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피그미마모셋
![]() | |
---|---|
![]() 영국 더들리 동물원의 동부피그미마모셋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영장목 |
아목: | 직비원아목 |
하목: | 원숭이하목 |
소목: | 광비원소목 |
과: | 비단원숭이과 |
속: | 피그미마모셋속 |
종: | 동부피그미마모셋 (C. niveiventris) |
학명 | |
Cebuella niveiventris | |
Lönnberg, 1940 | |
보전상태 | |
|
동부피그미마모셋(Cebuella niveiventris)는 볼리비아와 브라질, 에콰도르, 페루의 아마존 남서부 열대우림에서 발견되는 매우 작은 신세계원숭이인 마모셋 종이다. 이전에는 서부피그미마모셋과 같은 종으로 여겨졌지만, 동부피그미마모셋은 배 부분이 흰색이다. 동부피그미마모셋은 서부피그미마모셋보다 더 동쪽에 서식하지만, 두 개체의 주요 서식지 구분은 아마존 강(솔리모이스 강)과 마라논 강이며, 서부피그미마모셋은 그 북쪽에, 동부피그미마모셋은 남쪽에 서식한다.[1]
최근 DNA 검사를 통해 마라논강에서 북쪽으로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에콰도르에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2]
특징
[편집]동부피그미마모셋은 몸무게가 약 119g이고 머리 크기는 33.7mm에서 38.9mm 사이로, 신대륙원숭이 중 가장 작은 종 중의 하나이다.[3][4] 야생에서 다 자란 수컷의 몸무게는 약 110g, 암컷의 몸무게는 약 120g이다.[5] 모든 피그미마모셋은 귀를 덮는 털갈기와 뒷다리보다 긴 팔, 그리고 첫 번째 위어금니에 원추가 없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4] 특정한 식성으로 인해 동부피그미마모셋은 큰 아래 앞니와 튼튼한 V자 모양의 아래턱을 가지고 있다.[4] 동부피그미마모셋은 나무껍질에 구멍을 뚫어 먹이를 얻는 등의 활동에 유용한 발톱을 가지고 있으며, 이 발톱 덕분에 나무줄기에 수직으로 매달릴 수 있다.[6]

피그미마모셋의 여러 아종은 색상 패턴이 서로 다르지만, 동부피그미마모셋은 좀 더 흰색이고 옅은 색상을 띤다.[3] 동부피그미마모셋은 팔과 다리를 포함한 아랫부분이 흰색이고, 목과 가슴은 주황색에서 흰색에 가까운 색을 띤다.[3]
각주
[편집]- ↑ 가 나 de la Torre, S.; Calouro, A.M.; Wallace, R.B.; Mollinedo, J.M.; Messias, M.R.; Valença-Montenegro, M.M. (2021). “Cebuella niveiventris”. 《IUCN 적색 목록》 (IUCN) 2021: e.T136865A191707236. doi:10.2305/IUCN.UK.2021-1.RLTS.T136865A191707236.en. 2025년 7월 4일에 확인함.
- ↑ “Nueva especie del mono más pequeño del mundo fue encontrada en Ecuador”. 《El Comercio》 (스페인어). 2021년 4월 12일.
- ↑ 가 나 다 Boubli, Jean P.; da Silva, Maria N.F.; Rylands, Anthony B.; Nash, Stephen D.; Bertuol, Fabrício; Nunes, Mário; Mittermeier, Russell A.; Byrne, Hazel; Silva, Felipe E.; Röhe, Fábio; Sampaio, Iracilda; Schneider, Horacio; Farias, Izeni P.; Hrbek, Tomas (2018년 3월). “How many pygmy marmoset (Cebuella Gray, 1870) species are there? A taxonomic re-appraisal based on new molecular evidence”.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영어) 120: 170–182. doi:10.1016/j.ympev.2017.11.010. PMID 29175546.
- ↑ 가 나 다 Garbino, Guilherme S.T.; Casali, Daniel M.; Nascimento, Fabio O.; Serrano-Villavicencio, José Eduardo (2019년 3월). “Taxonomy of the pygmy marmoset (Cebuella Gray, 1866): Geographic variation, species delimitation, and nomenclatural notes”. 《Mammalian Biology》 (영어) 95: 135–142. doi:10.1016/j.mambio.2018.09.003. S2CID 91638413.
- ↑ Genoud, Michel; Martin, Robert D.; Glaser, Dieter (1997). <229::aid-ajp5>3.0.co;2-z “Rate of metabolism in the smallest simian primate, the pygmy marmoset (Cebuella pygmaea)”. 《American Journal of Primatology》 41 (3): 229–245. doi:10.1002/(sici)1098-2345(1997)41:3<229::aid-ajp5>3.0.co;2-z. ISSN 0275-2565. PMID 9057967. S2CID 20927342.
- ↑ Kinzey, W G (October 1986). “New World Primate Field Studies: What's in it for Anthropology?”. 《Annual Review of Anthropology》 15 (1): 121–148. doi:10.1146/annurev.an.15.100186.001005. ISSN 0084-6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