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북부대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북부대신
Secretary of State for the Northern Department
최장수 재임
제1대 해링턴 백작 윌리엄 스탠호프
1730년 6월 19일 ~ 1742년 2월 12일
경칭The Right Honourable
소속영국 내각 북부부
소재지런던 웨스트민스터 궁전
임명자영국 국왕
(영국 총리의 추천)
임기 길이고정임기 없음
초대 재임자윌리엄 모리스
형성1660년
폐지1782년
후신영국 외무장관 (외교 관련)
영국 내무장관 (내무 관련)

북부대신 (북부장관, 영어: Secretary of State for the Northern Department)은 17세기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의 정부내각 직책으로, 유럽 북부의 일부 국가에 대한 외무사안과 더불어 잉글랜드웨일스를 비롯한 국내 현안을 동시에 맡았다. 1782년 북부부(Northern Department)가 외무부로 전환되면서 사라졌고, 영국 외무장관직이 신설되었다.[1][2]

역사

[편집]

1707년 연합법 이전까지 국무장관 (Secretary of State)의 책무는 잉글랜드 정부로 한하였다. 스코틀랜드 왕국과의 연합 이후에도 1746년까지는 별도의 스코틀랜드 장관이 있었지만, 간혹 공석으로 남기도 했다. 이는 과거 스코틀랜드 정부의 국무장관 직책을 계승한 것이었다.

1782년까지 영국 정부는 지금과 같은 내무부, 외무부를 두지 않고 국무장관 2인이 책무를 맡되, 그 관할범위를 지리적으로 정하고 있었다. 북부대신은 네덜란드, 스칸디나비아, 폴란드, 러시아, 신성 로마 제국과의 관계를 담당했다. 남부대신아일랜드, 채널 제도,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 스위스, 이탈리아 소국, 오스만 제국을 담당했다. 잉글랜드웨일스의 내무 관련은 두 장관이 공유했다. 1707년 스코틀랜드와의 연합 이후에는 스코틀랜드부 장관이 공석일 시 두 장관이 스코틀랜드의 내무도 관할하였다.[3]

원래는 고위급 관리가 남부대신에, 하위급 관리가 북부대신에 임명되었으며, 남부대신이 공석이 되면 북부대신을 그 자리에 임명하는 것이 통상적인 관례였다.[4] 그러나 1706년 조지 1세조지 2세 재위기에 이르러서는 국왕의 친정이 있던 하노버를 관할하였다는 점에서 북부부를 더 우선시하게 되었다.[5] 조지 3세 재위기에 이르러서 두 부처의 중요도는 거의 동등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6] 또한 북부대신이 귀족일 경우에는 상원 원내총무도 겸하는 경우가 많았다.

1782년 두 국무장관직이 내무장관외무장관으로 개편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7]

역대 북부대신 목록

[편집]

포함된 인물:[8]

초상화 이름
선거구
재임 기간 비고
윌리엄 모리스 경
플리머스 의원
5월 27일
1660년
9월 29일
1668년
존 트레버 경
애런들 의원 (~1661년)
그레이트베드윈 의원
9월 29일
1668년
7월 8일
1672년
헨리 코번트리
드로이트위치 의원
7월 3일
1672년
9월 11일
1674년
조지프 윌리엄슨 경
텟포드 의원
9월 11일
1674년
2월 20일
1679년
로버트 스펜서
선덜랜드 백작
2월 10일
1679년
4월 26일
1680년
리오라인 젱킨스 경
옥스퍼드 대학교 의원
4월 26일
1680년
2월 2일
1681년
에드워드 콘웨이
콘웨이 백작
2월 2일
1681년
1월
1683년
로버트 스펜서
선덜랜드 백작
1월 28일
1683년
1684년
시드니 고돌핀
헬스턴 의원
4월 17일
1684년
8월 24일
1684년
찰스 미들턴
미들턴 백작

윈첼시 의원 (1685년~)
8월 24일
1684년
10월 28일
1688년
리처드 그레이엄
프레스턴 자작

컴벌랜드 의원
10월 29일
1688년
12월 2일
1688년
대니얼 핀치
노팅엄 백작
3월 5일
1689년
12월 26일
1690년
헨리 시드니
시드니 자작
12월 26일
1690년
3월 3일
1692년
존 트렌처드 경
의원
3월 23일
1693년
3월 2일
1694년
찰스 탤벗
슈루즈베리 공작
3월 2일
1694년
5월 3일
1695년
윌리엄 트럼불 경
옥스퍼드 대학교 의원
5월 3일
1695년
12월 2일
1697년
제임스 버논
펜린 의원 (~1699년)
웨스트민스터 의원
12월 2일
1697년
11월 5일
1700년
찰스 헤지스
말름스버리 의원
11월 5일
1700년
12월 29일
1701년
제임스 버논
웨스트민스터 의원
1월 4일
1702년
5월 1일
1702년
찰스 헤지스
말름스버리 의원 (~1702년)
칼른 의원
5월 2일
1702년
5월 18일
1704년
로버트 할리
래드너 의원
5월 16일
1704년
2월 13일
1708년
헨리 보일
웨스트민스터 의원
2월 13일
1708년
9월 21일
1710년
헨리 세인트 존
볼링브로크 자작

