돛자리 오미크론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분점 J2000.0 | |
---|---|
별자리 | 돛자리 |
적경 | 08h 40m 17.58553s[1] |
적위 | -52° 55′ 18.8002″[1] |
겉보기등급 (V) | +3.60[2] (3.57 – 3.63[3]) |
특성 | |
스펙트럼 종류 | B3/5(V)[4] |
U−B 색지수 | −0.62[2] |
B−V 색지수 | −0.18[2] |
변광 종류 | SPB[3] |
위치천문학 | |
시선속도 (Rv) | +16.1±0.7[5] km/s |
고유운동 (μ) | RA: −24.42[1] mas/yr Dec.: +34.44[1] mas/yr |
연주 시차 (π) | 6.61 ± 0.35 mas[1] |
거리 | 490 ± 30 ly (151 ± 8 pc) |
절대등급 (MV) | −2.48[6] |
상세 | |
질량 | 5.5±0.4[7] M☉ |
반지름 | 4.3±0.7[7] R☉ |
광도 | 1,000[7] L☉ |
표면중력 (log g) | 3.91±0.20[7] cgs |
유효온도 | 16,200±700[7] K |
투영 자전 속도 (v sin i) | 9±5[7] km/s |
나이 | 39.8[8] Myr |
천체 명칭 | |
데이터베이스 자료 | |
SIMBAD | 데이터 |
돛자리 오미크론 (ο Vel, ο Velorum)은 남천구 돛자리에 있는 항성이다. 이 별은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느슨한 산개 성단 IC 2391, 즉 돛자리 오미크론 성단의 가장 밝은 구성원이다.

돛자리 오미크론은 평균 겉보기등급이 +3.60인 청백색 B형 별이다. 이 별은 아마도 주계열 천체일 가능성이 높지만,[4][10] 준거성 또는 거성으로 분류되기도 했다.[11] 오미크론은 지구에서 약 495 광년 떨어져 있다.
앨런 윌리엄 제임스 커즌스는 1959년에 돛자리 오미크론이 변광성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12] 느린 맥동 B형성인 이 별은 2.8일에 걸쳐 3.57등급에서 3.63등급 사이를 오간다.[3]
돛자리 오미크론의 올바른 바이어 명명법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었다. 라카유는 아르고자리의 밝은 별에 하나씩 그리스 문자 순서를 할당했다. 이 라카유 명명법은 현재 용골자리, 고물자리, 돛자리의 세 현대 별자리에 나누어 공유되어 (오미크론을 제외하고) 각 그리스 문자는 세 별자리 중 하나에만 존재한다.[13][14] 그러나 ο (오미크론)은 현재 돛자리와 고물자리에 각각 하나씩, 두 별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Coelum Australe Stelliferum》 자체에서는 돛자리 오미크론이 ο (오미크론) Argus (프랑스어판에서는 du Navire)로 표시되어 있는 반면, 고물자리 오미크론는 (라틴어로) o Argus in puppi (프랑스어판에서는 Pouppe du Navire)로 표시되어 있다.[15][16][17] 일부 후대 저자는 라카유가 실제로 오미크론을 고물자리 오미크론에 할당하고 라틴어 소문자 'o'를 돛자리 오미크론에 할당했다고 반대로 주장한다.[18] 현대 성표와 성도에서는 일반적으로 두 별 모두에 오미크론을 사용한다.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S2CID 18759600
- ↑ 가 나 다 Johnson, H. L. 외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99): 99, Bibcode:1966CoLPL...4...99J
- ↑ 가 나 다 Samus, N. N.; Durlevich, O. V. 외 (2009).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VizieR On-line Data Catalog: B/GCVS. Originally Published in: 2009yCat....102025S》 1. Bibcode:2009yCat....102025S.
- ↑ 가 나 Houk, Nancy (1978).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Ann Arbor: Dept. Of Astronomy, University of Michigan》 2. Bibcode:1978MSS...C02....0H.
- ↑ Gontcharov, G. A. (November 2006), “Pulkovo Compilation of Radial Velocities for 35495 Hipparcos stars in a common system”, 《Astronomy Letters》 32 (11): 759–771, arXiv:1606.08053, Bibcode:2006AstL...32..759G, doi:10.1134/S1063773706110065, S2CID 119231169.
- ↑ Anderson, E.; Francis, Ch. (2012),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Astronomy Letters》 38 (5): 331, arXiv:1108.4971, Bibcode:2012AstL...38..331A, doi:10.1134/S1063773712050015, S2CID 119257644.
- ↑ 가 나 다 라 마 바 Hubrig, S. 외 (January 2009), “New magnetic field measurements of beta Cephei stars and Slowly Pulsating B stars”, 《Astronomische Nachrichten》 330 (4): 317, arXiv:0902.1314, Bibcode:2009AN....330..317H, doi:10.1002/asna.200811187, S2CID 17497112
- ↑ Tetzlaff, N.; Neuhäuser, R.; Hohle, M. M. (2011년 1월 1일). 《A catalogue of young runaway Hipparcos stars within 3 kpc from the Sun: Catalogue of young runaway star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10. 190–200쪽. arXiv:1007.4883. Bibcode:2011MNRAS.410..190T. doi:10.1111/j.1365-2966.2010.17434.x. ISSN 0035-8711.
- ↑ “MAST: Barbara A. Mikulski Archive for Space Telescopes”.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2022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Vallenari, A. 외 (Gaia collaboration) (2023). “Gaia Data Release 3. Summary of the content and survey properties”. 《Astronomy and Astrophysics》 674: A1. arXiv:2208.00211. Bibcode:2023A&A...674A...1G. doi:10.1051/0004-6361/202243940. S2CID 244398875. 이 출처의 Gaia DR3 기록 at VizieR.
- ↑ Skiff, B. A. (2014).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Spectral Classifications (Skiff, 2009- )》. 《VizieR On-line Data Catalog》. Bibcode:2014yCat....1.2023S.
- ↑ Cousins, A. W. J. (1959). 《Measures of Bright Southern Stars on the UBV System》. 《Monthly Notes of the Astron. Soc. Southern Africa》 18. 47쪽. Bibcode:1959MNSSA..18...47C. 2024년 12월 24일에 확인함.
- ↑ 《Coelum australe stelliferum ...》. H L Guerin & L F Delatour. 1763. 7–쪽.
- ↑ Kostjuk, N. D. (2004). 《VizieR Online Data Catalog: HD-DM-GC-HR-HIP-Bayer-Flamsteed Cross Index (Kostjuk, 2002)》. 《VizieR On-line Data Catalog: IV/27A. Originally Published in: Institute of Astronomy of Russian Academy of Sciences (2002)》 4027. Bibcode:2004yCat.4027....0K.
- ↑ La Caille, Nicolas Louis de. “Coelum Australe Stelliferum”. 2017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La Caille, Nicolas Louis de. “Coelum Australe Stelliferum”. 2017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Wagman, Morton (2003). 《Lost Stars》. McDonald and Woodward. 259쪽. ISBN 0-939923-78-5.
- ↑ Hoffleit, D.; Jaschek, C. (1982). 《The Bright Star Catalogue》. 《The Bright Star Catalogue》. Bibcode:1982bsc..book.....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