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우루의 의료
다음 문서에서는 나우루의 의료에 대하여 서술한다.
나우루의 건강은 비만증, 짧은 수명, 소아 질병에 의해 위협받고 있다.
인구
[편집]2013년에 366명의 신생아가 태어났으며, 이 중 남아가 193명, 여아가 173명이었다.[1] 2007년 첫 출산 시 어머니의 평균 연령은 22.1세였다.[2] 합계출산율은 105명이다.[3] 2011년에는 75명이 사망했다.[4]
심혈관계 질환(44%)과 암(10%)은 2002년 사망의 주요 원인이었다.[5]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출생률은 27.2명로 사망률인 7.5명의 거의 네 배였다.[3] 2014년 영아 사망률 추정치는 신생아 1,000명당 8.21명이었다.
연령 구조는 15~64세 인구 (65.6%)가 지배적이며, 15세 미만과 64세 이상 인구는 비교적 적다 (각각 32.5%와 1.8%). 중위 연령은 21.5세이다.
인구의 성비는 여성 1명당 남성 0.91명이다.[2]

나우루는 세계에서 비만증 유병률이 가장 높다. 남성의 97%, 여성의 93%가 과체중 또는 비만이다.[6] 2011년 평균 체질량 지수는 약 34.5였다. 나우루의 비만율은 인산염 채굴 중단으로 인한 경기 침체와 초가공식품 수입 과소비에 기인하며,[7] 이로 인해 나우루 토지의 80%가 농업에 부적합하게 되었다.[8][9][10]
보건
[편집]
나우루는 모든 시민에게 무료로 제공되는 보편적 건강보장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11]
나우루의 유일한 병원은 데니고모두구에 있는 나우루 공화국 병원이다. 이 병원은 1999년 국영 병원인 나우루 종합병원과 민간 병원인 나우루 인산염 공사 병원이 합병하여 설립되었다.[12] 기본 의료 및 외과 치료와 함께 영상의학, 검사실, 약국, 치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나우루 공중 보건 센터는 당뇨병 및 기타 비만 관련 질병에 대한 치료를 제공한다. 추가 치료가 필요한 환자는 오스트레일리아로 이동한다.[13][14]
2012년 나우루 GDP의 약 7.5%가 의료비로 지출되었다.[15] 2004년에는 인구 10만 명당 149명의 의사와 557명의 간호사가 있었다.[16] 2012년에는 15세 미만 인구의 26.2%와 22.1%가 각각 담배와 일반 담배를 소비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17] 나우루의 기대 수명은 66.4세로 세계 169위이다.[2]
국경없는의사회는 2017년 말부터 나우루 거주민, 망명 신청자, 난민에게 심리와 정신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국경없는의사회는 2018년 10월 정부로부터 "난민을 돕고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는 이유로 중단하라는 명령을 받았다.[18] 오스트레일리아 의학 협회 회장은 섬의 소아 질병 상황을 '긴급 개입이 필요한 인도주의적 비상사태'라고 묘사했다.[19]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Vital Statistics – Births/Fertility”. Nauru Bureau of Statistics.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Nauru”. 《월드 팩트북》. 중앙정보국. 20 June 2014. 1 August 2014에 확인함.
- ↑ 가 나 “Population Census of 2011”. Nauru Bureau of Statistics.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 “Vital Statistics – Deaths/Mortality”. Nauru Bureau of Statistics.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The Impact of Chronic Disease in Nauru” (PDF). World Health Organization. 1쪽.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 Marks, Kathy (2010년 12월 26일). “Fat of the Land: Nauru Tops Obesity League”. 《가디언》. 2022년 5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2일에 확인함.
- ↑ “The People Of Nauru Want To Get Healthy - So Why Can't They Succeed?”. 《NPR.org》. 2015년 9월 22일. 2022년 10월 15일에 확인함.
- ↑ Doherty, Ben (2016년 8월 9일). “A short history of Nauru, Australia’s dumping ground for refugees”. 《the Guardian》. 2022년 10월 15일에 확인함.
- ↑ Laurance, Jeremy (2011년 2월 4일). “How Tiny Nauru Became World's Fattest Nation”. 《인디펜던트》. 2022년 5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Kanngieser, Anja (2020). 《Weaponizing Ecocide: Nauru, Offshore Incarceration, and Environmental Crisis》. 《The Contemporary Pacific》 32. 492–502쪽. doi:10.1353/cp.2020.0042. hdl:10125/105202. ISSN 1527-9464.
- ↑ Kiste, Robert (2013년 11월 18일). “Nauru”.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2쪽.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 “Find Health and Medical expertise in Nauru”. Commonwealth Network. 2018. 2018년 11월 22일에 확인함.
- ↑ “Health systems in Nauru”. 《www.commonwealthhealth.org》.
- ↑ Boslaugh, Sarah E: Health Care Systems Around the World: A Comparative Guide, p. 332
- ↑ “WHO Western Pacific Region: Nauru Statistics Summary (2002–present)”. 세계보건기구. 2014년 7월 2일에 확인함.
- ↑ “Nauru”. Encyclopedia.com. 2014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Country Profile: Nauru” (PDF). 《WHO Report on the Global Tobacco Epidemic, 2013》. 세계보건기구. 2014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7일에 확인함.
- ↑ “Nauru orders MSF to stop mental health work on island”. Guardian. 2018년 10월 6일. 2018년 11월 22일에 확인함.
- ↑ “Medical charity MSF 'told to cease mental health work in Nauru'”. BBC. 2018년 10월 7일. 2018년 11월 2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