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Nationalsozialistische Deutsche Arbeiterpartei
로고
약칭 NSDAP
NAZI, 나치당
표어 하나의 민족, 하나의 국가, 하나의 지도자
(독일어: Ein Volk, ein Reich, ein Führer)
당가
"Die Fahne Hoch"
"기를 높이 올려라"
상징색 검정, 빨강, 하양 (국기색)
갈색
이념 나치즘
범게르만주의
반공주의
스펙트럼 극우
당원 약 60명 (1920년)
850만명 (1945년)[1]
1930년, 아돌프 히틀러와 함께한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의 당원들
1930년, 아돌프 히틀러와 함께한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의 당원들
당직자
대표 안톤 드렉슬러
(1920년 ~ 1921년)
아돌프 히틀러
(1921년 ~ 1945년)
마르틴 보어만
(1945년)
창립자 안톤 드렉슬러
역사
창당 1920년 2월 24일
해산 1945년 10월 10일
선행조직 독일 노동자당
후계정당 사회주의 제국당
내부 조직
중앙당사 나치 독일 뮌헨
학생조직 민족사회주의 독일 학생동맹
청년조직 히틀러유겐트
여성조직 민족사회주의여성동맹
준군사조직 돌격대
친위대
당기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a](Nationalsozialistische Deutsche Arbeiterpartei, 독일어: Nationalsozialistische Deutsche Arbeiterpartei[b][c] 또는 NSDAP 엔에스데아페[*]) 또는 나치당[d]1920년부터 1945년까지 독일에서 활동했던 극우 정당으로, 나치즘 이념을 창안하고 지지했다. 전신인 독일 노동자당(Deutsche Arbeiterpartei)은 1919년부터 1920년까지 존재했다. 나치당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에서 공산주의 봉기에 맞서 싸운 극단주의 독일 국민주의(독일 민족주의), 인종 차별, 포퓰리즘 자유군단 준군사 문화에서 기원했다.[3] 당은 노동자들을 공산주의에서 민족운동(völkisch)로 이끌기 위해 만들어졌다.[4] 처음에는 나치당의 정치 전략이 반-대기업, 반-부르주아지, 반자본주의에 초점을 맞췄고, 하층 중산층의 지지를 얻기 위해 위선적으로 사회주의 수사를 사용했다.[5] 그러나 이는 나중에 기업 지도자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축소되었다. 1930년대에 이르러 당의 주요 초점은 반유대주의반마르크스주의 이념으로 옮겨갔다.[6] 대공황 이전에는 대중의 지지가 미미했으며, 생활 수준 악화와 광범위한 실업이 독일인들을 정치적 극단주의로 몰아넣으면서 지지층이 확대되었다.[7]

나치즘의 핵심은 민족공동사회(Volksgemeinschaft)라는 개념으로 표현된 인종 분리 이념이었다.[8] 당은 '인종적으로 바람직한' 독일인들을 국가 동료로 단결시키면서, 정치적 반대자, 신체적 또는 지적으로 열등한 자, 또는 외국 인종(Fremdvölkische)으로 간주되는 자들을 배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9] 나치당은 인종 순수성과 우생학, 광범위한 사회 복지 프로그램, 그리고 개인의 권리를 국가와 인민의 이익을 위해 희생할 수 있다는 집단적 개인 권리 종속을 통해 게르만 민족, 즉 '아리안 주인 민족'을 강화하고자 했다. 아리안 인종의 순수성과 강인함을 보호하기 위해 나치당은 유대인, 롬인, 슬라브족, 신체적정신적 장애인, 동성애자, 여호와의 증인, 그리고 정치적 반대자들을 권리 박탈, 분리, 궁극적으로 절멸시키려 했다.[10] 이러한 박해는 당이 통제하는 독일 국가가 유대인 문제에 대한 최종 해결책을 실행에 옮기면서 절정에 달했는데, 이는 약 6백만 명의 유대인과 수백만 명의 다른 표적 희생자들을 홀로코스트로 알려진 산업적 집단학살 시스템을 통해 대량 학살한 것이었다.[11]

1921년부터 당의 지도자였던 아돌프 히틀러는 1933년 1월 30일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에 의해 독일 총리로 임명되었고, 곧이어 권력을 장악했다. 히틀러는 제3제국으로 알려진 전체주의 체제를 수립하고 독재자로서 독재 권력을 갖게 되었다.[12][13][14][15]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군사적으로 패배한 후, 당은 불법화되었다.[16] 연합국은 탈나치화 과정에서 독일 사회에서 나치 요소를 제거하려 시도했다. 몇몇 최고 지도자들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에서 반인도적 범죄로 재판을 받고 유죄 판결을 받아 처형되었다. 당과 관련된 상징의 사용은 독일과 오스트리아를 포함한 많은 유럽 국가에서 여전히 불법이다.

이름

[편집]

독일 노동자당(DAP)이 국민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으로 개명된 것은 부분적으로 좌익과 우익 이념을 모두 활용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여기서 '사회주의자'와 '노동자'는 좌익에, '국가'와 '독일'은 우익에 호소하는 것이었다.[17] 당원들을 가리키는 비공식적이고 원래는 경멸적인 용어인 Nazi는 당명(Nationalsozialist)을 약칭한 것으로, 경쟁 정당인 독일 사회민주당 당원(사회민주주의자)을 약칭한 Sozi와 같이 유추하여 만들어졌다.[e][18] 당원들은 스스로를 Nationalsozialisten(국가사회주의자)라고 불렀지만, 일부는 때때로 구어체인 Nazi를 사용하기도 했다.(1934년 데어 앙그리프에 실린 레오폴트 폰 밀덴슈타인의 기사 시리즈 Ein Nazi fährt nach Palästina에서처럼). Parteigenosse (당원)라는 용어는 나치들 사이에서 흔히 사용되었으며, 그에 상응하는 여성형은 Parteigenossin이었다.[19]

당이 부상하기 전에는 이 용어들이 낙후된 농민이나 어색하고 서투른 사람을 지칭하는 구어체이자 경멸적인 단어로 사용되었다. 이는 나치당의 본거지인 바이에른주에서 흔한 이름이었던 이그나티오스의 줄임말인 이그나츠에서 유래했다. 반대자들은 이를 포착하여, 오랫동안 존재했던 Sozi와 함께 국가사회주의자들에게 경멸적인 별명을 붙였다.[20][21]

1933년 아돌프 히틀러가 독일 정부의 권력을 잡았을 때, 독일에서는 "나치"라는 용어의 사용이 줄어들었지만, 오스트리아의 반나치 인사들은 계속해서 그 용어를 사용했다.[18] "나치 독일"과 "나치 정권"이라는 용어는 외국에 있는 반나치 인사들과 독일 망명자들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그 후 이 용어는 다른 언어로 퍼져나갔고, 결국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에 다시 도입되었다.[21] 영어에서 이 용어는 속어로 간주되지 않으며, 나치즘(Nazism)과 탈나치화(Denazification)와 같은 파생어가 있다.

역사

[편집]

기원 및 초기: 1918년~1923년

[편집]

나치당은 제1차 세계 대전 말년에 형성된 민족주의적 성향의 소규모 정치 단체들에서 발전했다. 1918년 독일 브레멘에서 Freier Arbeiterausschuss für einen guten Frieden(좋은 평화를 위한 자유노동자위원회)라는 연맹이 설립되었다.[22] 1918년 3월 7일, 열렬한 독일 민족주의자였던 안톤 드렉슬러뮌헨에 이 연맹의 지부를 설립했다.[22] 드렉슬러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군국주의 독일 조국당의 일원이었던 지역 자물쇠공으로, 1918년 11월 휴전과 그 뒤를 이은 혁명적 격변에 격렬히 반대했다. 드렉슬러는 당시의 전투적인 민족주의자들의 견해를 따랐는데, 이는 베르사유 조약에 반대하고 반유대주의적, 반군주주의적, 반마르크스주의적 견해를 가지는 것이었다. 또한, 그들은 아리아 '주인 민족'(Herrenvolk)의 일부라고 주장하는 독일인들의 우월성을 믿었다. 그러나 그는 국제 자본주의가 유대인에 의해 지배되는 운동이라고 비난하고, 자본가들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전쟁 이득을 취했다고 비난하기도 했다.[23] 드렉슬러는 독일의 정치적 폭력과 불안정성이 바이마르 공화국이 대중, 특히 하층 계급과 동떨어져 있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23] 드렉슬러는 공산주의국제주의의 부상에 맞설 수 있는 대중적인 민족주의 지향 노동자 운동을 만들기 위해 [[민족운동 (독일)|völkisch 민족주의]]와 일종의 경제적 사회주의의 통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24] 이 모든 것은 자유군단과 같은 다양한 바이마르 공화국의 준군사조직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잘 알려진 주제였다.

나치당 배지 문장

드렉슬러의 운동은 일부 영향력 있는 인물들의 주목과 지지를 받았다. 부유한 언론인이자 후원자였던 디트리히 에카르트는 "국민사회주의" 개념의 저명한 지지자였던 군사 인물 펠릭스 그라프 폰 보트머를 초청하여 운동에 연설하게 했다.[25] 1918년 후반, 카를 하러 (언론인이자 툴레 협회 회원)는 드렉슬러와 몇몇 다른 사람들을 설득하여 정치노동자서클(Politischer Arbeiter-Zirkel)을 결성했다.[22] 회원들은 주기적으로 유대인에 대한 민족주의와 인종차별주의를 주제로 토론을 위해 만났다.[22] 1918년 12월, 드렉슬러는 그의 노동자위원회 지부와 정치노동자서클을 결합하여 자신이 지지하는 정치적 원칙에 기반한 새로운 정당을 창당해야 한다고 결정했다.[22][26]

1919년 1월 5일, 드렉슬러는 새 정당을 창당하고 "독일 사회주의 노동자당"이라고 명명할 것을 제안했지만, 하러가 "사회주의"라는 용어에 반대하여 이 용어는 삭제되었고 당은 독일 노동자당(Deutsche Arbeiterpartei, DAP)으로 명명되었다.[26] 잠재적인 중산층 지지자들의 우려를 완화하기 위해 드렉슬러는 마르크스주의자와 달리 당이 중산층을 지지하며, 그들의 사회주의 정책은 아리안 인종의 일부로 간주되는 독일 시민에게 사회 복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분명히 했다.[23] 그들은 독일에서 존재했던 많은 민족주의 운동 중 하나가 되었다. 다른 völkisch 단체들처럼, 독일 노동자당은 사회화 대신 이윤 분배를 통해 독일이 계급과 정당의 경계를 따라 분열된 사회가 아닌 통일된 "민족공동사회"(Volksgemeinschaft)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7] 이 이념은 명백히 반유대주의적이었다. 1920년 초부터 당은 Anti-Semit이라는 담배를 판매하여 자금을 모으고 있었다.[28]

처음부터 독일 노동자당은 비민족주의 정치 운동, 특히 좌익 운동, 즉 독일 사회민주당(SPD)과 독일 공산당에 반대했다. 독일 노동자당 회원들은 스스로를 "볼셰비즘"과 소위 "국제 유대인"의 일부이거나 돕는 자들과 싸우는 것으로 보았다. 독일 노동자당은 또한 베르사유 조약에 깊이 반대했다.[29] 독일 노동자당은 자신들을 대중에게 알리려 하지 않았고, 회의는 비교적 비밀리에 진행되었으며, 공개 연설자들은 독일의 현재 상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논의하거나 북부 독일의 같은 생각을 가진 사회에 편지를 썼다.[27]

NS독일 노동자당 회원 수첩

독일 노동자당는 60명 미만의 비교적 작은 단체였다.[27]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복적 경향을 보이는 어떤 조직이든 의심하는 독일 당국의 주목을 받았다. 1919년 7월, 뮌헨에 주둔하던 군의 게프라이터(상등병) 아돌프 히틀러바이에른주 육군 교육·선전부(Ib/P부) 책임자인 마이어 대위에 의해 독일 국가국방군(Reichswehr) 소속 정찰부대(Aufklärungskommando)의 연락장교(첩보 요원)로 임명되었다. 히틀러는 다른 병사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독일 노동자당에 침투하는 임무를 받았다.[30] 히틀러는 처음에는 회의에 감명받지 못하고 혼란스러워했지만, 진행되는 토론을 즐겼다.[31] 1919년 9월 12일 뮌헨의 슈테르네커브로이에서 열린 당 회의에 참석하던 중, 히틀러는 자본주의에 반대하는 고트프리트 페더의 주장이 타당한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바우만 교수라는 방문객과 격렬한 논쟁에 휘말렸다. 바우만은 바이에른이 프로이센에서 분리하여 오스트리아와 함께 새로운 남독일 국가를 세워야 한다고 제안했다. 히틀러는 그 남자의 주장을 맹렬히 공격하면서 그의 웅변술로 다른 당원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 히틀러에 따르면, "교수"는 명백한 패배를 인정하고 회의장을 떠났다.[32] 드렉슬러는 그에게 독일 노동자당에 가입할 것을 권유했다.[32] 육군 상부의 명령에 따라 히틀러는 당에 가입 신청을 했고[33] 일주일 안에 당원 번호 555로 가입이 허락되었다(당은 자신들이 훨씬 큰 정당이라는 인상을 주기 위해 회원 번호를 500부터 시작했다).[34][35] 당의 초기 회원 중에는 육군 제7사단 지구사령부의 에른스트 룀, 국가사회주의의 정신적 아버지로 불리는 디트리히 에카르트,[36] 당시 뮌헨 대학교 학생이었던 루돌프 헤스[37] 자유군단 병사 한스 프랑크, 그리고 종종 운동의 철학자로 평가되는 알프레트 로젠베르크가 있었다. 이들 모두는 나중에 나치 정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38]

히틀러는 나중에 자신이 일곱 번째 당원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사실 당 중앙위원회의 일곱 번째 집행위원이었으며[39] 나중에 황금당 휘장 번호 1을 착용했다. 안톤 드렉슬러는 1940년에 히틀러에게 편지를 썼지만 보내지지 않았는데, 이 편지는 히틀러의 나중 주장을 반박한다.

