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Run-D.M.C. (음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Run-D.M.C.》
Run-D.M.C.정규 음반
발매일1984년 3월 27일
녹음일1983년
장르이스트코스트 힙합, 하드코어 힙합, 랩 록
길이39:27
언어영어
레이블프로파일, 아리스타
프로듀서러셀 시몬스, 래리 스미스
Run-D.M.C. 연표
Run-D.M.C.
(1984)
King of Rock
(1985)
전문가 평가
평가 점수
출처점수
AllMusic5/별[1]
Chicago Tribune4/별[2]
Pitchfork8.1/10[3]
Record Collector4/별[4]
Rolling Stone4/별[5]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4.5/별[6]
The Source5/별[7]
Spin Alternative Record Guide9/10[8]
Uncut4/별[9]
The Village VoiceA−[10]

Run-D.M.C.》는 미국힙합 그룹 Run-D.M.C.의 데뷔 스튜디오 음반으로, 1984년 3월 27일, 프로파일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으며, 이후 아리스타 레코드를 통해 재발매되었다. 이 음반은 주로 러셀 시몬스래리 스미스가 프로듀싱을 맡았다.

이 음반은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작품으로 여겨졌으며, 보다 강경하고 하드코어한 형태의 랩을 선보였다. 음반의 절제된 비트와 공격적인 라임은 당시 유행하던 가볍고 파티 지향적인 힙합 사운드와는 뚜렷한 대조를 이루었다. 이 음반을 통해 Run-D.M.C.는 1980년대 중반 뉴 스쿨 힙합의 흐름을 개척한 주역으로 음악 비평가들 사이에서 평가받게 되었다.[11] 이 음반에서는 〈It's Like That〉, 〈Hard Times〉, 〈Rock Box〉, 〈30 Days〉, 〈Hollis Crew〉 등 총 다섯 곡의 싱글이 발매되었다. 이 중 첫 번째 싱글인 〈It's Like That〉은 1983년 8월 10일에 발매되었으며, 실업과 인플레이션 등 사회적 문제에 대한 항의의 메시지를 담아 랩의 서사적 범위를 확장시켰다. 이 곡은 최초의 하드코어 힙합 곡이자[12][13], 최초의 뉴 스쿨 힙합 녹음물로 간주되기도 한다.[14] 또한 〈Sucker M.C.'s〉는 힙합 역사상 초기의 디스 트랙 가운데 하나로 평가되며[15], 〈Rock Box〉는 랩 록 장르의 시초로 여겨진다.[13]

《Run-D.M.C.》는 빌보드 200 차트에서 최고 53위, 톱 R&B/힙합 음반 차트에서 최고 14위를 기록하였다. 이 음반은 1984년 12월 17일,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은 최초의 랩 음반이 되었다.[16][17][18] 발매 당시 비평가들로부터 찬사를 받았으며, 오늘날까지도 힙합의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1989년에는 《롤링 스톤》이 선정한 "1980년대 최고의 음반 100위"에서 51위에 올랐다.[19] 2003년에는 같은 매체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음반 500장"에서 240위에 올랐으며, 이후 2012년 개정판에서는 242위, 2020년 개정판에서는 378위로 조정되었다.[20] 이 음반은 1999년과 2003년에 아리스타 레코드를 통해 재발매되었으며, 2005년에는 리마스터 및 확장판이 출시되어 미공개 곡 4곡이 추가 수록되었다.[21]

배경

[편집]

이 음반의 음악은 래리 스미스의 그룹 오렌지 크러시가 오버하임 DMX 드럼 머신을 사용해 제작하였으며, 여기에 잼 마스터 제이의 스크래치와 기타 리프가 혼합되어 구성되었다.[22]

이 음반은 브롱크스의 클럽 디스코 피버에서 DJ로 활동하면서 동시에 마약을 판매하던 DJ 준 버그를 추모하며 헌정되었다.[23]

곡 목록

[편집]

Side one
#제목작사·작곡재생 시간
1.Hard Times지미 브라로워, JB 무어, 러셀 시몬스, 래리 스미스, 윌 워링3:52
2.Rock Box대릴 맥대니얼스, 조지프 시몬스, 스미스5:30
3.〈Jam-Master Jay〉맥대니얼스, 제이슨 미젤, J. 시몬스3:11
4.〈Hollis Crew (Krush-Groove 2)〉맥대니얼스, 미젤, J. 시몬스, R. 시몬스3:12
5.Sucker M.C.'s (Krush-Groove 1)〉너새니얼 S. 하디 주니어, 맥대니얼스, J. 시몬스, 스미스3:09

