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남부대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부대신
Secretary of State for the Southern Department
경칭The Right Honourable
소속영국 내각 남부부
소재지런던 웨스트민스터 궁전
임명자영국 국왕
(영국 총리의 추천)
임기 길이고정임기 없음
초대 재임자에드워드 니컬라스
형성1660년
폐지1782년
후신영국 외무장관 (외교 관련)
영국 내무장관 (내무 관련)

남부대신 (남부장관, 영어: Secretary of State for the Southern Department)[1]17세기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의 정부내각 직책으로, 유럽 남부의 일부 국가에 대한 외무사안과 더불어 잉글랜드웨일스를 비롯한 국내 현안을 동시에 맡았다. 1782년 남부부 (Southern Department)가 내무부 (Home Office)로 전환되면서 사라졌다.[2][3]

역사

[편집]

1782년까지 영국 정부는 지금과 같은 내무부, 외무부를 두지 않고 국무장관 2인이 책무를 맡되 그 관할범위를 지리적으로 정하고 있었다. 남부부의 장관은 아일랜드, 채널 제도,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 구 스위스 연방, 이탈리아 국가, 오스만 제국과의 외교관계를 직무로 삼았다. 또한 1768년 식민장관 (Secretary of state for the colonies)가 신설되기 전에는 아메리카 식민지도 관할하였다. 이에 반해 북부대신네덜란드 공화국, 스칸디나비아, 폴란드, 러시아, 신성로마제국과의 외교관계를 맡았다. 잉글랜드웨일스의 내무 관련은 두 장관이 공통으로 관할하였다. 1707년 스코틀랜드 왕국과 연합왕국을 이루게 되면서 스코틀랜드를 전담하는 국무장관직이 신설되기 전까지 스코틀랜드의 내무도 관할하였다.[4]

원래는 고위급 관리가 남부대신에, 하위급 관리가 북부대신에 임명되었으며, 남부대신이 공석이 되면 북부대신을 그 자리에 임명하는 것이 통상적인 관례였다.[4] 그러나 1706년 조지 1세조지 2세 재위기에 이르러서는 국왕의 친정이 있던 하노버를 관할하였다는 점에서 북부부를 더 우선시하게 되었다.[5] 조지 3세 재위기에 이르러서 두 부처의 중요도는 거의 동등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6]

결국 1782년 두 국무장관을 내무장관외무장관으로 개편하면서 남부대신과 북부대신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7]

역대 남부대신 목록

[편집]
역대 남부대신[8]
초상화 성명 (생몰연도) 임기 국왕 (재위) 출처
에드워드 니컬라스
(1593~1669)
1660년

6월 1일

1662년

10월 20일

찰스 2세



(1660~1685)
[9]
제1대 알링턴 백작

헨리 베넷
(1618~1685)[a]

1662년

10월 20일

1674년

9월 11일

[10]
헨리 코번트리
드로이트위치 지역구 의원
(1618?–1686)
1674년

9월 11일

1680년

4월 26일

[11]
제2대 선덜랜드 백작

로버트 스펜서
(1641–1702)

1680년

4월 26일

1681년

2월 2일

리올라인 젠킨스
옥스퍼드 지역구 의원
(1625?–1685)
1681년

2월 2일

1684년

4월 14일

[12]
제2대 선덜랜드 백작

로버트 스펜서
(1641–1702)

1684년

4월 14일

1688년

10월 28일

제임스 2세



(1685~1688)
제2대 미들턴 백작

찰스 미들턴
(1650?–1719)

1688년

10월 28일

1688년

12월 2일

[13]
제12대 슈루즈베리 백작

찰스 탤벗
(1660–1718)

1689년

2월 14일

1690년

6월 2일

메리 2세



(1689~1694)

&

윌리엄 3세



(1689~1702)
제2대 노팅엄 백작

대니얼 핀치
(1647–1730)[b]

1690년

6월 2일

1693년

11월

[14]
존 트렌차드
지역구 의원
(1649–1695)
[c]
1693년

11월

1695년

4월 27일

[15]
제1대 슈르즈베리 공작

찰스 탤벗
(1660–1718)

1695년

4월 27일

1698년

12월 12일

제임스 버넌
웨스트민스터 지역구 의원
(1646–1727)
[d]
1698년

12월 12일

1699년

5월 14일

[16]
제1대 저지 백작

에드워드 빌리어스
(1656?–1711)

1699년

5월 14일

1700년

6월 27일

제임스 버넌
웨스트민스터 지역구 의원
(1646–1727)
[e]
1700년

6월 27일

1702년

1월 4일

[16]
제4대 맨체스터 백작

찰스 몬태규
(1662?–1722)

1702년

1월 4일

1702년

5월 1일

앤 여왕



(1702~1714)
제2대 노팅엄 백작

대니얼 핀치
(1647–1730)

1702년

5월 2일

1704년

4월 22일

[14]
찰스 헤지스
웨스트루 지역구 의원
(1650–1714)
[f]
1704년

5월 18일

1706년

12월 3일

[17]
제3대 선덜랜드 백작

찰스 스펜서
(1675–1722)