내 퓌러여, 그대 자신이 그대가 결코 당의 일곱 번째 당원이 아니라 기껏해야 위원회의 일곱 번째 위원이었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그리고 몇 년 전 나는 슈슬러와 내 서명이 있는 그대의 첫 정식 DAP 당원증이 위조되어 555번이 지워지고 7번이 기입되었다고 당 사무실에 항의해야 했다.[40]

히틀러는 처음에는 자기 당을 만들고 싶었지만, 독일 노동자당가 작아서 결국 자신이 지도자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 때문에 독일 노동자당에 가입하게 되었다고 말했다.[41] 그 결과 그는 조직이 이전에 그랬던 것처럼 토론 단체라기보다는 활동적인 정당이 되도록 독려했다.[42] 또, 보통 현역 군인은 정당에 가입할 수 없었다. 물론 그는 마이어 대위의 허락을 받아 독일 노동자당에 가입할 수 있었다. 더욱이 히틀러는 군에 남아 매주 20 금마르크의 급여를 받을 수 있었다.[43] 조직의 다른 많은 회원들과 달리, 이 안정된 수입은 그에게 독일 노동자당에 더 전념할 충분한 돈을 제공했다.[44]

히틀러의 첫 독일 노동자당 연설은 1919년 10월 16일 호프브로이켈러에서 열렸다. 그는 저녁의 두 번째 연사였고, 111명에게 연설했다.[45] 히틀러는 나중에 이때 자신이 정말로 "좋은 연설을 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선언했다.[27] 처음에는 히틀러가 비교적 작은 그룹에게만 연설했지만, 그의 상당한 웅변술과 선전 기술은 당 지도부에게 높이 평가되었다. 안톤 드렉슬러의 지원을 받아 히틀러는 1920년 초 당의 선전 책임자가 되었다.[46] 히틀러는 당을 더욱 공개적으로 만들었고, 1920년 2월 24일 뮌헨 국립 호프브로이하우스에서 2,000명이 참석하는 최대 규모의 집회를 조직했다. 이러한 홍보 활동의 중요성이 매우 커서 카를 하러는 이견을 표하며 당을 탈퇴했다.[47] 이 연설에서 히틀러는 드렉슬러, 페더, 그리고 자신이 작성한 독일 노동자당 선언문 25개조를 발표했다.[48] 이 조항들을 통해 그는 조직에 훨씬 더 대담한 전략을 제공했으며[46] 명확한 외교 정책(베르사유 조약 폐기, 대독일, 동부 확장 및 유대인의 시민권 배제)을 제시했다. 그의 구체적인 주장 중에는 전쟁 이득 몰수, 불로소득 폐지, 토지 수익의 국가 공유, 국가 필요에 따른 토지 몰수 보상 없음 등이 있었다.[49] 일반적으로 선언문은 반유대주의적, 반자본주의적, 반민주주의적, 반마르크스주의적, 그리고 반자유주의적이었다.[50] 더 많은 인구층에 대한 호소력을 높이기 위해, 1920년 2월 24일 히틀러의 호프브로이하우스 연설과 같은 날, 독일 노동자당는 당의 이름을 Nationalsozialistische Deutsche Arbeiterpartei(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또는 나치당)로 변경했다.[51][52][f] 이 이름은 "사회주의자"와 "노동자"가 좌익에, "국가"와 "독일"이 우익에 호소하여 좌익과 우익 이념을 모두 활용하려는 의도였다.[55] "사회주의자"라는 단어는 당 집행위원회(루돌프 융의 제안에 따라)가 히틀러의 초기 반대에도 불구하고 추가했다.[g] 이는 좌익 노동자들에게 호소하기 위함이었다.[57]

1920년, 나치당은 "순수 아리안 혈통"의 사람만이 당원이 될 수 있으며, 배우자가 있는 경우 배우자 또한 "인종적으로 순수한" 아리안이어야 한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당원은 소위 "비아리안"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될 수 없었다.[58] 1935년 뉘른베르크법에 의해 법적으로 금지되기 전부터 나치당은 당원과 유대인 간의 성관계 및 결혼을 금지했다.[59] 인종오염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당원은 심하게 박해를 받았다. 일부 당원은 심지어 사형을 선고받기도 했다.[60]

히틀러는 자기 발견 이후 첫 해에 31번이나 대중 연사로 나서며 빠르게 당의 가장 활발한 웅변가가 되었다.[61] 그의 연설을 듣기 위해 군중이 몰려들기 시작했다.[62] 히틀러는 항상 같은 주제, 즉 베르사유 조약과 유대인 문제에 대해 이야기했다.[50] 이러한 의도적인 기술과 당의 효과적인 홍보는 그의 초기 성공에 크게 기여했으며,[50] 당시 포스터에는 "히틀러 씨는 훌륭한 연사이므로, 우리는 매우 흥미진진한 저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라고 쓰여 있었다.[63] 다음 몇 달 동안 당은 계속해서 새로운 회원들을 유치했지만,[39] 독일 정치에서 어떤 실질적인 중요성을 가지기에는 여전히 너무 작았다.[64] 연말까지 당원 수는 2,000명으로 기록되었으며,[62] 이들 중 상당수는 히틀러와 룀이 직접 당에 데려오거나, 히틀러의 웅변술이 가입 이유가 되었다.[65]

독일 노동자당의 히틀러 회원 카드. 회원 번호(7)는 원래 번호에서 변경되었다.

히틀러의 웅변가로서의 재능과 신입 회원을 유치하는 능력은 그의 특유의 무자비함과 결합하여 곧 그를 지배적인 인물로 만들었다. 그러나 히틀러와 에카르트가 1921년 6월 베를린으로 모금 여행을 떠나 있는 동안 뮌헨 당 내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집행위원회 회원들은 경쟁 정당인 독일 사회주의당 과 합병하기를 원했다.[66] 7월 11일 뮌헨으로 돌아온 히틀러는 분노하여 사직서를 제출했다. 위원회 회원들은 그의 사직이 당의 종말을 의미할 것임을 깨달았다.[67] 히틀러는 드렉슬러를 대신하여 당 의장이 되고 당 본부를 뮌헨에 유지하는 조건으로 재가입하겠다고 발표했다.[68] 위원회는 동의했고, 그는 7월 26일 회원 번호 3,680번으로 당에 재가입했다. 히틀러는 나치당 내에서 계속해서 반대에 직면했는데, 그의 반대자들은 헤르만 에셔를 당에서 제명하고 히틀러를 당에 대한 배신자로 공격하는 팜플렛 3,000부를 인쇄했다.[68] 다음 며칠 동안 히틀러는 만원 관중 앞에서 여러 번 연설하며 자신과 에셔를 우레와 같은 박수 속에 옹호했다.[69]

히틀러의 전략은 성공을 거두었다. 1921년 7월 29일 특별 당대회에서 그는 533표  1표로 드렉슬러를 대신하여 당 의장이 되었다.[69] 위원회는 해산되었고, 히틀러는 당의 유일한 지도자로서 거의 절대적인 권력을 부여받았다.[69] 그는 남은 생애 동안 그 직위를 유지할 것이었다. 히틀러는 곧 퓌러("지도자")라는 칭호를 얻었으며, 일련의 격렬한 내부 갈등 끝에 당은 지도자원리에 따라 통치될 것이 합의되었다. 이 원칙에 따라 당은 히틀러를 정점으로 엄격하게 위에서 아래로 기능하는 고도로 중앙집권화된 조직이 되었다. 히틀러는 당을 혁명 조직으로 보았는데, 그 목표는 바이마르 공화국을 전복시키는 것이었다. 그는 이 공화국이 사회주의자, 유대인, 그리고 1918년에 '독일 군인들을 배신했다'고 주장된 사회 구성원들인 '11월 범죄자'들에게 장악되었다고 보았다. SA("돌격대" 또는 "갈색 셔츠단"으로도 알려짐)는 1921년에 당의 민병대로 창설되었으며, 다른 정당들을 향한 폭력적인 공격을 시작했다.

나의 투쟁 초판 표지

히틀러에게 당의 두 가지 목표는 항상 독일 민족주의적 팽창주의반유대주의였습니다. 독일의 외부 적들인 영국, 프랑스, 소련이 유대인에게 조종당하고 있으며, 독일의 미래 영토 확장 전쟁이 필연적으로 그들을 완전히 없애는 전쟁을 수반하리라는 그의 믿음이 이 두 목표를 하나로 합쳐졌다.[70] 히틀러와 그의 주요 부하들에게 있어, 민족적·인종적 문제는 항상 지배적인 것이었다. 이는 당의 상징으로서 하켄크로이츠를 채택한 것으로 상징되었다. 독일 민족주의자들 사이에서 하켄크로이츠는 "아리아 인종"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이는 기독교 십자가를 대체하여 국가사회주의 국가에 대한 충성을 상징했다.

나치당은 1921년과 1922년 동안 크게 성장했는데, 부분적으로는 히틀러의 웅변 기술 덕분이었고, 부분적으로는 SA가 실업 상태의 젊은이들에게 호소한 덕분이었으며, 부분적으로는 독일의 경제 문제가 심화되고 바이마르 정권의 약점이 명백해지면서 바이에른에서 사회주의 및 자유주의 정치에 대한 반발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당은 전직 제1차 세계 대전 군인들을 모집했는데, 히틀러는 훈장을 받은 최전선 참전 용사로서 특히 그들에게 호소할 수 있었고, 소규모 사업가들과 경쟁 정당의 불만을 품은 전직 회원들도 모집했다. 나치 집회는 종종 선술집에서 열렸는데, 거기서 가난한 사람들은 무료 맥주를 마실 수 있었다. 당원들의 자녀들을 위해 히틀러 청소년단이 결성되었다. 당은 또한 독일의 다른 지역에도 단체를 결성했다. 율리우스 슈트라이허뉘른베르크에서 초기에 모집된 인물로 인종차별주의 잡지 데어 슈튀르머의 편집자가 되었다. 1920년 12월, 나치당은 신문인 푈키셔 베오바흐터를 인수했고, 알프레트 로젠베르크가 편집자가 되었다. 이 무렵 당에 가입한 다른 인물로는 하인리히 힘러와 제1차 세계 대전 에이스 조종사 헤르만 괴링이 있었다.

이탈리아 파시즘 채택: 뮌헨 폭동

[편집]

1922년 10월 31일, 베니토 무솔리니의 지도 아래 비슷한 정책과 목표를 가진 국가 파시스트당이라는 파시스트 정당이 이탈리아에서 집권했다. 파시스트들은 나치와 마찬가지로 공산주의와 자유주의에 반대하고, 노동 계급에 호소하며, 베르사유 조약에 반대하고, 국가의 영토 확장을 주장하며 국가의 재탄생을 촉진했다. 히틀러는 무솔리니와 파시스트들에게 영감을 받아 나치당과 자신을 위해 그들의 프로그램 요소를 채택하기 시작했다.[71] 이탈리아 파시스트들은 또한 팔을 뻗는 로마식 경례를 사용하고 검은 셔츠 제복을 입었다. 이는 나중에 히틀러가 나치 경례로 차용한다.

