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SBS 뉴스브리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BS 뉴스브리핑
SBS NEWS BRIEFING
장르 뉴스
방송 국가 한국
방송 채널 SBS TV
방송 기간 2013년 10월 10일 ~ 현재
방송 시간 매주 평일 오후 2시 ~ 오후 3시
방송 분량 1시간
추가 채널 SBS U TV
기획 허윤석
제작 SBS 보도본부
연출 최지웅, 임도연
진행자 편상욱
음성 2채널 돌비 디지털 (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UHD 생방송 (2017년 10월 10일 ~ 현재)
관련 프로그램 사사건건
MBC 2시 뉴스외전
외부 링크  SBS 뉴스브리핑 공식 홈페이지

비고:
한국 수어 통역 방송
SBS 뉴스 홈페이지에 있는 대본 멘트에 "SBS ○○○입니다."라는 표기가 없음
SBS 제2 뉴스 스튜디오에서 진행
오프닝 타이틀에는 편상욱의 뉴스브리핑으로 표시
하단 왼쪽에 있는 로고 뉴스브리핑, NEWS BRIEFING으로 표시

외부 동영상
이슈 인사이드 전회차 무료보기

SBS 뉴스브리핑》(영어: SBS NEWS BRIEFING)은 SBS TV에서 매주 평일 오후 2시에 방송 중인 낮 뉴스 토크 프로그램이다.

개요

[편집]

NEXT 멘트는 뉴스브리핑으로 읽는다.

방송 시간

[편집]
  • 현재 방송 시간은 2025년 10월 20일부터 기준으로 한다.
  • 긴급ㆍ특집 뉴스가 편성되면 SBS 뉴스특보특집 SBS 뉴스브리핑으로 방송ㆍ편성된다.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방송 분량
SBS TV 2013년 10월 10일 ~ 2015년 11월 19일 수요일 ~ 목요일 오후 3시 10분 ~ 오후 4시 50분
2015년 11월 23일 ~ 2016년 4월 22일 평일 오후 3시 ~ 오후 4시 1시간
2025년 10월 20일 ~ 현재 평일 오후 2시 ~ 오후 3시
2017년 1월 2일 ~ 2017년 3월 24일 1부 : 평일 오후 2시 ~ 오후 3시
2부 : 평일 오후 4시 ~ 오후 5시
1부 : 1시간
2부 : 1시간
2016년 4월 25일 ~ 2016년 12월 30일 평일 오후 3시 ~ 오후 4시 30분 1시간 30분
2017년 3월 27일 ~ 2025년 10월 17일 평일 오후 2시 ~ 오후 4시 2시간

앵커

[편집]
  • 현재 앵커는 2023년 4월 3일부터 기준으로 한다.

메인

[편집]
대수 진행자 진행 기간 비고
1대 서두원 기자 2013년 10월 10일 ~ 2014년 11월 13일
2대 신동욱 前 국제부장[1] 2014년 11월 19일 ~ 2014년 12월 24일
3대 편상욱 정치부 부국장 2015년 1월 7일 ~ 2015년 11월 19일
4대 배재학 국제부 부국장급 기자 2015년 11월 23일 ~ 2016년 4월 22일
5대 주영진 논설위원 2016년 4월 25일 ~ 2023년 3월 31일 [2]
6대 편상욱 정치부 부국장 2023년 4월 3일 ~ 현재 [3][4]

서브

[편집]
대수 진행자 진행 기간 비고
1대 최혜림 아나운서 2015년 11월 23일 ~ 2016년 12월 16일
2대 전연남 사회부 기자 2023년 2월 1일 ~ 2024년 12월 3일
3대 정혜경 정치부 기자 2025년 1월 8일 ~ 2025년 6월 26일
4대 조지현 기자 2025년 8월 11일 ~ 2025년 10월 17일

코너

[편집]

방영

[편집]
코너명 진행자
앵커가 뽑은 이 시각 주요뉴스 편상욱 정치부 부국장
정치 여담야담
정치 좌충우돌
한뼘뉴스 정하석 논설위원
민용준의 씨네마 뷰 민용준 영화평론가
LIVE 오늘의 현장 편상욱 정치부 부국장
클로징 / 오늘의 노래

앵커가 뽑은 이 시각 주요뉴스

[편집]

평일 오후 2시에 20분 동안 방송하는 스트레이트 뉴스 코너.

정치 여담야담

[편집]

정치 토크 코너. 특집으로 어느 한 가지 소식을 중점적으로 전해야 할 때에는 생략한다. 신설 당시 명칭은 정치 오프너였다가 2021년 8월 23일부터 정치 여담야담으로 변경돼 일반 정치 토크 코너로 개편됐다.

정치 좌충우돌

[편집]

집권 여당, 제1 야당에서 국회의원 1명이 대표로 나와서 인터뷰를 한다.

한뼘뉴스

[편집]

숨어있는 뉴스의 이면까지 샅샅이 한 발 더 깊이 들어가 보는 코너. 2025년 10월 20일부터 신설되었으며, 정하석 논설위원이 진행한다.

민용준의 씨네마 뷰

[편집]

금요일 영화 소개 코너. 민용준 영화평론가가 진행한다.

LIVE 오늘의 현장

[편집]

인터뷰 코너.

오늘의 노래

[편집]

클로징과 함께 그날의 분위기에 맞는 노래를 들려주는 코너. 실시간으로 브리핑을 연결한다거나 특집으로 뉴스가 연장되거나 무언가 생방송으로 방송 분량이 1시간으로 축소될 때에는 생략한다.