1706년

12월 3일

1710년

6월 13일

[18]
제1대 다트머스 백작

윌리엄 레지
(1672–1750)

1710년

6월 15일

1713년

8월 6일

제1대 볼링브로크 자작

헨리 세인트 존
(1678–1751)

1713년

8월 17일

1714년

8월 31일

[19]
조지 1세



(1714~1727)
제임스 스탠호프
코커머스 지역구 의원(1673–1721)[g]
1714년

9월 27일

1716년

6월 22일

[20]
폴 머추언
브래클리 지역구 의원
(1672?–1757)
[h]
1716년

6월 22일

1717년

4월 10일

[21]
조지프 에디슨
맘즈베리 지역구 의원
(1672–1719)
1717년

4월 12일

1718년

3월 14일

[22]
제임스 크레이그스 더 영거
트리거니 지역구 의원
(1686–1721)
1718년

3월 16일

1721년

2월 16일

[23]
제2대 그랜빌 백작

존 카터렛

(1690~1763)

1721년

3월 4일

1724년

3월 31일

제1대 뉴캐슬 공작

토머스 펠럼홀스
(1693–1768) [i]

1724년

4월 6일

1748년

2월 12일

조지 2세



(1727–1760)
제4대 베드퍼드 공작

존 러셀
(1710–1771)

1748년

2월 12일

1751년

6월 13일

제4대 홀더니스 백작

로버트 다시
(1718–1778)

1751년

6월 18일

1754년

3월 23일

토마스 로빈슨
크라이스트처치 의원
(1695–1770)
1754년

3월 24일

1755년

10월

[24]
헨리 폭스
윈저 지역구 의원
(1705–1774)
1755년

11월 14일

1756년

11월 13일

[25]
윌리엄 피트 더 엘더
오크햄턴 지역구 의원(1708–1778)
1756년

12월 4일

1757년

4월 6일

[26]
제4대 홀더니스 백작

로버트 다시
(1718–1778)[j]

1757년

4월 6일

1757년

6월 27일

윌리엄 피트 더 엘더
바스 지역구 의원
(1708–1778)
1757년

6월 27일

1761년

10월 5일

[26]
조지 3세



(1760–1820)
제2대 에그러먼트 백작

찰스 윈덤
(1710–1763)

1761년

10월 9일

1763년

8월 21일

[27]
제2대 핼리팩스 백작

조지 몬태규덩크
(1716–1771)

1763년

9월 9일

1765년

7월 10일

헨리 시뮤어 콘웨이
테트퍼드 지역구 의원
(1719–1795)
1765년

7월 12일

1766년

5월 23일

[28]
제3대 리치먼드 공작

찰스 레넉스
(1735–1806)

1766년

5월 23일

1766년

7월 29일

제2대 셸번 백작

윌리엄 페티
(1737–1805)

1766년

7월 30일

1768년

10월 20일

[29]
제3대 웨이머스 자작

토마스 타인
(1734–1796)

1768년

10월 21일

1770년

12월 12일

제4대 로크퍼드 백작

윌리엄 더 자일레스타인
(1717–1781)

1770년

12월 19일

1775년

11월 9일

제3대 웨이머스 자작

토마스 타인
(1734–1796)[k]

1775년

11월 9일

1779년

11월

제1대 힐즈버러 후작

윌리스 힐
(1718–1793)

1779년

11월 25일

1782년

3월 27일

[30]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1661년~1665년 칼링턴 지역구 의원으로 복귀하였으며 그 직후 알링턴 남작으로 작위를 부여받았다. 1672년 알링턴 백작이 되었다.
  2. 1690년 6월~12월, 1692년 3월~1693년 3월 두 차례에 걸쳐 단독 국무장관을 역임하였다.
  3. 1693년 11월~1694년 3월 단독 국무장관을 역임하였다.
  4. 남부장관으로 역임하였다.
  5. 1700년 6월~11월에도 남부대신직을 역임하였으며 1700년 11월 5일 정식 임명되었다.
  6. 1702년~1705년 칼른 지역구 의원으로 복귀하였으며 직후 1705년~1713년 웨스트루 지역구로 옮겼다.
  7. 1715년 3월부터 연말까지 웬도버 지역구 의원으로 복귀하였으며 직후 1717년까지 코커머스 지역구로 옮겼다.
  8. 1716년 12월 12일 정식 임명되었으며, 1723년 5월~12월에도 남부대신직을 실질 역임하였다.
  9. In February 1746 John Carteret, 2nd Earl Granville held office for two days, however as the formalities of his appointment were not completed sources typically do not include him as a Southern Secretary.
  10. 단독 국무장관으로 재임하였다.
  11. 1799년 3월~10월에는 단독 국무장관으로 재임하였다.