파시스트들이 "로마 진군"이라는 쿠데타를 통해 이탈리아를 장악했을 때, 히틀러는 한 달도 채 안 되어 자신의 쿠데타를 계획하기 시작했다.[71] 1923년 1월, 독일이 배상금 지불 의무를 이행하지 못하자 프랑스는 루르 산업 지역을 점령했다. 이는 경제적 혼란, 빌헬름 쿠노 정부의 사임, 그리고 독일 공산당의 혁명 시도로 이어졌다. 이러한 사건들에 대한 반응은 민족주의 감정의 고조였다. 나치당원 수는 1923년 초 약 6,000명에서[72] 약 20,000명으로 급격히 증가했다.[73] 1923년 11월까지 히틀러는 뮌헨에서 권력을 장악하려 시도할 적기라고 판단했는데, 이는 독일 국가방위군(전후 독일군)이 베를린 정부에 반란을 일으켜 자신의 반란에 합류하기를 바랐기 때문이었다. 이 결정에는 전직 장군 에리히 루덴도르프의 영향이 있었는데, 그는 나치당의 지지자였지만 당원은 아니었다.[74]

뮌헨 뮌헨 폭동 당시 나치

11월 8일 밤, 나치당은 뮌헨의 한 선술집에서 애국 집회를 이용하여 쿠데타 시도를 감행했다. 이른바 뮌헨 폭동 시도는 지역 독일 국가방위군 지휘관들이 이를 지지하기를 거부하면서 거의 즉시 실패했다. 11월 9일 아침, 나치당은 뮌헨을 통해 약 2,000명의 지지자들을 동원하여 지지를 얻으려 시도했다. 양측은 총격을 교환했고, 그 결과 15명의 폭동 가담자, 4명의 경찰관, 그리고 한 명의 구경꾼이 사망했다.[75][76][77] 히틀러, 루덴도르프 등 여러 명이 체포되어 1924년 3월 반역죄로 재판을 받았다. 히틀러와 그의 동료들은 매우 가벼운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히틀러는 감옥에 있는 동안 그의 반자전적 정치 선언문인 나의 투쟁을 썼다.

나치당은 1923년 11월 9일 금지되었다. 그러나 민족주의 국민사회주의자유운동(Völkisch-Sozialer Block)의 지지를 받아 1924년부터 1925년까지 "독일당"(Deutsche Partei)이라는 이름으로 활동을 계속했다.[78] 나치당은 독일당에서 통합을 유지하지 못했는데, 북부에서는 우익 민족주의 나치 지지자들이 새로운 독일 국민자유당으로 이동했고, 북부의 좌익 나치 당원들, 예를 들어 요제프 괴벨스는 당에 대한 지지를 유지했다.[78]

권력 장악: 1925년~1933년

[편집]
아돌프 히틀러(서 있는 인물)가 1925년 2월 NSDAP 재창당 기념 연설을 하고 있다. 관중 시점에서 그의 오른편에는 그레고어 슈트라서와 하인리히 힘러가 있다. 왼편에는 프란츠 크사버 슈바르츠, 발터 부흐, 알프레트 로젠베르크가 있다. 히틀러 뒤 벽에는 국민사회주의 선전의 주요 유물인 블르트파네(피 깃발)가 걸려 있다.
1930년 뮌헨에서 나치당 당원들과 함께 있는 히틀러

바이에른 대법원에 의해 사면된 히틀러는 검찰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1924년 12월 20일 감옥에서 풀려났다.[79] 1925년 2월 16일, 히틀러는 바이에른 당국을 설득하여 나치당에 대한 금지령을 해제했고, 당은 1925년 2월 26일에 히틀러를 논쟁의 여지 없는 지도자로 하여 공식적으로 재창당되었다. 이때부터 히틀러는 자신을 "데어 퓌러"라고 부르기 시작했다.[80] 새로운 나치당은 더 이상 준군사 조직이 아니었으며, 무력으로 권력을 장악하려는 어떠한 의도도 부인했다. 어쨌든 경제 및 정치 상황은 안정되었고 1923년의 극단주의 물결은 사라졌으므로 더 이상의 혁명적 모험의 전망은 없었다. 대신 히틀러는 자신이 "합법성의 길"이라고 부르는 것을 통해 권력을 달성하기 위해 당의 전략을 변경할 의도였다.[81] 1925년의 나치당은 히틀러가 임명한 "지도부"(Korps der politischen Leiter)와 일반 당원 (Parteimitglieder)으로 나뉘었다. 당과 SA는 분리되었고 당 활동의 법적 측면이 강조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징후로 당은 여성 회원도 받기 시작했다. SA와 SS회원들 (후자는 1925년 히틀러의 경호원으로 창설되었으며 원래 Schutzkommando로 알려짐)은 모두 정식 당원이어야 했다.[82][83]

1920년대에 나치당은 바이에른 기반을 넘어 확장되었다. 이 시기에 당은 독일에서 유권자들이 무엇에 불만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조사를 시작했고, 이에 따라 나치 선전을 변경할 수 있었다.[84] 가톨릭 바이에른은 가톨릭 군주에 대한 우익 향수를 유지했으며, 베스트팔렌과 노동 계급 "붉은 베를린"은 제3제국 시대에도 나치당의 선거에서 항상 가장 약한 지역이었다. 나치당 지지세가 가장 강했던 지역은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메클렌부르크, 포메라니아, 동프로이센과 같은 시골 개신교 지역이었다. 튀링겐주와 같은 침체된 노동 계급 지역에서도 강력한 나치 표가 나왔지만, 루르함부르크의 노동자들은 주로 사회민주당, 독일 공산당 (1919년) 또는 가톨릭 중앙당에 충성을 유지했다. 뉘른베르크는 나치당의 강력한 거점이었으며, 첫 번째 뉘른베르크 전당대회는 1927년에 그곳에서 열렸다. 이 집회들은 곧 나치 준군사력의 대규모 시위가 되었고 많은 신입 당원들을 끌어모았다. 나치당의 가장 강력한 호소력은 1920년대 인플레이션으로 가장 큰 고통을 겪었고, 따라서 다른 무엇보다 볼셰비즘을 두려워했던 하층 중산층, 즉 농민, 공무원, 교사, 소규모 사업가들에게 있었다. 소규모 사업가 계층은 유대인 대기업을 경제 문제의 원인으로 비난했기 때문에 히틀러의 반유대주의에 수용적이었다. 1914-1918년 전쟁에 참전하기에는 너무 어렸던 것에 실망하고 나치당의 급진적 수사에 매료된 대학생들도 강력한 나치당 지지층이 되었다. 1929년까지 당원 수는 130,000명에 달했다.[85]

당의 명목상 부지도자는 루돌프 헤스였지만, 그는 당 내에서 실질적인 권한이 없었다. 1930년대 초반, 히틀러 이후 당의 고위 지도자들은 하인리히 힘러, 요제프 괴벨스, 헤르만 괴링이었다. 지도부 아래에는 당의 지역 지도자들인 대관구지휘자가 있었는데, 각자는 자신의 가우 ("지역") 내에서 당을 지휘했으며, 히틀러로부터 직접 명령을 받았다. 괴벨스는 1926년 베를린-브란덴부르크의 대관구지휘자로 당 위계에서 상승하기 시작했다. 슈트라이허는 프랑켄대관구지휘자였으며, 그곳에서 그의 반유대주의 신문 데어 슈튀르머를 발행했다. 대관구지휘자 아래에는 하위 관리들인 군구지휘자 ("카운티 지도자"), 세포지휘자 ("세포 지도자"), 그리고 가곽지휘자 ("블록 지도자")가 있었다. 이것은 명령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고 상사에 대한 맹목적인 충성이 주어지는 엄격하게 계층적인 구조였다. 오직 SA만이 어느 정도 자율성을 유지했다. 주로 실업 노동자로 구성된 SA 대원들은 나치당의 사회주의적 수사를 진지하게 받아들였다. 이때 나치 경례 (이탈리아 파시스트들에게서 차용한 것)와 "하일 히틀러!" 인사가 당 전체에 채택되었다.

파일:1930-election.jpg
1930년 에서 사용된 나치당 선거 포스터 (번역: "우리는 자유와 빵을 요구한다")

나치당은 1924년부터 국가의회(라이히스타크)와 주 의회(란트탁) 선거에 출마했지만, 처음에는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국가사회주의자유운동"은 1924년 12월 국가의회 선거에서 3%의 득표율을 기록했고, 1928년에는 2.6%로 떨어졌다. 주 선거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저조한 결과와 1920년대 후반 독일의 상대적인 정치적 안정과 번영에도 불구하고 나치당은 계속 성장했다. 이는 히틀러가 행정 능력이 없었기 때문에 당 조직을 비서실장 필리프 보울러, 당 재무담당 프란츠 크사버 슈바르츠 및 사업 관리자 막스 아만에게 맡겼기 때문이기도 하다. 당은 유능한 선전 책임자인 그레고어 슈트라서를 두었으며, 그는 1928년 1월에 전국 조직 지도자로 승진했다. 이들은 당에 효율적인 모집 및 조직 구조를 부여했다. 당의 성장은 독일 국가인민당 (DNVP)과 같은 경쟁 민족주의 단체들의 점진적인 소멸 덕분이기도 했다. 히틀러가 독일 민족주의자들의 인정받는 수장이 되면서 다른 단체들은 쇠퇴하거나 흡수되었다. 1920년대 후반, 당이 주류로 돌파하지 못하는 것을 보고 괴벨스는 다른 정치 운동들과 경쟁이 심한 대도시에 모든 선전을 집중하는 대신, 시골 지역에서 집회를 개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제안했다.[86]

이러한 강점에도 불구하고, 대공황과 그것이 독일에 미친 영향이 없었다면 나치당은 결코 집권하지 못했을 것이다. 1930년까지 독일 경제는 대량 실업과 광범위한 기업 파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사회민주당과 공산당은 격렬하게 분열되어 효과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없었다. 이는 나치당에게 기회를 제공했고, 유대인 금융가와 볼셰비키에게 위기의 책임을 돌리는 히틀러의 메시지는 유권자의 광범위한 부분에 울려 퍼졌다. 1930년 9월 국가의회 선거에서 나치당은 18%의 득표율을 얻어 사회민주당에 이어 국가의회에서 두 번째로 큰 정당이 되었다. 히틀러는 라디오와 항공기를 활용하여 매우 효과적인 선거 운동가임을 입증했다. 슈트라서의 해임과 괴벨스의 당 선전 책임자 임명은 주요 요인이었다. 슈트라서는 자신의 지위를 이용하여 국가사회주의의 좌익 버전을 홍보했지만, 괴벨스는 히틀러에게 전적으로 충성했으며, 오직 히틀러의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

1930년 선거는 전통적인 민족주의 정당인 DNVP와 DVP를 약화시켜 독일 정치 지형을 변화시켰고, 나치당을 신뢰를 잃은 사회민주당과 중앙당 (그 지도자인 하인리히 브뤼닝은 취약한 소수 정부를 이끌었다)에 대한 주요 대안으로 남겼다. 민주당들이 단일 전선을 형성하지 못하고, 공산당이 자발적으로 고립되었으며, 경제의 지속적인 쇠퇴가 모두 히틀러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 그는 이제 사실상 야당 지도자로 인식되었고, 나치당 금고에는 기부금이 쏟아졌다. 프리츠 티센과 같은 일부 주요 기업인들은 나치 지지자였으며 관대하게 기부했다.[87] 일부 월스트리트 인물들도 관련되어 있다고 주장되었지만, 다른 많은 사업가들은 나치당의 극단적인 민족주의적 경향에 회의적이었고 대신 전통적인 보수 정당을 지지하는 것을 선호했다.[88]

1930년, 튀링겐주 연립 정부 참여의 대가로 나치당은 주 내무장관과 교육부 장관직을 맡게 되었다. 1930년 1월 23일, 빌헬름 프리크가 이들 장관직에 임명되어 독일에서 장관급 직책을 처음으로 맡은 나치 당원이 되었다.

