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슨타마린
|
| |
|---|---|
레슨타마린 | |
| 생물 분류ℹ️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영장목 |
| 아목: | 직비원아목 |
| 하목: | 원숭이하목 |
| 소목: | 광비원소목 |
| 과: | 비단원숭이과 |
| 속: | 검은망토타마린속 |
| 종: | 레슨타마린 (L. fuscus) |
| 학명 | |
| Leontocebus fuscus | |
| Lesson, 1840 | |
학명이명 | |
|
Saguinus fuscus | |
| 레슨타마린의 분포 | |
레슨타마린의 분포 지역 | |
| 보전상태 | |
|
| |
레슨타마린(Leontocebus fuscus)은 아마존 분지 북서부 지역에서 발견되는 영장류의 일종이다. 콜롬비아 남동부와 자푸라강 북쪽과 남쪽의 푸투마요강 그리고 서쪽으로 안데스산맥 구릉 지대 사이의 브라질 북서부의 좁은 지역에 분포한다.[2]
특징
[편집]갈색새들백타마린은 머리부터 몸까지 길이가 약 23cm, 꼬리 길이는 약 35cm, 모무게는 350~400g이다. 몸 전체는 갈색을 띤다. 얼굴은 대부분 검은색이고, 입과 코 주변은 회색, 귀 아래 머리 옆면은 적갈색 또는 흑갈색이다. 등은 검은색, 회색 또는 붉은색 대리석 무늬가 있다. 손과 발의 윗부분은 검은색이며, 종종 주황색을 띤다. 꼬리는 검은색이며, 꼬리 아랫부분과 몸 앞쪽 1/3은 적갈색이다.[3]
생활사
[편집]레슨타마린은 1차 및 2차 저지대 열대우림과 안데스 산맥 기슭의 해발 500m 높이의 숲에서 발견된다. 2차림과 덤불이 무성한 숲 가장자리를 선호한다. 다른 마모셋과 마찬가지로 작은 열매와 꽃꿀, 수액 그리고 작은 동물을 먹는다. 야생에서 관찰된 무리는 5~10마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괼디원숭이와 섞여있는 무리도 관찰되었다. 레슨타마린의 행동은 현재까지 자세히 연구되지 않았다.[3][1]
분류학
[편집]레슨타마린은 1840년 프랑스의 자연학자 르네 프리므베르 레슨(René Primevère Lesson)이 처음 레온토케부스 푸스쿠스(Leontocebus fuscus)로 기술했지만 이후 갈색망토타마린의 아종으로 분류되었다. 오늘날 갈색망토타마린의 다른 많은 이전 아종들처럼, 레슨타마린은 별도의 단형종으로 간주된다. 갈색망토타마린보다는 조프루아새들백타마린과 더 가까운 종이다.[3][1]
보전상태
[편집]국제자연보전연맹의 IUCN 적색 목록에서 최소관심종으로 분류하고 있다.[1]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Palacios, E.; Spironello, W.R. (2020). “Leontocebus fuscus”. 《IUCN 적색 목록》 (IUCN) 2020. doi:10.2305/IUCN.UK.2020-3.RLTS.T42693A17980668.en.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A. B. Rylands & R. A. Mittermeier: Family Callitrichidae (Marmosets and Tamarins). Seite 324 in Russell A. Mittermeier, Anthony B. Rylands & Don E. Wilson: Handbook of the Mammals of the World: Primates: 3. (2013) ISBN 978-8496553897
- ↑ 가 나 다 A. B. Rylands & R. A. Mittermeier (2013). 〈비단원숭이과(마모셋과 타마린)〉. Russell A. Mittermeier, Anthony B. Rylands & Don E. Wilson (편집). 《세계 포유류 편람 - 영장류: 3권》. 324쪽. ISBN 978-84965538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