Side two
#제목작사·작곡재생 시간
6.It's Like That맥대니얼스, J. 시몬스, 스미스4:50
7.〈Wake Up〉J. 시몬스, 스미스, R. 시몬스, 대니얼 헤이든5:31
8.〈30 Days〉대니얼 시몬스, 스미스, 무어5:47
9.〈Jay's Game〉J. 시몬스, 스미스, 미젤, R. 시몬스4:25

인증

[편집]
국가 인증 판매량/출하량
미국 (RIAA)[24] 골드 500,000^
^출하량을 기반으로 한 인증

각주

[편집]
  1. Erlewine, Stephen Thomas. “Run-D.M.C. – Run-D.M.C.”. AllMusic. 2011년 2월 8일에 확인함. 
  2. Kot, Greg (1990년 12월 2일). “A Rundown On The Recording History Of Run-D.M.C.”. 《Chicago Tribune. 2022년 1월 29일에 확인함. 
  3. Breihan, Tom (2005년 9월 22일). “Run-D.M.C.: Run-DMC / King of Rock / Raising Hell / Tougher Than Leather”. 《Pitchfork. 2011년 2월 8일에 확인함. 
  4. McCann, Ian (October 2017). “Run-DMC; King Of Rock; Raising Hell; Tougher Than Leather | Run-DMC”. 《Record Collector》. 471호 (London). 2022년 1월 29일에 확인함. 
  5. Miller, Debby (1984년 8월 30일). “Run-D.M.C.”. 《Rolling Stone》 (New York). 2011년 2월 8일에 확인함. 
  6. Tate, Greg (2004). 〈Run-D.M.C.〉. Brackett, Nathan; Hoard, Christian.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4판. New York: Simon & Schuster. 708–709쪽. ISBN 0-7432-0169-8. 
  7. “Got Five On It”. 《The Source》. 150호 (New York). March 2002. 174–179쪽. 
  8. Weisbard, Eric (1995). 〈Run-D.M.C.〉. Weisbard, Eric; Marks, Craig. 《Spin Alternative Record Guide》. New York: Vintage Books. 338–339쪽. ISBN 0-679-75574-8. 
  9. “Run-DMC: Run-D.M.C.”. 《Uncut》. 78호 (London). November 2003. 130쪽. 
  10. Christgau, Robert (1984년 4월 24일). “Christgau's Consumer Guide”. 《The Village Voice》 (New York). 2011년 2월 8일에 확인함. 
  11. Toop, p. xi
  12. Sickels, Robert C. (2013년 8월 8일). 《100 Entertainers Who Changed America: An Encyclopedia of Pop Culture Luminaries (by Robert C. Sickels) (2013) - page 462》. ISBN 9781598848311. 2019년 5월 4일에 확인함. 
  13. “Run-DMC - Running Down a Dream (by Joshua Ostroff) Published Sep 01, 2005”. 《exclaim.ca. 2019년 5월 4일에 확인함. 
  14. Shekell, Dustin; Chuck, D. (2009). 《LL Cool J (by Dustin Shekell, Chuck D) (2009) - page 44》. ISBN 9781438103471. 2019년 5월 4일에 확인함. 
  15. Chuck, D. (2017년 10월 10일). 《Chuck D - This Day In Rap and Hip-Hop History (by Chuck D) (October 10, 2017) - page 37》. ISBN 9780316430982. 2019년 5월 4일에 확인함. 
  16. “American certifications – Run-D.M.C. – Run-D.M.C.” (영어). 미국 음반 산업 협회. 
  17. “SPIN Magazine (May, 1985): Rap 'N' Roll by Edward Rasen - page 27”. 《books.google.com》. May 1985. 2019년 5월 4일에 확인함. 
  18. Jenkins, Sacha; Wilson, Elliott; Mao, Jeff; Alvarez, Gabe; Rollins, Brent (2014년 3월 25일). 《First 10 Gold Rap Albums - Ego Trip's Book of Rap Lists (2014) - page 280》. ISBN 9781466866973. 2019년 5월 4일에 확인함. 
  19. Product Notes – Run-D.M.C.. Muze. Retrieved on February 8, 2011.
  20.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Rolling Stone》. 2020년 9월 22일. 2021년 3월 3일에 확인함. 
  21. “Run-D.M.C. - Run-D.M.C. (2005 expanded deluxe edition)”. 《discogs.com. 2019년 5월 4일에 확인함. 
  22. Kajikawa, Loren (2015년 3월 7일). 《Sounding Race in Rap Songs (2015)》. ISBN 9780520283985. 2019년 1월 26일에 확인함. 
  23. “Krush Groove (Jan 7, 2010)”. 《oldschoolhiphop.com》. 2019년 2월 10일에 확인함. 
  24. “American album certifications – Run-D.M.C. – Run-D.M.C.” (영어). 미국 음반 산업 협회.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