버크셔 의원 (~1712년)
볼링브로크 자작 (1712년~)
9월 21일
1710년
8월 17일
1713년
윌리엄 브롬리 경
옥스퍼드 대학교 의원
8월 17일
1713년
9월 17일
1714년
찰스 타운젠드
타운젠드 자작
9월 17일
1714년
12월 12일
1716년
제임스 스탠호프 12월 12일
1716년
4월 12일
1717년
찰스 스펜서
선덜랜드 백작
4월 12일
1717년
3월 2일
1718년
제임스 스탠호프
스탠호프 백작
3월 19일
1718년
2월 4일
1721년
존 카터렛
카터렛 경
2월 5일
1721년
2월 21일
1721년
찰스 타운젠드
제2대 타운젠드 자작
2월 21일
1721년
5월 16일
1730년
윌리엄 스탠호프
해링턴 경
6월 19일
1730년
2월 12일
1742년
존 카터렛
카터렛 경
2월 12일
1742년
11월 24일
1744년
윌리엄 스탠호프
해링턴 백작
11월 24일
1744년
1월
1746년
존 카터렛
그랜빌 백작
2월 12일
1746년
3월
1746년
단독 장관
윌리엄 스탠호프
해링턴 백작
3월
1746년
10월 19일
1746년
필립 도머 스탠호프
체스터필드 백작
10월 29일
1746년
2월 6일
1748년
토머스 펠럼홀스
뉴캐슬 공작
2월 6일
1748년
3월 23일
1754년
로버트 다시
홀더니스 백작
4월
1757년
6월
1757년
단독 장관
존 스튜어트
뷰트 백작
3월 25일
1761년
5월 27일
1762년
조지 그렌빌
버킹엄 의원
6월 5일
1762년
10월 9일
1762년
조지 몬태규-덩크
핼리팩스 백작
10월 14일
1762년
9월 9일
1763년
존 몬태규
샌드위치 백작
9월 9일
1763년
7월 10일
1765년
조지 몬태규-덩크
핼리팩스 백작
9월
1763년
7월
1765년
어거스터스 헨리 피츠로이
그래프턴 공작
7월 12일
1765년
5월 14일
1766년
헨리 시모어 콘웨이
텟포드 의원
5월 23일
1766년
1월 20일
1768년
토머스 신
웨이머스 자작
1월 20일
1768년
10월 21일
1768년
제4대 로크퍼드 백작

윌리엄 더 자일레스타인

10월 21일
1768년
12월 19일
1770년
존 몬태규
샌드위치 백작
12월 19일
1770년
1월 12일
1771년
조지 몬태규-덩크
핼리팩스 백작
1월 22일
1771년
6월 6일
1771년
헨리 하워드
서퍽 백작
6월 12일
1771년
3월 7일
1779년
데이비드 머레이
스토몬트 자작
10월 27일
1779년
3월 27일
1782년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The FCO: Policy, People and Places (1782-1995)》. 《FCO Historians》. History Notes (Foreign and Commonwealth Office). April 1991. 1쪽. 
  2. “The National Archives' catalogue: Records assembled by the State Paper Office, including papers of the Secretaries of State up to 1782”. The National Archives. 
  3. Thomson, Mark A. (1932). 《The Secretaries of State: 1681-1782》. London: Frank Cass. 2–3쪽. 
  4. Thomson, Mark A. (1932). 《The Secretaries of State: 1681-1782》. London: Frank Cass. 2–3쪽. 
  5. Cass (1932), pp. 21-22
  6. Cass (1932), p. 4
  7. Sainty, J. C. (1973). 〈Introduction〉 (영어). 《Office-Holders in Modern Britain: Volume 2 - Officials of the Secretaries of State 1660-1782》. University of London. 1–21쪽 – British History Online 경유. At the Restoration [in 1660] the practice of appointing two Secretaries of State, which was well established before the Civil War, was resumed. Apart from the modifications which were made necessary by the occasional existence of a third secretaryship, the organisation of the secretariat underwent no fundamental change from that time until the reforms of 1782 which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the Home and Foreign departments. ... English domestic affairs remained the responsibility of both Secretaries throughout the period. In the field of foreign affairs there was a division into a Northern and a Southern Department, each of which was the responsibility of one Secretar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departments emerged only gradually. It was not until after 1689 that their names passed into general currency. Nevertheless the division of foreign business itself can, in its broad outlines, be detected in the early years of the reign of Charles II. 
  8. Sainty, J. C. “Lists of appointments British History Online” (영어). 《www.british-history.ac.uk》. Originally published by University of London, London, 1973. 2017년 3월 12일에 확인함. 

출처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