1932년 독일 NSDAP 기부 토큰, 프로이센 자유주 선거

1931년 나치당은 선거 기간 외에도 전국적으로 끊임없이 선거 운동을 벌이는 전략으로 변경했다.[89] 1931년부터 1932년까지 독일의 정치 위기는 심화되었다. 히틀러는 1932년 3월 현직 파울 폰 힌덴부르크에 맞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1차 투표에서 30%, 2차 투표에서 37%를 얻었지만, 힌덴부르크는 각각 49%와 53%를 얻었다. 이때쯤 SA는 40만 명의 회원을 보유했고, SPD 및 공산당 준군사 조직(이들 또한 서로 싸웠다)과의 시가전으로 일부 독일 도시들은 전투 지역으로 변했다. 역설적으로, 나치당이 이러한 혼란의 주요 선동자 중 하나였음에도 불구하고, 히틀러가 겁먹고 사기 저하된 중산층에게 호소한 부분은 법과 질서를 회복하겠다는 그의 약속이었다. 노골적인 반유대주의는 공식적인 나치 수사에서 축소되었지만, 결코 표면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 않았다. 독일인들은 주로 경제를 되살리고(불특정한 수단으로), 독일의 위대함을 회복하며 베르사유 조약을 뒤집고, 독일을 공산주의로부터 구하겠다는 히틀러의 약속 때문에 그에게 투표했다. 1932년 4월 24일, 프로이센 자유주 의회 선거에서 NSDAP는 36%의 득표율과 162석을 얻었다.

1932년 7월 20일, 프로이센 정부는 쿠데타인 프로이센슐라크에 의해 축출되었고, 며칠 후 1932년 7월 국가의회 선거에서 나치당은 다시 한번 크게 도약하여 37%를 얻고 의회에서 압도적인 차이로 최대 정당이 되었다. 더욱이 나치당과 공산당은 합쳐서 52%의 득표율과 과반수 의석을 얻었다. 두 정당 모두 기존 정치 체제에 반대했고 어떤 내각에도 참여하거나 지지하지 않았으므로, 다수 정부 구성은 불가능했다. 그 결과는 법령으로 통치하는 취약한 내각이었다. 코민테른의 지시에 따라 공산당은 사회민주당을 주적으로 간주하는 정책을 유지하며 그들을 "사회 파시스트"라고 불렀고, 이로 인해 나치당에 대한 반대가 분열되었다.[h] 나중에 사회민주당과 공산당 모두 서로에게 타협을 꺼려 히틀러의 권력 장악을 용이하게 했다고 비난했다.

프란츠 폰 파펜 총리는 이 교착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 11월에 또 다른 국가의회 선거를 소집했다. 선거 결과는 동일하여 나치당과 공산당이 합쳐서 50%의 득표율과 과반수 의석을 얻어 이 국가의회는 이전보다 더 기능할 수 없게 만들었다. 그러나 나치당에 대한 지지율은 33.1%로 하락하여 나치당의 상승세가 정점에 달했음을 시사했다. 이는 대공황의 최악의 시기가 지났기 때문이거나, 일부 중산층 유권자들이 7월에 항의의 의미로 히틀러를 지지했지만, 이제 그를 실제로 권력에 앉히는 전망에서 물러섰기 때문일 수 있다. 나치당은 이 결과를 자신들의 때가 지나기 전에 권력을 장악해야 한다는 경고로 해석했다. 다른 정당들이 연합했다면 이를 막을 수 있었겠지만, 그들의 근시안적인 태도는 단일 전선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파펜, 그의 후임자인 쿠르트 폰 슐라이허, 그리고 민족주의 언론 재벌 알프레트 후겐베르크는 12월과 1월을 정치적 음모를 꾸미는 데 보냈고, 결국 힌덴부르크 대통령에게 히틀러를 소수의 나치 장관들만 포함하는 내각의 수장인 국가수상으로 임명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설득했다. 이는 1933년 1월 30일에 이루어졌다.

집권 및 통합

[편집]
국가당대회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나치당 지도자 아돌프 히틀러와 SA 지도자 에른스트 룀, 1933년 8월

나의 투쟁에서 히틀러는 독일의 좌익 및 우익 정치를 모두 직접 공격했다.[i] 그러나 대다수의 학자들은 실제 나치즘극우 정치의 한 형태라고 본다.[91] 1934년 한 인터뷰에서 나치당이 반대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부르주아 우익"이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히틀러는 나치즘이 어떤 특정 계급만을 위한 것이 아니며 좌익도 우익도 선호하지 않지만, 양쪽 "진영"에서 "순수한" 요소를 보존한다고 답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부르주아 전통 진영에서 국가적 결단력을 취하고, 마르크스주의 도그마의 물질주의에서 살아있는 창조적 사회주의를 취한다."[92]

나치당이 1932년 선거에서 얻은 득표는 나치당을 바이마르 공화국 정부의 가장 큰 의회 세력으로 확립했다. 히틀러는 1933년 1월 30일 독일 총리로 임명되었다.

1933년 2월 27일의 국가의회 의사당 화재 사건은 히틀러에게 정치적 반대자들을 탄압할 구실을 주었다. 다음날 그는 국가의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을 설득하여 국가의회 의사당 화재 조례를 발령하게 했고, 이는 대부분의 시민 자유를 정지시켰다. NSDAP는 1933년 3월 5일 의회 선거에서 44%의 득표율을 얻었지만, 절대 다수를 확보하지는 못했다. 선거 후 수십만 명의 신규 당원들이 기회주의적인 이유로 당에 가입했는데, 대부분 공무원과 화이트칼라 노동자들이었다. 그들은 "3월의 희생자" (독일어: Märzgefallenen) 또는 "3월의 제비꽃" (독일어: Märzveilchen)이라는 별명을 얻었다.[93] 소위 "오래된 전사들" (alte Kämpfer)이 어느 정도 불신했던 너무 많은 비이념적 변절자들로부터 당을 보호하기 위해,[93] 당은 1933년 5월부터 1937년까지 유효했던 입당 동결 조치를 발표했다.[94]

3월 23일, 의회는 전권 위임법을 통과시켰는데, 이는 내각이 의회의 동의 없이 법률을 제정할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었다. 사실상 이는 히틀러에게 독재 권한을 주었다. 이제 사실상 절대적인 권력을 가진 나치당은 노동조합과 다른 정당들을 폐지하고 정치적 반대자들을 처음에는 무장 해제된 진지 (즉석 수용소)에, 그 다음에는 강제 수용소에 수감하면서 전체주의적 통제를 확립했다. 나치 독일이 수립되었지만, 독일 국가방위군은 여전히 중립을 유지했다. 독일 전역에 대한 나치당의 권력은 실질적이었지만 절대적이지는 않았다.

NSDAP 연방 선거 결과 (1924–1933)[95]
선거 득표수 의석 비고
번호 % +/– 번호 +/–
1924년 5월
(as 국가사회주의자유운동)
1,918,300 6.5 (6위)
32 / 472
히틀러 수감 중
1924년 12월
(as 국가사회주의자유운동)
907,300 3.0 (8위) 감소 3.5
14 / 493
감소 18 히틀러 석방
1928년 5월 810,100 2.6 (9위) 감소 0.4
12 / 491
감소 2
1930년 9월 6,409,600 18.3 (2위) 증가 15.7
107 / 577
증가 95 금융 위기 이후
1932년 7월 13,745,000 37.3 (1위) 증가 19.0
230 / 608
증가 123 히틀러가 대통령 후보로 나선 후
1932년 11월 11,737,000 33.1 (1위) 감소 4.2
196 / 584
감소 34  
1933년 3월 17,277,180 43.9 (1위) 증가 10.8
288 / 647
증가 92 히틀러가 독일 총리 재임 중

권력 장악 이후: 당과 국가의 통합

[편집]

나치당은 독일 정부와 사회의 모든 측면에 대한 통제를 행사하기 위해 동조화 정책 (조정) 캠페인을 시작했다. 1933년 6월과 7월 동안 모든 경쟁 정당들은 불법화되거나 스스로 해산되었고, 이후 1933년 7월 14일의 정당 형성 금지법은 나치당의 독점을 법적으로 확립했다. 1933년 12월 1일, 당과 국가 통합 보장법이 발효되었는데, 이는 당 구조와 국가 기구의 점진적인 통합의 기반이 되었다.[96] 이 법에 따라 실제로 당의 부서였던 SA는 준정부적 권한을 부여받았고, 그들의 참모장은 내각의 무임소장관이 되었다. 1934년 1월 30일 국가 재건법에 따라 연방주 (주)는 주권을 상실하고 제국 정부의 행정 구역으로 강등되었다. 효과적으로, 그들은 대부분의 권한을 원래 당의 지역 구분이었지만 해당 부문에서 주 행정의 대부분의 권한을 인수한 가우에 넘겨주었다.[97]

1934년 6월 30일부터 7월 2일까지의 장검의 밤 (일명 "장검의 밤") 동안 히틀러는 SA 지도부(대부분 NSDAP 내의 슈트라서주의 (국가 혁명) 파벌에 속했다)의 권한을 박탈하고 그들을 살해하도록 명령했다. 그는 그들이 쿠데타를 모의했다고 비난했지만, 이는 당내 반대 세력을 진압하기 위한 구실에 불과했다고 여겨진다. 숙청은 SS가 게슈타포와 국가방위군 부대의 도움을 받아 실행했다. 슈트라서주의 나치당원 외에도 전 수상 폰 슐라이허와 같은 반나치 보수 인사들도 살해당했다.[98] 이 사건 이후 SA는 계속 존재했지만 중요성을 크게 잃었고, SS의 역할은 상당히 커졌다. 원래 SA의 하위 조직에 불과했던 SS는 1934년 7월 NSDAP의 독립적인 조직이 되었다.[99]

1934년 8월 2일 힌덴부르크 대통령의 사망에 따라 히틀러는 독일국 국가원수법 통과를 통해 당 지도자, 국가원수, 정부수반의 직책을 통합하고 퓌러 겸 국가수상이라는 칭호를 취했다. 공식적으로 나치당 조직이었던 퓌러 관방은 대통령실(정부 기관)의 기능을 인수하여 당과 국가 구조 간의 구분을 더욱 모호하게 만들었다. SS는 경찰 기능을 점점 더 행사했으며, 이는 1936년 6월 17일 SS전국지도자와 독일 경찰청장의 직책이 통합되면서 공식적으로 문서화되었는데, 이 직책은 하인리히 힘러가 맡았으며 그의 권한은 히틀러로부터 직접 파생되었다.[100] 1931년 당내 정보 기관으로 설립된 SS전국지도자 보안국 (SD, 공식적으로 "SS전국지도자의 보안 서비스")은 사실상 나치 독일의 정보 기관이 되었다. 1939년에 국가보안본부 (RSHA) 산하에 편입되어 SD, 게슈타포 및 형사 경찰을 조율하며 국가 및 당 구조의 혼합 조직으로 기능했다.[101]

에 있는 아돌프 히틀러, 1938년
나치 독일 하의 국가의회 NSDAP 선거 및 국민투표 결과 (1933–1938)
선거 득표수 % 의석
1933년 11월 39,655,224 92.1
661 / 661
1936년 44,462,458 98.8
741 / 741
1938년 44,451,092 99.0
813 / 813

패배 및 해체

[편집]

공식적으로 나치 독일은 12년 동안 지속되었다. 항복 문서는 1945년 5월 8일 베를린에서 독일 최고 사령부 대표들이 서명했으며, 유럽에서 전쟁은 이때 끝났다.[102] 당은 1945년 10월 10일 연합국 관리 위원회에 의해 공식적으로 해체되었고, 이어서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에서 탈나치화 과정과 함께 주요 전쟁 범죄자들의 재판이 이어졌다.[103] 포츠담 협정의 일부는 독일 정치 생활의 재건 요구와 함께 나치당의 해체를 명시했다.[104] 또한, 나치 조직의 종결 및 청산을 규정한 관리위원회 법률 제2호는 52개의 다른 나치 관련 및 감독 조직의 해체를 명시하고 그들의 활동을 불법화했다.[105] 탈나치화는 독일에서 시행되었고 냉전이 시작될 때까지 계속되었다.[106][107]

1939년에서 1945년 사이, 나치당이 이끄는 정권은 부역 정부와 점령국에서 모집된 병력의 도움을 받아 최소 2천만 명의 사망에 책임이 있었으며,[108] 여기에는 (유럽 유대인 인구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550만에서 6백만 명의 유대인[11][109][110], 그리고 20만에서 150만 명의 롬인들이 포함된다.[111][112] 추정되는 총 사망자 수는 거의 2백만 명에 달하는 비유대인 폴란드인,[112] 3백만 명 이상의 소련군 포로,[113] 공산주의자, 기타 정치적 반대자, 동성애자, 신체 및 정신 장애인 살해를 포함한다.[114][115]

정치 프로그램

[편집]

국가사회주의 강령은 당의 정책들을 공식화한 것이었다. 25개 조항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25개조 계획" 또는 "25개조 강령"이라고도 불린다. 당이 아직 독일 노동자당이었던 1920년에 히틀러에 의해 그렇게 선포된 이후 해산될 때까지 약간의 변경이 있었지만, 공식적인 당 강령이었다.