출처

[편집]
  1. Constantine, Stephen (2009). 《Community and Identity: The Making of Modern Gibraltar Since 1704》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69쪽. ISBN 9780719080548. 
  2. FCO Historians (April 1991). “The FCO: Policy, People and Places (1782-1995)”. History Notes (2). Foreign and Commonwealth Office: 1. 
  3. “The National Archives' catalogue: Records assembled by the State Paper Office, including papers of the Secretaries of State up to 1782”. The National Archives. 
  4. Thomson, Mark A. (1932). 《The Secretaries of State: 1681-1782》. London: Frank Cass. 2–3쪽. 
  5. Cass (1932), pp. 21-22
  6. Cass (1932), p. 4
  7. Sainty, J. C. (1973). 〈Introduction〉 (영어). 《Office-Holders in Modern Britain: Volume 2 - Officials of the Secretaries of State 1660-1782》. University of London. 1–21쪽. At the Restoration [in 1660] the practice of appointing two Secretaries of State, which was well established before the Civil War, was resumed. Apart from the modifications which were made necessary by the occasional existence of a third secretaryship, the organisation of the secretariat underwent no fundamental change from that time until the reforms of 1782 which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the Home and Foreign departments. ... English domestic affairs remained the responsibility of both Secretaries throughout the period. In the field of foreign affairs there was a division into a Northern and a Southern Department, each of which was the responsibility of one Secretar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departments emerged only gradually. It was not until after 1689 that their names passed into general currency. Nevertheless the division of foreign business itself can, in its broad outlines, be detected in the early years of the reign of Charles II. 
  8. Sainty, ed: J.C. (1974). 《Office-Holders in Modern Britain: Volume 2, Officials of the Secretaries of State 1660-1782》. University of London. 22–58쪽. 
  9. Baron, Sabrina Alcorn; Thrush, Andrew. “NICHOLAS, Edward (1593-1669), of Dover Castle, Kent and King Street, Westminster; later of West Horsley, Surr.”.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2017년 11월 28일에 확인함. 
  10. Ferris, John. P. “BENNET, Sir Henry (1618-85).”.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2017년 11월 28일에 확인함. 
  11. Rowlands, Edward. “COVENTRY, Hon. Henry (c.1618-86), of Piccadilly Hall, The Haymarket, Westminster and West Bailey Lodge, Enfield, Mdx.”.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2017년 11월 28일에 확인함. 
  12. Henning, Basil Duke. “JENKINS, Sir Leoline (c.1625-85), of Jesus College, Oxford and Hammersmith, Mdx.”.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2017년 11월 28일에 확인함. 
  13. Henning, Basil Duke. “MIDDLETON, Charles, 2nd Earl of Middleton [S]. (c.1650-1719).”.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2017년 11월 28일에 확인함. 
  14. Ferris, John. P. “FINCH, Daniel (1647-1730), of Kensington, Mdx and Milton Ernest, Beds.”.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2017년 11월 28일에 확인함. 
  15. Ferris, John. P. “TRENCHARD, John (1649-95), of the Middle Temple.”.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2017년 11월 28일에 확인함. 
  16. Ferris, John. P. “VERNON, James (1646-1727), of Frith Street, Westminster.”.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2017년 11월 28일에 확인함. 
  17. Handley, Stuart. “HEDGES, Sir Charles (1650-1714), of Richmond, Surr.; Compton Bassett, Wilts.; and St. James's Park, Westminster”.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2017년 11월 30일에 확인함. 
  18. Handley, Stuart. “SPENCER, Charles, Lord Spencer (1675-1722).”.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2017년 12월 3일에 확인함. 
  19. Handley, Stuart. “ST. JOHN, Henry II (1678-1752), of Bucklebury, Berks.”.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2017년 12월 3일에 확인함. 
  20. Handley, Stuart. “STANHOPE, James (1673-1721), of London”.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2017년 12월 3일에 확인함. 
  21. Seghwick, Romney R. “METHUEN, Paul (c.1672-1757), of Bishops Cannings, Wilts.”.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2017년 11월 30일에 확인함. 
  22. Lea, R. S. “ADDISON, Joseph (1672-1719), of Bilton, Warws. and Holland House, Kensington”.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2017년 11월 30일에 확인함. 
  23. Segwick, Romney R. “CRAGGS, James (1686-1721).”.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2017년 11월 30일에 확인함. 
  24. Sedgwick, Romney R. “ROBINSON, Thomas (1695-1770), of Newby, Yorks.”.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2017년 12월 3일에 확인함. 
  25. Namier, Sir Lewis. “FOX, Henry (1705-74), of Holland House, Kensington.”.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2017년 12월 3일에 확인함. 
  26. Brooke, John. “PITT, William (1708-78), of Hayes, Kent”.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2017년 12월 3일에 확인함. 
  27. Cruickshanks, Eveline. “WYNDHAM, Charles (1710-63), of Orchard Wyndham, Som.”.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2017년 12월 2일에 확인함. 
  28. Brooke, John. “CONWAY, Hon. Henry Seymour (1719-95), of Park Place, Berks.”.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2017년 12월 1일에 확인함. 
  29. Namier, Sir Lewis. “PETTY, William, Visct. Fitzmaurice (1737-1805), of Bowood, Wilts.”.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2017년 12월 2일에 확인함. 
  30. Brooke, John. “HILL, Wills, 1st Earl of Hillsborough [I] (1718-93), of North Aston, Oxon.”.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2017년 11월 2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