종영

[편집]
코너명 진행자
주영진이 만난 사람 주영진 논설위원
뉴블더 조지현 기자

주영진이 만난 사람

[편집]

인터뷰 코너. 주영진 논설위원이 진행했다.

뉴블더

[편집]

뉴스브리핑 더보기 코너. 조지현 기자가 진행했다.

타이틀 변천사

[편집]
  • 2013년 10월부터 여러 차례 변화를 거쳐서 시대 흐름에 따라 프로그램 명칭과 형식이 달라졌다.
  • 현재 타이틀은 2017년 1월 2일부터 기준으로 한다.
기수 프로그램 타이틀 방송 기간
1기 SBS 이슈 인사이드 2013년 10월 10일 ~ 2015년 11월 19일
2기 3시 뉴스브리핑 2015년 11월 23일 ~ 2016년 12월 30일
3기 SBS 뉴스브리핑 2017년 1월 2일 ~ 현재

편성 변경

[편집]
  • 2015년 12월 28일 : 2015년 위안부 문제 협상 타결 논란의 시초가 된 한일 외교장관 회담 후 기자회견 방송으로 인하여 특집으로 방송
  • 2016년 1월 1일 : 북한의 4차 핵실험 관련 소식으로 인하여 특집으로 방송
  • 2017년 5월 9일 : 2017 국민의 선택 특집 방송으로 인하여 1시간 50분간 2017 국민의 선택 특집으로 방송
  • 2017년 7월 4일 : 北 "ICBM 화성14형 발사 성공 관련 소식으로 인하여 2시간 40분간 특집으로 방송
  • 2017년 11월 15일 : 포항 지진 관련 소식으로 인하여 3시간 동안 특집으로 방송
  • 2018년 4월 6일 : 박근혜 전 대통령 1심 재판 선고 관련 소식으로 인하여 3시간 동안 특집으로 방송
  • 2018년 6월 13일 : 2018 국민의 선택 특집 방송으로 인하여 2시간 50분간 2018 국민의 선택 특집으로 방송
  • 2018년 9월 18일 ~ 9월 23일 : 2018 제 3차 남북정상회담 개최로 3시간 동안 특집으로 방송.
  • 2018년 10월 5일 : 이명박 전 대통령 1심 재판 선고 관련 소식으로 인하여 2시간 15분간 특집으로 방송
  • 2019년 9월 23일 : 제27회 임방울 국악제 편성으로 인한 3시 편성.
  • 2020년 4월 15일 : 2020 국민의 선택 특집 방송으로 인하여 2020 국민의 선택 특집으로 방송
  • 2021년 10월 6일 : 제 29회 임방울 국악제 편성으로 인한 3시로 편성
  • 2022년 2월 10일 :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편성으로 인한 3시로 변경
  • 2022년 10월 13일 : 오후 2시 40분 정의당 대표 후보 연설로 인한 편성으로 인해 단축 방송·편성
  • 2023년 9월 18일 : 제31회 임방울 국악제 편성으로 인한 3시로 변경
  • 2024년 5월 24일 : 2024 《SBS 희망 TV》 3부 방송으로 인하여 1시간 동안 방송
  • 2024년 7월 30일 : 2024 파리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1시간 방송
  • 2024년 10월 7일 : 2024 서울시교육감 보궐선거 후보토론회로 인한 3시 10분으로 변경
  • 2025년 2월 20일 : 《2025 AFC U-20 아시안컵 D조 - 대한민국 vs 일본》 편성으로 인해 15분 단축 편성
  • 2025년 11월 10일 : 생활의 달인 (재방송) 편성으로 인한 단축편성
  • 2025년 11월 11일 : 경이로운 도전 재방송 편성으로 인한 단축편성
  • 2025년 11월 14일 : SBS희망티비 편성으로 인한 단축편성

결방

[편집]

관련 프로그램

[편집]

각주

[편집]
  1. 현재 국민의힘 서울 서초구 을 국회의원
  2. 주영진 논설위원의 휴가로 인해 2018년 8월 6일부터 2018년 8월 7일에는 박진호 뉴미디어국장이 대신 진행했고 2022년 3월 31일부터 2022년 4월 6일에는 윤춘호 논설위원이 대신 진행했다.
  3. 편상욱 정치부 부국장은 SBS 이슈 인사이드 진행한 지 8년 3개월 만에 SBS 뉴스브리핑 재진행.
  4. 편상욱 정치부 부국장의 휴가로 인해 2024년 7월 22일부터 2024년 7월 26일에는 윤춘호 논설위원이 대신 진행했고 2025년 7월 7일부터 2025년 7월 11일에는 정하석 논설위원이 대신 진행했다.

외부 링크

[편집]
SBS TV 월요일 ~ 화요일 프로그램
이전 SBS 뉴스브리핑 다음
꾸러기 탐구생활 (재방송) (월요일)
와이드 정보쇼 알고보면 (화요일)
(일부 지역 자체 방송)
생방송 투데이 (재방송)
오후 1시 30분 오후 2시 오후 3시
SBS TV 수요일 ~ 금요일 프로그램
이전 SBS 뉴스브리핑 다음
보석이네 건강수다 (재방송) (수요일)
(일부 지역 자체 방송)
고향이 보인다 (목요일)
히든카드 (재방송) (금요일)
(일부 지역 자체 방송)
생방송 투데이 (재방송)
오후 1시 오후 2시 오후 3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