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레니시카리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레니시카리스속
화석 범위:
캄브리아기 제3절~캄브리아기 제4절
L. lupata의 전방부속지 복원도
L. lupata의 전방부속지 복원도
Lenisicaris pennsylvanica의 전방부속지 복원도
Lenisicaris pennsylvanica의 전방부속지 복원도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절지동물문
강: 공하강
목: 방사치목
과: 아노말로카리스과
속: 레니시카리스속
Wu et al, 2021
모식종
Lenisicaris lupata
Wu et al, 2021

학명이명
  • Anomalocaris pennsylvanica
    (Resser, 1929)
다른 종
  • L. pennsylvanica
    (Resser, 1929)

레니시카리스(학명Lenisicaris)는 중국의 마오텐산 셰일과 미국 펜실베니아주의 킨저스층(Kinzers Formation)에서 발견된 캄브리아기아노말로카리스과 방사치류이다. 속명은 라틴어로 '매끄럽다'를 뜻하는 lēnis(레니스)와 고대 그리스어로 '새우'를 뜻하는 καρίς (카리스)의 합성어이다.[1]

발견과 명명

[편집]

1929년, 미국의 고생물학자 찰스 E. 레서Charles E. Resser는 킨저스층에서 보존이 거의 되지 않은 절지동물의 화석을 기재하였다. 그는 이 화석표본이 아노말로카리스의 신종에 해당한다고 생각하여서 Anomalocaris pennsylvanica로 분류되었는데[2] 이는 두 번째로 기재된 방사치류 종이 되었다.[3] 그 후 여러 화석표본들이 이 종의 것으로 여겨졌지만, 이 중 다수는 연달아 방사치류의 다른 분류군으로 지정되었다.[3][4] 현재 이 종에는 세 개의 표본만이 확실하게 포함되어 있다.[3]

L. pennsylvanica는 2021년의 연구에서 모식종인 L. lupata의 그것과 형태상 닮은 전방부속지에 기초해 레니시카리스속으로 지정할 때까지 아노말로카리스속의 한 종으로 오랫동안 사료되었다. 종소명 lupata(루파타)는 '늑대'를 뜻하는 lupus(루푸스)와 '송곳니'를 뜻하는 fanga(팡가)가 합쳐진 단어로서 '커다랗고 예리한 늑대의 이빨'을 뜻하며, 안돌기가 늑대의 이빨 모양을 닮은 것에서 비롯했다.[1]

특징

[편집]

레니시카리스속은 오직 전방부속지들만이 발견되었지만 이 표본들은 몇 가지 뚜렷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이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바로 옆가시가 없다는 점이다.[5] 모식종 L. lupata의 경우에는 아노말로카리스의 것을 매우 닮은, 보다 더 작고 세모꼴의 안돌기를 지녔다.[1] (과거에 아노말로카리스속의 하나로 기재된[2]) 다른 종인 L. pennsylvanica의 경우에는 는 보다 더 크며 좀 더 직사각형 모양의 안돌기를 가지고 있으며, 홀수 가락마디에 있는 것들은 더 작다.[1]

각주

[편집]
  1. Wu, Yu; Ma, Jiaxin; Lin, Weiliang; Sun, Ao; Zhang, Xingliang; Fu, Dongjing (2021년 5월 1일). “New anomalocaridids (Panarthropoda: Radiodonta) from the lower Cambrian Chengjiang Lagerstätte: Biostratigraphic and paleobiogeographic implications”.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569. Bibcode:2021PPP...56910333W. doi:10.1016/j.palaeo.2021.110333. S2CID 233565727. 
  2. Resser, Charles E. (1929). “New Lower and Middle Cambrian Crustacea” (PDF). 《Proceedings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76 (2806): 1–18. doi:10.5479/si.00963801.76-2806.1. 
  3. Pates, Stephen; Daley, Allison C. (2019). “The Kinzers Formation (Pennsylvania, USA): the most diverse assemblage of Cambrian Stage 4 radiodonts”. 《Geological Magazine》 156 (7): 1233–1246. Bibcode:2019GeoM..156.1233P. doi:10.1017/S0016756818000547. S2CID 134299859. 
  4. Pates S, Daley AC, Edgecombe GD, Cong P, Lieberman BS (2019). “Systematics, preservation and biogeography of radiodonts from the southern Great Basin, USA, during the upper Dyeran (Cambrian Series 2, Stage 4)” (영어). 《Papers in Palaeontology》 7: 235–262. doi:10.1002/spp2.1277. ISSN 2056-2799. S2CID 204260554. 
  5. Potin, Gaëtan J.-M.; Daley, Allison C. (2023). “The significance of Anomalocaris and other Radiodonta for understanding paleoecology and evolution during the Cambrian explosion”. 《Frontiers in Earth Science》 11. Bibcode:2023FrEaS..1160285P. doi:10.3389/feart.2023.1160285. ISSN 2296-6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