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갈란코사우루스
|
| ||
|---|---|---|
| 화석 범위: 트라이아스기 후기 ~ 215.56–212.0백만년 전 | ||
완모식 화석표본 | ||
골격 모식도 (기준자: 1cm) | ||
| 생물 분류ℹ️ | ||
| 계: | 동물계 | |
| 문: | 척삭동물문 | |
| 강: | 파충강 | |
| (미분류): | †드레파노사우루스형류 | |
| 과: | †드레파노사우루스과 | |
| 속: | †메갈란코사우루스속 Calzavara, Muscio & Wild 1981 | |
| 종 | ||
|
| ||
메갈란코사우루스(학명: Megalancosaurus)는 북이탈리아의 트라이아스기 후기 돌로미아 디 포미 지층(Dolomia di Forni Formation) 및 조르지노 석회암층(Zorzino Limestone)에서 발견된 멸종한 파충류의 한 속으로, 가장 잘 알려진 드레파노사우루스과 가운데 하나이다. 모식종은 M. preonensis로, 이 동물의 학명을 번역하면 '프레오네 계곡으로부터의 긴 팔을 가진 파충류'가 된다.[2]
해부구조
[편집]

메갈란코사우루스는 크기가 꽤 작아 성체의 몸길이가 겨우 약 25cm 정도이다. 카멜레온을 닮아, 아마도 비슷하게 교목성 생활을 한 것으로 보이며, 곤충과 기타 작은 동물들을 잡아먹었다. 발조차 카멜레온과 똑같이 생겼는데, 두 개의 발가락이 나머지 발가락들과 정반대에 위치해 있다. 꼬리는 길고 무언가를 휘어 잡을 수 있으며, 갈고리 모양의 특이한 기관이 꼬리 끝에 척추와 융합되어 달려 있다. 어깨는 강한 근육의 부착면으로 작용하는 기갑을 형성한다.[2]
일부 화석표본의 발에는 반대 방향에 있는 발가락들이 있다. 메갈란코사우루스속의 모든 구성원들이 이러한 발가락을 가지고 있지는 않기 때문에, 성적 이형의 한 예시일 뿐만 아니라, 짝짓기 동안 가지를 더 강하게 잡을 필요가 있는 성별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2]
메갈란코사우루스의 머리는 외형상 새를 매우 닮았다. 두개골의 길이는 대략 30mm, 높이 12mm이다. 눈은 매우 크며 주둥이는 좁다. 주둥이 끝 부분에 최소 22개의 작은 상악치와 치극(齒隙)으로 분리된 두 개의 작은 전상악치가 달려있다.[3] 안와는 전방을 향해 있어, 메갈란코사우루스가 양안시를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1]
메갈란코사우루스속 중 두 종이 동일한 생태적 지위를 차지하지 않는 것과 같이 서로 다른 미소 서식 환경에 살면서 공존할 수 있었다.[4]
메갈란코사우루스가 활공이 가능한 동물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지만,[5] 완전히 배제되지는 않았으나 대부분 기각되었다.[6]
역사
[편집]메갈란코사우루스 프레오넨시스(학명: Megalancosaurus preonensis)가 1980년에 최초로 기재되었다.[2] 발견자들은 이 동물을 전안와창을 가지고 있다는 믿음에 어느 정도 근거하여 이를 조룡류의 하나로 해석했다. 1994년, 두 개의 화석표본이 처음에 드레파노사우루스의 아성체로 여겨졌다가 메갈란코사우루스에 속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7] 이 발견으로 인해 메갈란코사우루스가 실은 드레파노사우루스과에 속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 후, 드레파노사우루스과에서 가장 분화된 종 중 하나로 여겨졌다.[1]
근연 동물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Silvio Renesto; Justin A. Spielmann; Spencer G. Lucas; Giorgio Tarditi Spagnoli (2010). “The taxonomy and paleobiology of the Late Triassic (Carnian-Norian: Adamanian-Apachean) drepanosaurs (Diapsida: Archosauromorpha: Drepanosauromorpha)”.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Bulletin》 46: 1–81.
- ↑ 가 나 다 라 Calzavara M., Muscio G.; Wild R. (1980). “Megalancosaurus preonensis, n. g., n. sp., a new reptile from the Norian of Friuli”. 《Gortania》 2: 49–63.
- ↑ Renesto, S.; Dalla Vecchia, F. M. (2005). “The skull and lower jaw of the holotype of Megalancosaurus preonensis (Diapsida, Drepanosauridae) from the Upper Triassic of Northern Italy”. 《Rivista Italiana di Paleontologia e Stratigrafia》 111: 247–257.
- ↑ Renesto, S.; Saller, F. (2023). “Differences in the hindlimb anatomy in the two species of the Late Triassic drepanosauromorph diapsid Megalancosaurus indicate habitat partitioning within the arboreal environment”. 《Rivista Italiana di Paleontologia e Stratigrafia》 129 (2): 309–328. doi:10.54103/2039-4942/19176.
- ↑ Ruben, R. R. (1998). Gliding adaptations in the Triassic archosaur Megalancosauru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18 (3), 73A.
- ↑ Renesto, S. (2000). Bird-like head on a chameleon body: new specimens of the enigmatic diapsid reptile Megalancosaurus from the Late Triassic of Northern Italy. Rivista Italiana di Paleontologia e Stratigrafia (Research In Paleontology and Stratigraphy), 106(2).
- ↑ Renesto, S. (1994). “Megalancosaurus, a possibly arboreal archosauromorph (Reptilia) from the Upper Triassic of Northern Italy”.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14: 47–62. doi:10.1080/02724634.1994.10011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