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돛자리 초신성잔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돛자리 초신성잔해
확산 성운
초신성잔해
돛자리 초신성잔해의 모습
관측 데이터: J2000.0 역기점
적경08h 35m 20.66s
적위-45° 10′ 35.2″
거리936+62
−55
 ly   (287+19
−17
[1] pc)
겉보기등급 (V)12
겉보기 크기 (V)8 (추정)
별자리돛자리
명칭Vela XYZ, Gum 16, SNR G263.9-03.3, 1E 0840.0-4430, RE J083854-430902
같이 보기: 성운 목록

돛자리 초신성잔해(Vela Supernova Remnant)는 남쪽 하늘 돛자리에 있는 초신성잔해이다. 중심부에 있는 II형 초신성은 약 11,000년 전에 폭발했으며 (약 900 광년 떨어져 있었다.)[1] 1968년 시드니 대학교 천문학자 연구팀이 돛자리 초신성잔해와 돛자리 펄사의 연관성을 발견한 것은 초신성중성자별을 형성한다는 직접적인 관측 증거였다.[2]

돛자리 초신성잔해는 NGC 2736을 포함한다. 지구에서 볼 때 돛자리 초신성잔해는 네 배 더 멀리 떨어져 있는 고물자리 A 초신성잔해와 겹쳐 보인다. 고물자리와 돛자리 잔해 모두 엑스선 하늘에서 가장 크고 밝은 특징적인 천체 중 하나이다.

돛자리 초신성잔해는 인류에게 알려진 가장 가까운 초신성잔해 중 하나이다. 게민가 펄사는 더 가깝고 (역시 초신성에서 비롯되었으며), 1998년 또 다른 근지구 초신성 잔해인 RX J0852.0-4622가 발견되었는데, 지구의 관점에서 돛자리 잔해의 남동쪽에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이 잔해는 대부분의 파장에서 돛자리 잔해에 가려져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이전에는 발견되지 않았다.[3]

갤러리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Sushch, I.; Hnatyk, B.; Neronov, A. (2011). 《Modeling of the Vela complex including the Vela supernova remnant, the binary system γ2 Velorum, and the Gum nebula》. 《Astronomy and Astrophysics》 525. A154쪽. arXiv:1011.1177. Bibcode:2011A&A...525A.154S. doi:10.1051/0004-6361/201015346. S2CID 55224501. 
  2. Large, M. I. 외 (1968). 《A Pulsar Supernova Association?》. 《Nature20. 340쪽. Bibcode:1968Natur.220..340L. doi:10.1038/220340a0. S2CID 32855796. 
  3. Brakenridge, G Robert (2025년 5월 6일). 《Late Quaternary supernovae in Earth history》 (영어).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539. 3201–3219쪽. doi:10.1093/mnras/staf554. ISSN 0035-8711. 

외부 링크

[편집]

좌표: 하늘 지도 08h 35m 20.66s, −45° 10′ 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