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안데스새들백타마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안데스새들백타마린
안데스새들백타마린
안데스새들백타마린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영장목
아목: 직비원아목
하목: 원숭이하목
소목: 광비원소목
과: 비단원숭이과
속: 검은망토타마린속
종: 안데스새들백타마린
(L. leucogenys)
학명
Leontocebus leucogenys
(Gray, 1866)

학명이명

Saguinus leucogenys

안데스새들백타마린의 분포

안데스새들백타마린의 분포 지역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안데스새들백타마린(Leontocebus leucogenys)은 비단원숭이과에 속하는 영장류의 일종이다. 일리거타마린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2] 이전에는 갈색망토타마린의 아종으로 간주했다.[3][2] 페루 고유종으로 모식산지는 페루의 우아누코주다.[3][2] 안데스산맥 동쪽 경사면의 페루 북부 지역에서 발견된다. 분포 지역은 마라뇬 강과 후알라가 강 사이의 상류 지역이다.[4]

특징

[편집]

안데스새들백타마린은 머리부터 몸통까지 길이가 22.5~23cm이고, 꼬리 길이는 30.5~33cm, 몸무게는 350~400g이다.[2] 머리와 어깨, 팔, 목 그리고 윗가슴은 주로 검은색, 흑갈색이며, 때로는 아구티색을 띠기도 하지만, 팔의 바깥쪽은 주황색 광택을 띠기도 한다. 허벅지 바깥쪽은 주황색이며, 어두운 반점이 있다. 안쪽과 아랫가슴 그리고 배는 붉은색, 물 빠진 붉은색-검은색, 또는 붉은색과 검은색 줄무늬가 있다. 발과 손의 윗면은 검은색이다. 등은 검은색과 황갈색 줄무늬가 있다. 웨델새들백타마린과 달리, 안데스새들백타마린은 눈 사이가 흰색이 아니다. 붉은색 밑동을 제외하고 꼬리는 검은색이다. 외부에서 보이는 털이 없는 피부(예, 팔다리)는 검은색이다. 얼굴이나 생식기의 피부는 검은색이다.[2]

서식지

[편집]

안데스새들백타마린은 안데스 ​​산맥 동쪽 기슭의 산악 열대우림, 해발 900~1,000m에 서식한다. 1차림과 2차림, 숲에 서식하며, 작은 열매와 꽃꿀, 나무 수액, 그리고 작은 동물을 먹는다. 번식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분류학

[편집]

안데스새들백타마린은 1866년 영국의 동물학자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기재했다. 안데스새들백타마린을 오랫동안 갈색망토타마린의 아종으로 간주했지만[5], 최근 논문에서는 별개의 종으로 분류한다. 그러나 분자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안데스새들백타마린의 북부 개체군은 일리거타마린과 더 가까운 반면, 모식표본이 채취된 남부 개체군은 매우 어두운 앞몸통을 가지고 있어 북부 개체군과 구별되고, 갈색망토타마린조프루아새들백타마린, 웨델새들백타마린과 함께 계통군을 형성한다. 두 종 모두 파치테아강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있다.[6][7][8]

계통 분류

[편집]

검은망토타마린속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6]

검은망토타마린속

일리거타마린

안데스새들백타마린

갈색망토타마린

안데스새들백타마린

크루즈리마타마린

웨델새들백타마린

흰망토타마린

조프루아새들백타마린

검은망토타마린

그라엘스타마린

황금망토타마린

붉은망토타마린

보전상태

[편집]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보존 관점에서 최소관심종으로 분류하고 있다.[1]

각주

[편집]
  1. Heymann, E.W.; Shanee, S. (2020). Leontocebus leucogenys. 《IUCN 적색 목록》 (IUCN) 2020. doi:10.2305/IUCN.UK.2020-3.RLTS.T19826A17980550.en. 2025년 10월 19일에 확인함. 
  2. Porter, Leila M.; Dacier, Anand (2016). Rowe, Noel; Myers, Marc (편집). 《전 세계의 영장류》. Pogonias Press. 334–336쪽. ISBN 978-1-940496-06-1. 
  3. Rylands, Anthony B.; Eckhard W. Heymann; Jessica Lynch Alfaro; Janet C. Buckner; Christian Roos; Christian Matauschek; Jean P. Boubli; Ricardo Sampaio; Russell A. Mittermeier (2016). “신세계 타마린원숭이 (영장류: 비단원숭이과과)의 분류학적 검토” (PDF). 《린네 학회 동물학 저널》 177 (4): 1003–1028. doi:10.1111/zoj.12386. 2017년 1월 2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10월 19일에 확인함. 
  4. A. B. Rylands & R. A. Mittermeier: Family Callitrichidae (Marmosets and Tamarins). Seiten 325 in Russell A. Mittermeier, Anthony B. Rylands & Don E. Wilson: Handbook of the Mammals of the World: Primates: 3. ISBN 978-8496553897
  5. Colin Groves (2001). 《영장류 분류학》. Washington D.C.: 스미소니언 협회 출판부. 
  6. Christian Matauschek, Christian Roos & Eckhard W. Heymann (2014). “S. nigricollis 종 그룹에 대한 분류학적, 생물지리학적 의미를 지닌 타마린(Saguinus, Hoffmannsegg 1807)의 미토콘드리아 계통발생”. 《미국 신체 인류학 저널》 144 (4). doi:10.1002/ajpa.21445. 
  7. Christian Matauschek, Eckhard W. Heymann, Knut Finstermeier & Christian Roos (2010). “완전한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데이터는 칼리트리킨 영장류의 계통발생학과 타마린 종 그룹의 후기 중신세 분기를 보여준다”. 괴팅겐 대학교. 
  8. Rylands & Mittermeier, 32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