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투아니아-영국 관계
영국 |
리투아니아 |
|---|---|
리투아니아와 영국의 관계는 1921년 12월 20일, 리투아니아 국가의 법적 승인으로 시작되었다. 영국은 리투아니아의 주요 수출 파트너가 되었다. 리투아니아가 독립을 상실했을 때, 영국은 공식적으로 런던 주재 리투아니아 대사관을 폐쇄했지만, 대사가 계속 그 직무를 수행하도록 허용하였다.
1991년 8월 27일, 영국은 독립을 회복한 리투아니아 국가를 승인하였고, 그 직후 리투아니아의 동결된 금 보유고를 리투아니아 은행에 반환하였다. 1991년 9월 4일, 양국은 외교 관계를 재개하였다.[1]
경제, 군사, 사회 협력이 활발할 뿐만 아니라, 리투아니아와 영국은 교육, 과학, 문화 분야에서도 긴밀한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현재 리투아니아와 영국 간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관계를 규율하는 양자 협정이 8건 존재한다.[2]
역사
[편집]
비록 대부분의 무역이 잉글랜드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사이에서 폴란드의 항구 도시들을 통해 이루어졌지만, 17세기에는 일부 영국 상선이 리투아니아의 작은 항구 마을인 팔랑가에 도착하기도 했다.[3]
리투아니아와 영국은 1922년 12월 20일, 공식적으로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리투아니아는 여러 시기에 걸쳐 소련과 나치 독일의 점령을 받았다. 영국은 1940년의 소련 병합을 법적으로 결코 인정하지 않았다. 영국 전쟁 포로들은 독일 점령 하 리투아니아에 설치된 슈탈라크 루프트 VI 포로 수용소에 수감된 연합군 포로들 중 일부였다.[4]
영국은 1991년 8월 27일, 리투아니아의 독립 회복을 승인하였다. 양국은 1991년 10월, 외교 관계를 재수립하였다.
대사관 및 영사관
[편집]영국은 빌뉴스에 대사관과 클라이페다에 명예 영사관을 두고 있다. 리투아니아는 런던에 대사관을 두고 있으며, 북아일랜드, 노섬벌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웨스트미들랜즈에 다섯 개의 명예 영사관을 운영하고 있다.
개요
[편집]영국에는 약 10만 명의 리투아니아인이 거주하고 있다. 양국은 모두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정회원국이다.
2006년,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리투아니아를 방문하였다.[5]
2014년부터 리투아니아는 영국 주도의 합동 원정군에 참여하고 있다. 이 부대는 다국적 군사 협력체이다.[6]
각주
[편집]- ↑ “Jungtinė Karalystė | Politinis bendradarbiavimas | Dvišalis bendradarbiavimas | Lietuvos Respublikos užsienio reikalų ministerija”. 2014년 5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Jungtinė Karalystė | Dvišalės sutartys | Tarptautinės sutartys | Užsienio politika | Lietuvos Respublikos užsienio reikalų ministerija”. 2014년 12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Rutkowski, Jan (1923). 《Zarys gospodarczych dziejów Polski w czasach przedrozbiorowych》 (폴란드어). Poznań. 213쪽.
- ↑ Megargee, Geoffrey P.; Overmans, Rüdiger; Vogt, Wolfgang (2022).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Encyclopedia of Camps and Ghettos 1933–1945. Volume IV》. Indiana University Press,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509쪽. ISBN 978-0-253-06089-1.
- ↑ “British queen begins 'historic' visit to Baltics (Roundup) - Monsters and Critics”. 2011년 5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7월 18일에 확인함.
- ↑ “What is the Joint Expeditionary Force?”. 《House of Commons Library》. 2024년 8월 6일. 2025년 7월 2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