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F 반란
NDF 반란 | |||||||
---|---|---|---|---|---|---|---|
냉전과 아랍 냉전의 일부 | |||||||
![]() 1982년 5월 NDF 작전 지역의 CIA 지도 | |||||||
| |||||||
교전국 | |||||||
|
![]() ![]() 이슬람 전선 지원: ![]() | ||||||
지휘관 | |||||||
![]() ![]() ![]() ![]() |
![]() ![]() | ||||||
병력 | |||||||
15,000명 |
NDF 반란은 중부 지역 전쟁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1978년부터 1982년까지 예멘 아랍 공화국 (북예멘)에서 야히아 샤미 휘하의 국가민주전선이 일으킨 반란이자 내전이다.[2][3]
역사
[편집]반란 시작
[편집]반란은 아메드 알가미시의 암살과 알리 압둘라 살레의 집권에 이어 1978년에 시작되었다.[3] 국가민주전선(NDF)은 남예멘[3]과 리비아의 지원을 받아 반란을 일으켰다.[2] NDF는 분쟁 초기에 여러 차례 성공을 거두었지만, 1979년 국경 전쟁 이후 북예멘과 남예멘 간의 평화 조약 이후 외부 지원이 줄어들었다.[3]
정부와 NDF 사이에 여러 차례 휴전 시도가 있었다. 쿠웨이트는 1981년 11월 26일 정부와 NDF 간의 휴전 협정을 체결하는 데 성공했지만, 1981년 12월에 적대 행위가 다시 발생했다.[2] 나중에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는 1982년 4월 3일 휴전 협정을 중재할 수 있었지만, 같은 달 말에 적대 행위가 다시 시작되었고 NDF가 주반을 점령했다. 정부군은 다음 달에 주반의 NDF 진지를 공격하여 영토를 탈환했다.
1982년 5월과 반란의 패배
[편집]덜 노골적으로 호전적인 알리 나시르 무함마드의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남예멘의 NDF 지원은 줄어들었고,[3] 1982년 5월에 NDF에 대한 지원이 마침내 끝났다.[2] NDF의 주요 거점이었던 담마르는 1982년 북예멘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4] NDF는 결국 재편된 북예멘군과 친정부 이슬람 전선의 협력으로 패배했고, 북예멘 정부는 북부-남부 국경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마침내 확립할 수 있었다.[3]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Foreign Policy in Focus, Yemen, the United States, and Al-Qaida”. 《www.fpif.org》. 2009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Bypassing congressional approval, the administration rushed nearly $499 million worth of modern weaponry to North Yemen, including 64 M-60 tanks, 70 armored personnel carriers, and 12 F-5E aircraft. Included were an estimated 400 American advisers and 80 Taiwanese pilots to pilot the sophisticated warplanes that no Yemeni knew how to fly.
- ↑ 가 나 다 라 “10. Kingdom of Yemen/Yemen Arab Republic/North Yemen (1918-1990)”. 《uca.edu》.
- ↑ 가 나 다 라 마 바 Burrowes, Robert D. (2010). 《Historical Dictionary of Yemen》. Rowman & Littlefield. 252쪽.
- ↑ “Earthquake Toll in Yemen Area is Put at 1,082”. 《The New York Times》 (미국 영어). Associated Press. 1982년 12월 15일. ISSN 0362-4331. 2019년 11월 30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Burrowes, Robert D. (2016년 2월 5일). 《The Yemen Arab Republic: The Politics of Development, 1962-1986》 (영어). Routledge. ISBN 978-1-317-291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