당 구성

[편집]

지휘 구조

[편집]

최고 지도부

[편집]
1930년 바이마르에서 아돌프 히틀러루돌프 헤스

나치당의 최상위에는 당 의장("데어 퓌러")이 있었으며, 그는 절대적인 권력과 당에 대한 완전한 지휘권을 가졌다. 다른 모든 당 직책은 그의 직위에 종속되었고 그의 지시에 따라야 했다. 1934년 히틀러는 자체 하위 단위를 가진 퓌러 관방이라는 의장을 위한 별도의 기관을 설립했다.

퓌러 관방 아래에는 1933년 4월 21일부터 1941년 5월 10일까지 루돌프 헤스가 이끌었던 "퓌러 대리 참모부"가 있었고, 그 다음에는 마르틴 보어만이 이끌었던 "나치당 당관방" (당관방)이 있었다.

1945년 4월 30일 히틀러의 자살 이후 보어만은 당 장관으로 지명되었고, 이는 그에게 나치당 내 최고 지위를 부여했다.[116] 그러나 히틀러와 달리 보어만은 나치 독일 정부에 대한 지도자 역할을 갖지 못했다.[116] 수십 년 동안 그 운명이 알려지지 않았던 보어만은 1945년 5월 2일 소련군이 베를린을 점령할 무렵 도시를 탈출하려다 자살했다.[117][118] 그의 유해는 1972년에 처음 확인되었고, 1998년 DNA 검사를 통해 다시 확인되었다.[119][120]

전국지휘자

[편집]

퓌러에게 직접 보고하는 직책은 전국지휘자 (단수 및 복수형은 독일어에서 동일)로, 그 수는 점차 18명으로 늘어났다. 그들은 히틀러 내각에서 제국 장관들과 필적하는 권력과 영향력을 가졌다. 18명의 전국지휘자는 뮌헨의 소위 갈색집에 설립된 "나치당 전국 지도부" (Reichsleitung der NSDAP)를 구성했다. 대관구지휘자와 달리 전국지휘자는 개별 지리적 지역을 지휘하지 않고 특정 관심 분야를 담당했다.

나치당 사무실

[편집]

나치당은 다양한 정치 및 기타 문제를 다루는 여러 당 사무실을 가지고 있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되었다.

준군사 조직

[편집]
1932년 베를린의 SA. 1932년 말에는 약 2백만 명의 회원을 보유했다.

나치당 외에도 나치 목표를 "지원"하는 여러 준군사 조직이 존재했다. 이 준군사 조직의 모든 구성원은 먼저 정식 나치당원이 된 후 원하는 그룹에 입대해야 했다. 예외는 SS의 군사 부문으로 간주되는 무장친위대로,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당에 가입하지 않고도 입대할 수 있었다. 무장친위대의 외국인 자원병들도 나치당원이 될 필요는 없었지만, 많은 이들이 자신의 국가에서 동일한 목표를 가진 지역 민족주의 단체에 가입했다. 게슈타포 대원을 포함한 경찰관들은 행정상의 이유(즉 "계급 동등성")로 자주 SS 계급을 가졌으며, 마찬가지로 나치당원이 될 필요는 없었다.

다양한 준군사 조직을 위한 방대한 나치당 준군사 계급 체계가 개발되었다. 이는 당이 수백만 명의 가입 신청으로 넘쳐난 후 기존의 협회와 연맹을 흡수하는 동조화 정책 과정의 일부였다.[121]

주요 나치당 준군사 조직은 다음과 같다.

히틀러 청소년단은 성인 지도부와 14세에서 18세 소년들에게 개방된 일반 회원으로 나뉜 준군사 집단이었다. 독일소녀동맹은 소녀들을 위한 동등한 집단이었다.

관련 단체

[편집]

특정 명목상 독립 조직들은 자체적인 법적 대리인과 재산을 가지고 있었지만, 나치당의 지원을 받았다. 이들 관련 조직 중 상당수는 다양한 직업의 노동조합이었다. 일부는 1933년 집권 이후 동조화 정책에 따라 나치화된 오래된 조직이었다.

도이체 방크, 드레스드너방크, 코메르츠방크와 같은 국제적인 사업을 하는 대기업의 직원들은 대부분 당원이었다.[122] 모든 해외 독일 기업들도 자체적인 나치당 해외조직 연락 담당자를 두어야 했으며, 이는 당 지도부가 글로벌 기업 엘리트의 행동에 대한 최신 및 우수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했다.[123]

지역 행정

[편집]
1944년 나치당의 행정 단위

동조화 정책 과정의 중앙집권화를 위해 나치당은 엄격하게 계층화된 구조를 확립했으며, 이는 나중에 히틀러(퓌러 원리) 휘하에 모든 권력을 통합하기 위해 독일 전역에 적용되었다. 이 지역은 히틀러로부터 직접 명령을 받는 대관구지휘자가 이끄는 다수의 가우 (단수: 가우)로 세분되었다. 이 새로운 지방 구조의 명칭(원래 신성 로마 제국의 하위 지역을 의미하는 가우그라프가 이끌던 용어)은 의도적으로 중세적 함의 때문에 선택되었다. 이 용어는 영어의 와 대략적으로 동일하다.

나치당은 독일 자체 내에서 주 및 지역 정부의 명목상 존재를 유지했지만, 이 정책은 1937년 이후 획득한 영토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오스트리아와 같은 독일어권 지역에서도 주 및 지역 정부는 단순히 권한을 박탈당한 것이 아니라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안슐루스 이후 국가대관구라는 새로운 유형의 행정 단위가 도입되었다. 이들 지역에서 대관구지휘자제국대행자 (제국 총독) 직책도 겸하여 당과 국가 사무실의 영역을 공식적으로 결합했다. 이러한 유형의 지구 설립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과 도중 독일의 모든 추가 영토 합병에 대해 나중에 실행되었다. 심지어 이전 프로이센 영토조차도 1939년 폴란드 전역 이후 재탈환된 후 당시 독일에서 가장 큰 주였던 곳에 공식적으로 재통합되지 않았다.

가우국가대관구 (주 또는 지방)는 다시 (Kreise)으로 세분되었으며, 이는 군구지휘자가 이끌었고, 다시 세포 (Zellen)와 가곽 (Blöcke)으로 세분되어 각각 세포지휘자가곽지휘자가 이끌었다.

1928년 10월 1일에 가우 재편성이 시행되었다. 주어진 번호는 공식적인 순서 번호였다. 통계는 1941년 기준이며, 당시의 가우 조직을 기반으로 한다. 크기와 인구는 정확하지 않다. 예를 들어, 공식 당 통계에 따르면 가우 쿠르마르크/마르크 브란덴부르크가 독일 제국에서 가장 컸다.[124] 1941년까지 대독일에는 42개의 영토 가우가 있었다.[j] 이 중 10개는 국가대관구로 지정되었다. 7개는 오스트리아, 1개는 체코슬로바키아에서 합병된 주데텐란트, 그리고 2개는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나치 독일소련의 공동 폴란드 침공 이후 폴란드단치히 자유시에서 합병된 지역에 해당했다.[125] 개별 가우의 지도자들이 서로 협력하도록 하는 것은 때때로 어려웠는데, 그들 사이에 통제권을 위한 끊임없는 행정적, 재정적 다툼이 벌어졌기 때문이었다.[126]

아래 첫 번째 표는 1945년 해체되기 전 존재했던 가우의 조직 구조를 설명한다.[127] 이전 가우(명칭이 변경되었거나 분할 또는 다른 가우와 병합되어 해체된)에 대한 정보는 두 번째 표에 제공된다.[128]

나치당 가우

[편집]
Nr. 가우 본부 면적 (km2) 인구 (1941년) 대관구지휘자
01 바덴-엘자스 스트라스부르 23,350 2,502,023 로베르트 하인리히 바그너 1941년 3월 22일부터
02 바이로이트, 1942년 6월 2일 가우 바이에른 동방 변경주에서 개명 바이로이트 29,600 2,370,658 한스 솀 (1933–1935)
프리츠 바흐틀러 (1935–1945)
루트비히 루크데셸 1945년 4월 19일부터
03 베를린 베를린 884 4,338,756 요제프 괴벨스 1928년 10월 1일부터
04 단치히-서프로이센 단치히 26,057 2,287,394 알베르트 포르스터 1939년 10월 10일부터
05 뒤셀도르프 뒤셀도르프 2,672 2,261,909 프리드리히 카를 플로리안 1930년 8월 1일부터
06 에센 에센 2,825 1,921,326 요제프 테르보펜 1928년 8월 1일부터
07 프랑켄, 1933년 4월 21일 가우 미텔프랑켄에서 개명 뉘른베르크 7,618 1,077,216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1929–1940)
한스 침머만 (1940–1942)
카를 홀츠 1942년 3월 19일부터
08 할레-메르제부르크 할레안데어잘레 10,202 1,578,292 발터 에른스트 (1925–1926)
파울 힌클러 (1926–1931)
루돌프 요르단 (1931–1937)
요아힘 알브레히트 에게링 1937년 4월 20일부터
09 함부르크 함부르크 747 1,711,877 요제프 클란트 (1925–1926)
알베르트 크렙스 (1926–1928)
힌리히 로제 (1928–1929)
카를 카우프만 1929년 4월 15일부터
10 헤센-나사우 프랑크푸르트 15,030 3,117,266 야코프 슈프렝어 1933년 1월 1일부터
11 케른텐 클라겐푸르트 11,554 449,713 한스 마체나우어 (1926–1927)
후고 헤르초크 (1927–1933)
한스 폼 코텐 (1933)
후베르트 클라우스너 (1933–1936)
페터 파이트리처 (1936–1938)
후베르트 클라우스너 (1938–1939)
프란츠 쿠체라 (1939–1941)
프리드리히 라이너 1941년 11월 27일부터
12 쾰른-아헨 쾰른 8,162 2,432,095 요제프 그로헤 1931년 6월 1일부터
13 쿠어헤센, 1934년 가우 헤센-노르트에서 개명 카셀 9,200 971,887 발터 슐츠 (1925–1928)
카를 바인리히 (1928–1943)
카를 게르란트 1943년 11월 6일부터
14 마그데부르크-안할트, 1928년 10월 1일 가우 안할트-프로빈츠 작센 노르트에서 개명 데사우 13,910 1,820,416 구스타프 헤르만 슈미슈케 (1926–1927)
빌헬름 프리드리히 뢰퍼 (1927–1935) 1932년 8월부터 12월까지 파울 호프만으로 잠시 교체
요아힘 알브레히트 에게링 (1935–1937)
루돌프 요르단 1937년 4월 20일부터
15 마인프랑켄, 1935년 7월 30일 가우 운터프랑켄에서 개명 뷔르츠부르크 8,432 840,663 오토 헬무트 1928년 10월 1일부터
16 마르크 브란덴부르크, 1939년 1월 1일 가우 쿠어마르크에서 개명 베를린 38,278 3,007,933 빌헬름 쿠베 (1933–1936)
에밀 슈튀르츠 1936년 8월 7일부터
17 메클렌부르크, 1937년 4월 1일 가우 메클렌부르크-뤼베크에서 개명 슈베린 15,722 900,427 프리드리히 힐데브란트 1925년부터 헤르베르트 알브레히트 (1930년 7월 – 1931년 1월)로 잠시 교체
18 모젤란트 코블렌츠 11,876 1,367,354 구스타프 지몬 1941년 1월 24일부터
19 뮌헨-오버바이에른 뮌헨 16,411 1,938,447 아돌프 바그너 (1930–1944)
파울 기슬러 1944년 4월 12일부터
20 니더도나우, 1938년 5월 21일 가우 니더외스터라이히에서 개명 명목상 수도: 크렘스, 지구 본부: 23,502 1,697,676 레오폴트 에더 (1926–1927)
요제프 레오폴트 (1927–1938)
후고 유리 1938년 5월 21일부터
21 니더슐레지엔 브로츠와프 26,985 3,286,539 카를 항케 1941년 1월 27일부터
22 오버도나우, 1938년 5월 22일 가우 오버외스터라이히에서 개명 린츠 14,216 1,034,871 알프레트 프로크쉬 (1926–1927)
안드레아스 볼렉 (1927–1934)
루돌프 렝가우어 (1934–1935)
오스카르 힌터라이트너 (1935)
아우구스트 아이그루버 1938년 5월 22일부터
23 오버슐레지엔 카토비체 20,636 4,341,084 프리츠 브라흐트 1941년 1월 27일부터
24 오스트-하노버, 1928년 10월 1일 가우 뤼네부르크-슈타데에서 개명 부흐홀츠, 1937년 4월 1일 이후 뤼네부르크 18,006 1,060,509 오토 텔쇼 1925년 3월 27일부터
25 오스트프로이센 쾨니히스베르크 52,731 3,336,777 빌헬름 슈티히 (1925–1926)
브루노 구스타프 셰르비츠 (1926–1927)
한스 알베르트 혼펠트 (1927–1928)
에리히 코흐 1928년 10월 1일부터
26 포메른 슈체친 38,409 2,393,844 테오도어 발렌 (1925–1927)
발터 폰 코르스반트 (1927–1931)
빌헬름 카르펜슈타인 (1931–1934)
프란츠 슈베데-코부르크 1934년 7월 21일부터
27 작센 드레스덴 14,995 5,231,739 마르틴 무츠만 1925년 3월 27일부터
28 잘츠부르크 잘츠부르크 7,153 257,226 카를 샤리처 (1932–1934)
안톤 빈터슈타이거 (1934–1938)
프리드리히 라이너 (1938–1941)
구스타프 아돌프 셸 1941년 11월 27일부터
29 슐레스비히-홀슈타인 15,687 1,589,267 힌리히 로제 1925년 3월 27일부터
30 슈바벤 아우크스부르크 10,231 946,212 카를 발 1928년 10월 1일부터
31 슈타이어마르크 그라츠 17,384 1,116,407 발터 오버하이다허 (1928–1934)
게오르크 빌게리 (1934–1935)
제프 헬프리히 (1936–1938)
지그프리트 위베라이터 1938년 5월 25일부터
32 주데텐란트 (또한 주데텐가우로 알려짐) 라이헨베르크 22,608 2,943,187 콘라트 헨라인 1938년 10월 1일부터
33 남하노버-브라운슈바이크 하노버 14,553 2,136,961 베른하르트 루스트 (1928–1940)
하르트만 라우터바허 1940년 12월 8일부터
34 튀링겐 바이마르 15,763 2,446,182 아르투어 딘터 (1925–1927)
프리츠 자우켈 1927년 9월 30일부터
35 티롤-포어아를베르크 인스브루크 13,126 486,400 프란츠 호퍼 1938년 5월 25일부터
36 바르텔란트 (또한 바르테가우로 알려짐), 가우 포젠에서 1940년 1월 29일 개명 포젠 43,905 4,693,722 아르투어 카를 그라이저 1939년 10월 21일부터
37 베저-엠스 올덴부르크 15,044 1,839,302 카를 뢰버 (1928–1942)
파울 베게너 1942년 5월 26일부터
38 베스트팔렌-노르트 뮌스터 14,559 2,822,603 알프레트 마이어 1931년 1월 31일부터
39 베스트팔렌-쥐트 보훔 7,656 2,678,026 요제프 바그너 (1931–1941)
파울 기슬러 (1941–1943)
알베르트 호프만 1943년 1월 26일부터
40 베스트마르크 자르브뤼켄 14,713 1,892,240 요제프 뷔르켈 (1940–1944)
빌리 슈퇴르 1944년 9월 29일부터
41 1,216 1,929,976 발터 렌트마이스터 (1926–1928)
오이겐 베르코비치 (1928–1929)
로베르트 데르다 (1929)
알프레트 프라우엔펠트 (1930–1933)
레오폴트 타프스 (1937–1938)
오딜로 글로보치니크 (1938–1939)
요제프 뷔르켈 (1939–1940)
발두어 폰 시라흐 1940년 8월 8일부터
42 뷔르템베르크-호헨촐레른 슈투트가르트 20,657 2,974,373 오이겐 문더 (1925–1928)
빌헬름 무어 1928년 2월 1일부터
43 해외조직 (또한 NSDAP/AO로 알려짐) 베를린 한스 닐란트 (1932–1933)
에른스트 빌헬름 볼레 1934년 2월 17일부터

