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아돌프 3세 폰 데어 마르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돌프 3세 폰 데어 마르크
아돌프 3세와 마르가레테, 클레베 수도 교회
아돌프 3세와 마르가레테, 클레베 수도 교회
신상정보
출생일 1334년경
사망일 1394년 9월 7일(1394-09-07)
부친 아돌프 2세 폰 데어 마르크
모친 클레베 여백작 마르가레테
배우자 마르가레테 폰 율리히
자녀 클레베 공작 아돌프 1세
마르크 백작 디트리히 9세
마르크 백작 게르하르트
마르가레테 폰 클레베
엘리자베트

아돌프 3세 폰 데어 마르크(독일어: Adolf III von der Mark, 1334년?~1394년)는 14세기 신성 로마 제국의 귀족으로, 1357년부터 1363년까지 뮌스터 주교후 (아돌프), 1363년 쾰른 대주교 선제후 (아돌프 2세), 1368년부터 1394년까지 클레베 백작 (아돌프 1세), 1391년부터 1393년까지 마르크 백작 (아돌프 3세)를 지냈다.

생애

[편집]

아돌프는 1334년경 라 마르크가의 백작 아돌프 2세 폰 데어 마르크마르가레테 폰 클레베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형 엥겔베르트 3세와 4명의 자매가 있었다. 일찍부터 성직자가 되기로 결정되어 삼촌 리에주 주교 엥겔베르트의 궁정에서 자랐다.

1357년 11월 16일 교황 인노첸시오 6세로부터 뮌스터의 주교로 임명되었다. 1362년 리에주에서 엥겔베르트와 계약을 맺고, 클레베 백작 요한이 자식 없이 사망할 경우 클레베를 상속받기로 했다. 1363년 6월 13일 얀 판 피르네뷔르흐을 제치고 쾰른 대주교로 임명되었지만, 짧은 재임기간과 논란에 휩싸이다 클레베 백국 통치에 집중하겠다는 이유로 그해 말에 사임했다.

마르크의 문장

1368년 클레베 백작 요한의 뒤를 이어 클레베 백작에 즉위하였고 리에주의 지원을 받아 클레베에서 통치를 이어나갔다. 1378년 쾰른 대주교 프리드리히 3세 폰 자르베르덴과 과부 메히틸트 사이에서 린 마을을 둘러싸고 갈등이 벌어졌다. 아돌프는 1392년 린을 포기해야 했지만 대신 레에스 마을을 양도받았다. 크산텐은 쾰른 대주교와 클레베 백작의 공동 통치하에 놓여졌다.

엥겔베르트 3세가 1391년 승계자 없이 사망하면서 마르크 백국도 상속받았다. 그러나 1393년 마르크를 아들 디트리히에게 주었다. 이후 아돌프는 1394년에 사망했으며, 클레베 백작으로는 다른 아들인 아돌프가 뒤를 이었다. 디트리히가 사망하고 아돌프 4세가 뒤를 이으면서 클레베와 마르크는 4년 후에 다시 통일되었다.

자녀

[편집]
클레베의 문장 ( 1380c.)

1369년 베르크라벤스베르크 백작 게르하르트 6세 폰 율리히의 딸 마르가레테 폰 율리히와 결혼하여 14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그 중 최소 5명은 유아기를 넘기지 못했다. 장성한 자녀는 다음과 같다.

각주

[편집]
라 마르크의 아돌프
출생: 1334년경 사망: 1394년 9월 7일 클레베
작위
로마 가톨릭교회
이전
빌헬름 폰 게네프
쾰른 대주교 선제후
베스트팔렌 앙그리아 공작
(
아돌프 2세)
1363년
이후
엥겔베르트 3세 폰 데어 마르크
이전
루트비히 폰 헤센(독일어판)
뮌스터 주교후
(
아돌푸스)
1357년~1363년
이후
얀 판 피르네부르크
작위
이전
클레베 백작 요한
클레베 백작
(
아돌프 1세)
1368년~1394년
이후
아돌프 2세
이전
엥겔베르트 3세
마르크 백작
(
아돌프 3세)
1391년~1393년
이후
디트리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