시마
2019 요코하마 F. 마리노스 FC 도쿄
2020 가와사키 프론탈레 감바 오사카
2021 가와사키 프론탈레 감바 오사카
2022 요코하마 F. 마리노스 가와사키 프론탈레
2023 비셀 고베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24 비셀 고베 산프레체 히로시마
2025

클럽별 우승 횟수

[편집]
클럽 우승 준우승 우승 시즌 준우승 시즌
가시마 앤틀러스
8
3
1996, 1998, 2000, 2001, 2007, 2008, 2009, 2016 1993, 1997, 2017
요코하마 F 마리노스
4
4
1995, 2003, 2004, 2019, 2022 2000, 2002, 2013, 2023
가와사키 프론탈레
4
3
2017, 2018, 2020, 2021 2006, 2008, 2009, 2022
주빌로 이와타
3
3
1997, 1999, 2002 1998, 2001, 2003
산프레체 히로시마
3
2
2012, 2013, 2015 1994, 2018
감바 오사카
2
3
2005, 2014 2010, 2015, 2020
도쿄 베르디
2
1
1993, 1994 1995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1
5
2006 2004, 2005, 2007, 2014, 2016
나고야 그램퍼스
1
2
2010 1996, 2011
가시와 레이솔
1
0
2011
비셀 고베
2
0
2023, 2024
시미즈 에스펄스
0
1
1999
베갈타 센다이
0
1
2012
FC 도쿄
0
1
2019

강등

[편집]

1998년 시즌 이후 승강제가 실시되었다. 승강제 시행 첫 시즌인 1998년은 플레이오프를 치러서 팀 개수를 18개에서 16개로 줄인 후 1999년부터 2003년까지는 매 시즌 최하위 2개 팀을 J2로 강등시키고 다음 시즌에 그 자리를 J2 우승 팀과 준우승 팀으로 채우는 방식이었다가 2004년 시즌에는 강등직행 없이 최하위 1개 팀만 승강결정전으로 보내고 J2 우승 팀과 준우승 팀을 받아들여서 2005년부터 팀 개수를 18개로 늘렸다. 그 후 2008년까지 최하위 2개 팀을 강등시키고 16위 팀이 J2 3위 팀과 승강결정전을 치르는 방식을 채택하다가 2009년부터 3개 팀씩 강등시키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2017년 시즌부터 승강 범위를 다시 최하위 2개 팀을 강등시키고 16위 팀이 J2 3위 팀과 승강결정전을 치르는 방식으로 환원하였다. 2020년 시즌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대유행하여서 시즌 초반에 당해 년도 시즌에 한해 하부 리그로 강등이 면제되었다. 2021년 시즌에 한해 20개팀으로 운영되었고 한시적으로 승강 플레이오프가 중단되고 최하위 4팀(17위~20위)을 강등시켰다. 2022년 시즌부터 2019년 시즌 방식으로 환원하였다.

다음은 1998년 시즌 이후의 최하위 팀 기록이다. 굵은 글씨는 강등된 팀을, ※표시는 2004년부터 2008년까지, 2017년부터 승강결정전에 참가한 팀을 의미한다.

시즌 15위 16위 17위 18위
1998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콘사도레 삿포로 비셀 고베 아비스파 후쿠오카
1999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벨마레 히라츠카 16팀만 참가
2000 교토 퍼플 상가 가와사키 프론탈레
2001 아비스파 후쿠오카 세레소 오사카
2002 산프레체 히로시마 콘사도레 삿포로
2003 베갈타 센다이 교토 퍼플 상가
2004 세레소 오사카 가시와 레이솔
2005 시미즈 에스펄스 가시와 레이솔 도쿄 베르디 1969 비셀 고베
2006 반포레 고후 아비스파 후쿠오카 세레소 오사카 교토 퍼플 상가
2007 오미야 아르디자 산프레체 히로시마 반포레 고후 요코하마 FC
2008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 주빌로 이와타 도쿄 베르디 콘사도레 삿포로
2009 몬테디오 야마가타 가시와 레이솔 오이타 트리니타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
2010 비셀 고베 FC 도쿄 교토 상가 FC 쇼난 벨마레
2011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반포레 고후 아비스파 후쿠오카 몬테디오 야마가타
2012 알비렉스 니가타 비셀 고베 감바 오사카 콘사도레 삿포로
2013 반포레 고후 쇼난 벨마레 주빌로 이와타 오이타 트리니타
2014 시미즈 에스펄스 오미야 아르디자 세레소 오사카 도쿠시마 보르티스
2015 알비렉스 니가타 마츠모토 야마가 시미즈 에스펄스 몬테디오 야마가타
2016 알비렉스 니가타 나고야 그램퍼스 쇼난 벨마레 아비스파 후쿠오카
2017 산프레체 히로시마 방포레 고후 알비렉스 니가타 오미야 아르디자
2018 나고야 그램퍼스 주빌로 이와타 가시와 레이솔 V-파렌 나가사키
2019 사간 도스 쇼난 벨마레 주빌로 이와타 마츠모토 야마가
2020 강등팀 없음
시즌 17위 18위 19위 20위
2021 도쿠시마 보르티스 오이타 트리니타 베갈타 센다이 요코하마 FC
시즌 15위 16위 17위 18위
2022 감바 오사카 교토 상가 시미즈 에스펄스 주빌로 이와타
시즌 18위
2023 (1팀만 강등) 미정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