후기 가우:

1945년 이전에 해산된 가우

[편집]

번호는 공식적인 이전 순위에 기반하지 않고 단순히 알파벳순으로 나열되었다. 영토 변화 없이 단순히 이름만 변경된 가우는 "나중에 ~가 됨" 열에 RN으로 표시된다. 하나 이상의 가우로 분할된 가우는 "나중에 ~가 됨" 열에 D로 표시된다. 다른 가우(또는 점령 지역)와 합병된 가우는 "함께 ~와" 열에 M으로 표시된다.

Nr. 가우 존속 기간 나중에 ~가 됨 함께 ~와 대관구지휘자
01 안할트 1925–1926 안할트-프로빈츠 작센 노르트
(1926년 9월 1일)
마그데부르크 & 엘베-하펠 M 1925년 7월 17일부터 1926년 9월 1일까지 구스타프 헤르만 슈미슈케
02 안할트-프로빈츠 작센 노르트 1926–1928 마그데부르크-안할트
(1928년 10월 1일) RN
위 표 참조
03 바덴 1925–1941 바덴-엘자스
(1941년 3월 22일)
알자스 M 1925년 3월 25일부터 1941년 3월 22일까지 로베르트 하인리히 바그너
04 바이에른 동방 변경주 1933–1942 바이로이트
(1942년 6월 2일) RN
위 표 참조
05 베를린-브란덴부르크 1926–1928 베를린 &
브란덴부르크 (II)
(1928년 10월 1일) D
1926년 10월 26일부터 1928년 10월 1일까지 요제프 괴벨스
06 브란덴부르크 (I) 1925–1926 포츠담
(1926년 2월) RN
1925년 11월 5일부터 1926년 2월까지 발터 클라우니히
07 브란덴부르크 (II) 1928–1933 쿠어마르크
(1933년 3월 6일)
오스트마르크 M 1928년 10월 1일부터 1930년까지 에밀 홀츠, 이후 1930년 10월 18일부터 1933년 3월 16일까지 에른스트 슐랑게
08 부르겐란트 1935–1938 니더도나우 & 슈타이어마르크
(1938년 10월 1일) D
1935년 5월부터 1938년 10월 1일까지 토비아스 포르치
09 단치히 1926–1939 단치히-서프로이센
(1939년 10월 10일)
서프로이센 M 1926년 3월 11일부터 1928년 6월 20일까지 한스 알베르트 혼펠트, 이후 1928년 8월 20일부터 1929년 3월 1일까지 발터 마스, 이후 1929년 3월 1일부터 1930년 9월 30일까지 에리히 코흐, 이후 1930년 10월 15일부터 1939년 10월 10일까지 알베르트 포르스터
10 엘베-하펠 1925–1926 안할트-프로빈츠 작센 노르트
(1926년 9월 1일)
안할트 & 마그데부르크 M 1925년 11월 25일부터 1926년 9월 1일까지 알로이스 바흐슈미트
11 괴팅겐 1925 하노버-쥐트
(1925년 12월) RN
1925년 3월 27일부터 1925년 12월까지 루돌프 하제
12 그로스-베를린 1925–1926 베를린-브란덴부르크
(1926년 10월 26일)
포츠담 M 1925년 3월 27일부터 1926년 6월 20일까지 에른스트 슐랑게, 이후 1926년 6월 20일부터 1926년 10월 26일까지 에리히 슈미디케
13 그로스-뮌헨 ("전통 가우") 1929–1930 뮌헨-오버바이에른
(1930년 11월 15일)
오버바이에른 M 1929년 11월 1일부터 1930년 11월 15일까지 아돌프 바그너
14 하노버-브라운슈바이크 1925 하노버-노르트
(1925년 12월) RN
1925년 3월 22일부터 1925년 12월까지 베른하르트 루스트
15 하노버-노르트 1925–1928 쥐트-하노버-브라운슈바이크 &
베저 엠스
(1928년 10월 1일) D
1925년 12월부터 1928년 9월 30일까지 베른하르트 루스트
16 하노버-쥐트 1925–1928 쥐트-하노버-브라운슈바이크
(1928년 10월 1일)
하노버-노르트 M 1925년 12월부터 1928년 9월 30일까지 루돌프 하제
17 하르츠가우 1925–1926 마그데부르크
(1926년 4월) RN
1925년 8월부터 1926년 4월까지 루트비히 피어레크
18 헤센-다름슈타트 1927–1933 헤센-나사우
(1933년 1월 1일)
헤센-나사우-쥐트 M 1927년 3월 1일부터 1931년 1월 9일까지 프리드리히 링스하우젠, 이후 페터 게마인더 1931년 8월 30일까지, 이후 카를 렌츠 1932년 12월 15일까지
19 헤센-나사우-노르트 1925–1934 쿠어헤센
(1934년) RN
위 표 참조
20 헤센-나사우-쥐트 1925–1932 헤센-나사우
(1933년 1월 1일)
헤센-다름슈타트 M 1925년 4월 1일부터 1926년 9월 22일까지 안톤 하젤마이어, 이후 1926년 10월 1일부터 1927년 4월 1일까지 카를 린더, 이후 1927년 4월 1일부터 1933년 1월 1일까지 야코프 슈프렝어 (1932년 8월 – 1932년 12월 카를 린더로 잠시 교체)
21 코블렌츠-트리어 1931–1941 모젤란트
(1941년 1월 24일)
룩셈부르크 M 1931년 6월 1일부터 1941년 1월 24일까지 구스타프 지몬
22 쾰른 1925 라인란트-쥐트
(1925년 3월 27일) RN
1925년 2월 22일부터 1925년 3월 27일까지 하인리히 하케
23 쿠어마르크 1933–1939 마르크 브란덴부르크
(1939년 1월 1일) RN
위 표 참조
24 뤼네부르크-슈타데 1925–1928 오스트-하노버
(1928년 10월 1일) RN
위 표 참조
25 마그데부르크 1926 안할트-프로빈츠 작센 노르트
(1926년 9월 1일)
안할트 &
엘베-하펠 M
1926년 4월부터 1926년 9월 1일까지 루트비히 피어레크
26 메클렌부르크-뤼베크 1925– 1937 메클렌부르크
(1937년 4월 1일) RN
위 표 참조
27 미텔프랑켄 1929–1933 프랑켄
(1933년 4월 21일) RN
위 표 참조
28 미텔프랑켄-베스트 1928–1929 미텔프랑켄
(1929년 3월 1일)
뉘른베르크-퓌르트-에를랑겐 M 1928년 10월 1일부터 1929년 3월 1일까지 빌헬름 그림
29 니더바이에른 (I) 1925–1926 니더바이에른-오버팔츠 (I)
(1926년 12월)
오버팔츠 (I) M 1925년 2월부터 1926년 12월까지 그레고어 슈트라서
30 니더바이에른 (II) 1928–1932 니더바이에른-오버팔츠 (II)
(1932년 4월 1일)
오버팔츠 (II) M 1928년 10월 1일부터 1929년 3월 1일까지 그레고어 슈트라서, 이후 1929년 3월 1일부터 1932년 4월 1일까지 오토 에르버스도블러, 이후 1932년 4월 1일부터 1932년 8월 17일까지 프란츠 마이어호퍼
31 니더바이에른-오버팔츠 (I) 1926–1928 오버팔츠 (II) & 니더바이에른 (II)
(1928년 10월 1일) D
1926년 12월부터 1928년 10월 1일까지 그레고어 슈트라서
32 니더바이에른-오버팔츠 (II) 1932–1933 바이에른 동방 변경주
(1933년 1월 19일)
오버프랑켄 M 1932년 8월 17일부터 1933년 1월 13일까지 프란츠 마이어호퍼
33 니더외스터라이히 1926–1938 니더도나우
(1938년 5월 21일) RN
위 표 참조
34 노르트바이에른 1925–1928 미텔프랑켄-베스트,
뉘른베르크-퓌르트, 오버프랑켄 & 운터프랑켄
(1928년 10월 1일) D
1925년 4월 2일부터 1928년 10월 1일까지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35 뉘른베르크-퓌르트-에를랑겐 1925–1929 미텔프랑켄
(1929년 3월 1일)
미텔프랑켄-베스트 M 1925년 4월 2일부터 1929년 3월 1일까지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36 오버바이에른 1928–1930 뮌헨-오버바이에른
(1930년 11월 15일)
그로스-뮌헨 M 1928년 10월 1일부터 1930년 11월 1일까지 프리츠 라인하르트
37 오버바이에른-슈바벤 1926–1928 오버바이에른 & 슈바벤
(1928년 10월 1일) D
1926년 9월 16일부터 1927년 5월까지 헤르만 에셔, 이후 1928년 6월 1일부터 1928년 10월 1일까지 프리츠 라인하르트
38 오버프랑켄 1929–1933 바이에른 동방 변경주
(1933년 1월 19일)
니더바이에른-오버팔츠 (II) M 1929년 3월 1일부터 1933년 1월 19일까지 한스 솀
39 오버외스터라이히 1926–1938 오버도나우
(1938년 5월 22일) RN
위 표 참조
40 오버팔츠 (I) 1925–1926 니더바이에른-오버팔츠 (I)
(1926년 12월)
니더바이에른 (I) M 알 수 없음
41 오버팔츠 (II) 1928–1932 니더바이에른-오버팔츠 (II)
(1932년 8월 17일)
니더바이에른 (II) M 1928년 10월 1일부터 1929년 11월 1일까지 아돌프 바그너, 이후 1929년 11월 1일부터 1930년 6월까지 프란츠 마이어호퍼, 이후 1930년 6월부터 1930년 11월까지 에드문트 하이네스, 이후 1930년 11월 15일부터 1932년 8월 17일까지 프란츠 마이어호퍼
42 오스트마르크 1928–1933 쿠어마르크
(1933년 3월 6일)
브란덴부르크 (II) M 1928년 1월 2일부터 1933년 3월 6일까지 빌헬름 쿠베
43 오스트작센 1925–1926 작센
( 1926년 5월 16일)
작센 M 1925년 5월 22일부터 1926년 5월 16일까지 안톤 고스
44 팔츠-자르 1935–1936 자르팔츠
(1936년 1월 13일) RN
1935년 3월 1일부터 1936년 1월 13일까지 요제프 뷔르켈
45 포젠 1939–1940 바르텔란트
(1940년 1월 29일) RN
위 표 참조
46 포츠담 1926 베를린-브란덴부르크
(1926년 10월 26일)
그로스-베를린 M 1926년 2월부터 6월까지 발터 클라우니히
47 라인란트 1926–1931 쾰른-아헨 &
코블렌츠-트리어
(1931년 6월 1일) D
1926년 7월부터 1931년 6월 1일까지 로베르트 라이
48 라인란트-노르트 1925–1926 루르
(1926년 3월 7일)
베스트팔렌 (I) M 1925년 3월부터 1925년 7월까지 악셀 립케, 이후 1925년 7월부터 1926년 3월 7일까지 카를 카우프만
49 라인란트-쥐트 1925–1926 라인란트
(1926년 7월) RN
1925년 3월 27일부터 1925년 6월 1일까지 하인리히 하케, 이후 1925년 7월부터 1926년 7월까지 로베르트 라이
50 라인팔츠 1925–1935 팔츠-자르
(1935년 3월 1일)
자르 M 1925년 2월부터 1926년 3월 13일까지 프리드리히 밤스강스, 이후 1926년 2월부터 1935년 3월 1일까지 요제프 뷔르켈
51 라인-루르 1926 루르
(1926년 7월) RN
1926년 3월 7일부터 1926년 6월 20일까지 카를 카우프만
52 루르
("그로스-루르 가우")
1926–1928 뒤셀도르프,
에센 &
베스트팔렌 (II)
(1928년 10월 1일) D
1926년 6월 20일부터 1928년 10월 1일까지 카를 카우프만
53 자르 1926–1935 팔츠-자르
(1935년 3월 1일)
라인팔츠 M 1926년 5월 30일부터 1926년 12월 8일까지 발터 융, 이후 1926년 12월 8일부터 1929년 4월 21일까지 야코프 융, 이후 1929년 4월 21일부터 1929년 7월 30일까지 구스타프 슈태베 (대행), 이후 1929년 7월 30일부터 1931년 9월 1일까지 아돌프 에레케, 이후 1931년 9월 15일부터 1933년 5월 6일까지 카를 브뤼크, 이후 1933년 5월 6일부터 1935년 3월 1일까지 요제프 뷔르켈
54 자르팔츠 1936–1940 베스트마르크
(1940년 12월 7일)
로렌 M 1936년 1월 13일부터 1940년 12월 7일까지 요제프 뷔르켈
55 슐레지엔 1935–1941 니더슐레지엔 &
오버슐레지엔
(1941년 1월 27일) D
1925년 3월 15일부터 1934년 12월 4일까지 헬무트 브뤼크너, 이후 1934년 12월 12일부터 1941년 1월 9일까지 요제프 바그너
56 티롤 1932–1938 티롤-포어아를베르크
(1938년 5월 22일)
포어아를베르크 M 1932년 11월 1일부터 1934년 7월까지 프란츠 호퍼, 이후 1934년 7월 28일부터 1935년 2월 1일까지 프리드리히 플라트너, 이후 1935년 8월 15일부터 1938년 3월 11일까지 에드문트 크리스토프
57 운터프랑켄 1928–1935 마인프랑켄
(1935년 7월 30일) RN
위 표 참조
58 포어아를베르크 1932–1938 티롤-포어아를베르크
(1938년 5월 22일)
티롤 M 1938년 3월 12일부터 1938년 5월 22일까지 안톤 플랑켄슈타이너
59 베스트팔렌 (I) 1925–1926 루르
(1926년 3월 7일)
라인란트-노르트 M 1925년 3월 27일부터 1926년 3월 7일까지 프란츠 페퍼 폰 잘로몬
60 베스트팔렌 (II) 1928–1931 베스트팔렌-노르트 &
베스트팔렌-쥐트
(1931년 1월 1일) D
1928년 10월 1일부터 1931년 1월 1일까지 요제프 바그너
61 베스트가우 1928–1932 잘츠부르크,
티롤 &
포어아를베르크
(1932년 7월 1일) D
1928년 10월 1일부터 1931년까지 하인리히 주스케, 이후 1931년부터 1932년 7월 1일까지 루돌프 리델

해외 관련 단체

[편집]

스위스 가우

[편집]

나치당 스위스 지부 또한 스위스에 여러 당 가우를 설립했으며, 대부분 지역 수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들은 가우 바젤-졸로투른, 가우 샤프하우젠, 가우 루체른, 가우 베른가우 취리히를 포함했다.[129][130][131] 오스트슈바이츠 가우 (동스위스)는 장크트갈렌, 투르가우, 아펜첼 세 칸톤의 영토를 결합했다.[132]

당원

[편집]

일반 당원

[편집]

나치당의 일반 당원은 주로 도시와 농촌의 하위 중산층으로 구성되었다. 7%는 상류층에 속했고, 7%는 농민이었으며, 35%는 산업 노동자였고 51%는 중산층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1933년 초, 히틀러가 총리직에 임명되기 직전, 당은 "노동자"의 과소 대표성을 보였는데, 이들은 당원의 30%를 차지했지만 독일 사회 전체에서는 46%를 차지했다. 반대로 화이트칼라 직원(회원의 19%, 독일인의 12%), 자영업자(회원의 20%, 독일인의 10%), 공무원(회원의 15%, 독일 인구의 5%)은 일반 인구 비율보다 높은 비율로 가입했다.[133] 이 당원들은 전국에 1,378개 지부를 가진 당의 지역 지부에 소속되어 있었다. 1932년에는 그 수가 11,845개로 늘어났는데, 이는 이 시기 당의 성장을 반영하는 것이었다.[133]

1933년 집권 당시 나치당에는 200만 명 이상의 회원이 있었다. 1939년에는 회원 수가 530만 명으로 늘어났으며, 81%가 남성이고 19%가 여성이었다. 이후에도 계속해서 더 많은 회원을 유치하여 1945년에는 회원 수가 800만 명으로 정점에 달했으며, 63%가 남성이고 37%가 여성이었다 (독일 인구 8천만 명의 약 10%).[134][135]

군대 당원

[편집]

군사적 야망을 가진 나치 당원들은 무장친위대에 가입하도록 권장되었지만, 상당수의 인원이 독일 국방군에 입대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된 후 더 많은 인원이 징집되었다. 초기 규정은 모든 독일 국방군 구성원이 비정치적이어야 하며 1930년대에 가입하는 모든 나치 당원은 나치당에서 탈퇴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러나 이 규정은 곧 폐지되었고,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에는 정식 나치당원들이 독일 국방군에서 복무했다. 독일 국방군 예비군에도 많은 고위 나치 당원들이 입대했는데,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프리츠 토트루프트바페에, 카를 항케는 육군에서 복무했다.

영국 역사가 리처드 J. 에반스는 육군 하급 장교들이 특히 열렬한 민족사회주의자들이었으며 1941년까지 그들 중 3분의 1이 나치당에 가입했다고 썼다. 하급 지도자들의 작업을 강화한 것은 소련에 대한 "전멸 전쟁"을 위해 군인들을 세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창설된 민족사회주의 지도부 지도 장교들이었다.[136] 고위 장교들 중에는 1941년까지 29%가 NSDAP 당원이었다.[137]

학생 회원

[편집]

1926년, 당은 학생들을 참여시키기 위한 특별 부서인 민족사회주의 독일 학생동맹 (NSDStB)을 결성했다. 대학 강사를 위한 단체인 민족사회주의 독일 대학 강사 연맹 (NSDDB)도 1944년 7월까지 존재했다.

여성 회원

[편집]

민족사회주의여성동맹은 당의 여성 조직이었으며 1938년까지 약 200만 명의 회원을 보유했다.

독일 외 지역 회원

[편집]

독일 외부에 거주하는 당원들은 해외조직 (NSDAP/AO, "해외 조직")으로 모였다. 이 조직은 소위 "제국 독일인" (독일 제국 시민)에게만 제한되었으며, 독일 시민권이 없는 "민족독일인" (Volksdeutsche)은 가입이 허용되지 않았다.

베네시 법령 제16/1945호에 따르면, 체코슬로바키아 시민의 경우 나치당 가입은 5년에서 20년의 징역형에 처해졌다.

도이체 게마인샤프트

[편집]

도이체 게마인샤프트는 1919년에 설립된 나치당의 지부로, 민족독일인 지위를 가진 독일인들을 위해 만들어졌다.[138] 1949년에 설립된 전후 우익 Deutsche Gemeinschaft(독일어판)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주요 회원으로는 다음이 있었다.[139]

당의 상징

[편집]
  • 나치 깃발: 나치당은 오른쪽을 향한 만자문을 상징으로 사용했으며, 빨간색과 검은색은 피와 땅 ("Blut und Boden")을 상징한다고 했다. 깃발에 대한 또 다른 정의는 색상이 국가사회주의 이념을 나타내고, 만자문은 아리안 인종과 운동의 아리안 민족주의 의제를 나타내며, 흰색은 아리안 인종 순수성을, 빨간색은 운동의 사회주의 의제를 나타낸다고 설명한다. 검정, 하양, 빨강은 사실 오토 폰 비스마르크가 프로이센의 검정, 하양 색상과 북독일 국가들이 사용한 빨간색을 기반으로 만든 옛 북독일 연방 깃발의 색상이었다. 1871년 독일 제국의 건국과 함께 북독일 연방의 깃발은 독일의 라이히스플라게 ("제국 깃발")가 되었다. 검정, 하양, 빨강은 이후 역사(예: 제1차 세계 대전바이마르 공화국)를 통해 민족주의자들의 색상이 되었다.
가운데 만자문 원반이 있는 당 깃발 디자인은 1920년부터 당 깃발로 사용되었다. 나치당이 집권한 1933년부터 1935년까지는 국기 (Nationalflagge) 및 상선기 (Handelsflagge)로 사용되었지만, 검정-하양-빨강 가로 삼색기와 번갈아 사용되었다. 1935년에는 검정-하양-빨강 가로 삼색기가 폐지되고 (다시) 중앙에서 벗어난 만자문과 원반이 있는 깃발이 국기로 제정되었으며, 1945년까지 유지되었다. 중앙 원반이 있는 깃발은 1935년 이후에도 계속 사용되었지만, 오직 당 깃발, 즉 당의 깃발로만 사용되었다.
  • 독일 독수리: 나치당은 전통적인 독일 독수리를 사용했는데, 이는 떡갈나무 잎 화환 안에 있는 만자문 위에 서 있었다. "철 독수리"라고도 불린다. 독수리가 왼쪽 어깨를 바라볼 때는 나치당을 상징하며 파르타이아들러라고 불렀다. 대조적으로, 독수리가 오른쪽 어깨를 바라볼 때는 국가 (제국)를 상징하며, 따라서 국가수리라고 불렀다. 나치당이 독일에서 국가 권력을 잡은 후, 그들은 전통적인 독일 독수리 버전을 변형된 당 상징으로 전국 및 모든 기관에 대체했다.

계급 및 계급장

[편집]
1: 안베르터 (당원 아님), 2: 안베르터, 3: 헬퍼, 4: 오버헬퍼, 5: 아르바이트라이터, 6: 오버아르바이트라이터, 7: 하우프트아르바이트라이터, 8: 베라이트샤프츠라이터, 9: 오버베라이트샤프츠라이터, 10: 하우프트베라이트샤프츠라이터
11: 아인자츠라이터, 12: 오버아인자츠라이터, 13: 하우프트아인자츠라이터, 14: 게마인샤프츠라이터, 15: 오버게마인샤프츠라이터, 16: 하우프트게마인샤프츠라이터, 17: 압슈니츠라이터, 18: 오버압슈니츠라이터, 19: 하우프트압슈니츠라이터
20: 베라이히스라이터, 21: 오버베라이히스라이터, 22: 하우프트베라이히스라이터, 23: 딘스트라이터, 24: 오버딘스트라이터, 25: 하우프트딘스트라이터, 26: 베페흘스라이터, 27: 오버베페흘스라이터, 28: 하우프트베페흘스라이터, 29: 대관구지휘자, 30: 전국지휘자

슬로건 및 노래

[편집]

선거 결과

[편집]

독일 국가의회

[편집]
선거 연도 득표수 % 획득 의석 +/– 비고
1928년 810,127 2.6
12 / 491
증가 12
1930년 6,379,672 18.3
107 / 577
증가 95
1932년 7월 13,745,680 37.3
230 / 608
증가 123
1932년 11월 11,737,021 33.1
196 / 584
감소 34 마지막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
1933년 3월 17,277,180 43.9
288 / 647
증가 92 준자유롭지만 의심스러운 선거.
마지막 다당 경쟁 선거.
1933년 11월 39,655,224 92.1
661 / 661
증가 373 유일한 합법 정당.
1936년 44,462,458 98.8
741 / 741
증가 80 유일한 합법 정당.
1938년 44,451,092 99.0
813 / 813
증가 72 유일한 합법 정당.

대통령 선거

[편집]
선거 연도 후보자 1차 투표 2차 투표
득표수 % 순위 득표수 % 순위
1925년 루덴도르프 (1.1%) 지지 힌덴부르크 (48.3%) 지지
1932년 아돌프 히틀러 11,339,446 30.1 2위 13,418,547 36.8 2위

단치히 민족의회

[편집]
선거 연도 득표수 % 획득 의석 +/–
1927년 1,483 0.8
1 / 72
증가 1
1930년 32,457 16.4
12 / 72
증가 11
1933년 107,331 50.1
38 / 72
증가 26
1935년 139,423 59.3
43 / 72
증가 5

같이 보기

[편집]

내용주

[편집]
  1. 또는 민족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2. 발음 de
  3. 문화어: 도이췰란드 민족사회주의 로동자당
  4. 영어: /ˈnɑːtsi, ˈnætsi/ 틀:Respell[2]
  5. 또는 Sozialdemokrat (de, "사회민주주의자")
  6. 일부 자료는 개명이 1920년 4월 1일에 이루어졌다고 한다.[53][54]
  7. 히틀러가 원래 제안했던 이름은 사회 혁명당 (독일어: Sozialrevolutionäre Partei)이었다.[56]
  8. "사회 민주주의는 객관적으로 파시즘의 온건한 날개이다. ... 이들 조직(즉 파시즘과 사회 민주주의)은 반대편이 아니라 쌍둥이다." (J.V. 스탈린: 국제 정세에 대하여 (1924년 9월), Works, Volume 6, 1953; p. 294.) 이는 나중에 오토 빌레 쿠시넨이 "파시스트와 사회 파시스트의 목표는 같다."고 결론을 내리게 했다. (ECCI 제10차 총회 보고서, International Press Correspondence, Volume 9, no. 40, (1929년 8월 20일), p. 848.)
  9. 히틀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오늘날 우리의 좌익 정치인들은 특히 독일의 무장 해제가 그들의 겁쟁이 같고 비굴한 외교 정책의 필연적인 결과라고 끊임없이 주장하지만, 진실은 이것이 반역자들의 정책이라는 것이다 [...] 그러나 우익 정치인들도 똑같이 비난받아 마땅하다. 그들의 비참한 겁쟁이 덕분에 1918년에 권력을 잡은 유대인 폭력배들이 국가의 무장을 강탈할 수 있었다."[90]
  10. 43번째 가우인 해외조직은 비영토적이었다.

각주

[편집]
  1. McNab, Chris (2011). Hitler's Master Plan, Amber Books Ltd. pp 22, 23. ISBN 1-907446-96-6
  2. Jones 2003.
  3. Grant 2004, 30–34, 44쪽.
  4. Mitchell 2008, 47쪽.
  5. Ray, Michael. “Were the Nazis Socialists?”.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6. McDonough 2003, 64쪽.
  7. “The Nazi Party”.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영어). 2023년 1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0월 20일에 확인함. 
  8. Majer 2013, 39쪽.
  9. Wildt 2012, 96–97쪽.
  10. Gigliotti & Lang 2005, 14쪽.
  11. Evans 2008, 318쪽.
  12. Arendt 1951, 306쪽.
  13. Curtis 1979, 36쪽.
  14. Burch 1964, 58쪽.
  15. Maier 2004, 32쪽.
  16. Elzer 2003, 602쪽.
  17. Childers 2001a, 26:00–31:04.
  18. Mautner 1944, 93–100쪽.
  19. Hitler 1936, 10쪽.
  20. Harper n.d.
  21. Rabinbach & Gilman 2013, 4쪽.
  22. Kershaw 2008, 82쪽.
  23. Spector 2004, 137쪽.
  24. Griffen 1995, 105쪽.
  25. Abel 2012, 55쪽.
  26. Carlsten 1982, 91쪽.
  27. Fest 1979, 37–38쪽.
  28. van der Vat 1997, 30쪽.
  29. Shirer 1991, 33쪽.
  30. Kershaw 2008, 71–82쪽.
  31. Childers 2001a, 23:00–24:30.
  32. Kershaw 2008, 75쪽.
  33. Evans 2003, 170쪽.
  34. Kershaw 2008, 75, 76쪽.
  35. Mitcham 1996, 67쪽.
  36. Blamires 2006, 185쪽.
  37. Shirer 1991, 43쪽.
  38. Jaman 1956, 88쪽.
  39. Rees 2006, 23쪽.
  40. Kershaw 1998, 127쪽.
  41. Kershaw 1998, 126쪽.
  42. Childers 2001a, 15:00–25:00.
  43. Kershaw 2008, 76쪽.
  44. Childers 2001a, 24:00–25:00.
  45. Kershaw 1998, 140쪽.
  46. Jaman 1956, 89쪽.
  47. Shirer 1991, 36쪽.
  48. Shirer 1991, 37쪽.
  49. Johnson 1984, 133쪽.
  50. Fest 1979, 42쪽.
  51. Kershaw 2008, 87쪽.
  52. Zentner & Bedürftig 1997, 629쪽.
  53. Carruthers 2015, ?쪽.
  54. Lepage 2009, 9쪽.
  55. Childers, Thomas (2001). 〈The Weimar Republic and the Rise of the Nazi Party〉. 《A History of Hitler's Empire, 2nd Edition》. 제3 회 (영어). 더 그레이트 코스. 26:00–31:04에 발생. 2023년 3월 27일에 확인함. 
  56. 콘라드 하이덴, "Les débuts du national-socialisme", Revue d'Allemagne, VII, No. 71 (Sept. 15, 1933), p. 821.
  57. Mitcham 1996, 68쪽.
  58. Ehrenreich 2007, 58쪽.
  59. Weikart 2009, 142쪽.
  60. Gordon 1984, 265쪽.
  61. Fest 1979, 39쪽.
  62. Kershaw 2008, 89쪽.
  63. Franz-Willing 2001, ?쪽.
  64. Shirer 1991, 38쪽.
  65. Fest 1979, 40쪽.
  66. Kershaw 2008, 100, 101쪽.
  67. Kershaw 2008, 102쪽.
  68. Kershaw 2008, 103쪽.
  69. Kershaw 2008, 83, 103쪽.
  70. Hakim 1995, ?쪽.
  71. Kershaw 2000, 182쪽.
  72. Childers 2001a, 29:00–30:00.
  73. Kershaw 2008, 110쪽.
  74. Jablonsky 1989, 20–26, 30쪽.
  75. Shirer 1990, 112쪽.
  76. 한스 후베르트 호프만: Der Hitlerputsch. Krisenjahre deutschen Geschichte 1920–1924. Nymphenburger Verlagshandlung, München 1961, S. 211, 272; als Karl Kulm bei 한스 귄터 호케르츠: „Hauptstadt der Bewegung“. In: 리하르트 바우어 외 (Hrsg.): München – „Hauptstadt der Bewegung“. Bayerns Metropole und der Nationalsozialismus. 2. Auflage. Edition Minerva, München 2002, S. 355 f.
  77. “Einsatz für Freiheit und Demokratie”. 2015년 6월 11일. 2015년 6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0월 25일에 확인함. 
  78. Jablonsky 1989, 57쪽.
  79. Kershaw 1998, 239쪽.
  80. Childers 2001b, 13:45–14:12.
  81. Childers 2001b, 15:50–16:10.
  82. Weale 2010, 26–29쪽.
  83. Koehl 2004, 34쪽.
  84. Childers 2001b, 17:00–17:27.
  85. Kershaw 2008, 194쪽.
  86. Childers 2001b, 23:30–24:00.
  87. Evans 2005, 372쪽.
  88. Kershaw 2008, 224쪽.
  89. Childers 2001b, 30:35–30:57.
  90. Hitler 2010, 287쪽.
  91. Fritzsche 1998, ?쪽; Eatwell 1996, xvii–xxiv, 21, 26–31, 114–40, 352쪽; Griffin 2000, ?쪽.
  92. Domarus 2007, 171–73쪽.
  93. Beck 2013, 259쪽.
  94. Ingrao 2013, 77쪽.
  95. Kolb 2005, 224–225쪽.
  96. Kuntz 2011, 73쪽.
  97. Schaarschmidt 2014, 104–05쪽.
  98. Evans 2015, 98쪽.
  99. McNab 2013, 20쪽.
  100. Kuntz 2011, 74쪽.
  101. Delarue 2008, x–xi쪽.
  102. McNab 2009, 25쪽.
  103. McNab 2009, 25, 26쪽.
  104. Lewkowicz 2008, 74쪽.
  105. Cogen 2016, 226쪽.
  106. Judt 2006, ?쪽.
  107. Junker 2004, 65쪽.
  108. Rummel 1994, 112쪽.
  109. Fischel 1998, 87쪽.
  110. Bauer & Rozett 1990, 1799쪽.
  111. Hancock 2004, 383–96쪽.
  112. Holocaust Memorial Museum.
  113. Snyder 2010, 184쪽.
  114. Niewyk & Nicosia 2000, 45쪽.
  115. Goldhagen 1996, 290쪽.
  116. Joachimsthaler 1999, 187쪽.
  117. Trevor-Roper 2002, 193쪽.
  118. Miller 2006, 154쪽.
  119. Whiting 1996, 217–218쪽.
  120. Karacs 1998.
  121. Steber & Gotto 2018, 91쪽.
  122. Simpson 2002, 149, 257, 299쪽.
  123. Farrell 2008, ?쪽.
  124. Materna & Ribbe 1995, ?쪽.
  125. German Historical Institute 2008.
  126. Broszat 1985, 44–47쪽.
  127. Miller & Schulz 2012, 18–41쪽.
  128. Miller & Schulz 2012, 41–50쪽.
  129. Wolf 1969, 121, 253, 283쪽.
  130. Schom 1998.
  131. Historischer Verein des Kantons Bern 1973, 150쪽.
  132. Glaus 1969, 147쪽.
  133. Panayi 2007, 40쪽.
  134. McNab 2011, 22, 23쪽.
  135. The History Place 2015.
  136. Evans 1989, 59쪽.
  137. Bartov 1986, 49쪽.
  138. Musiał 2009.
  139. Rosar 1971, ?쪽.

참고 자료

외부 링크

[편집]

틀:NSD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