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디브-인도 관계
![]() | |
![]() 인도 |
![]() 몰디브 |
---|---|
외교 공관 | |
인도 주재 고등판무관 사무소 | 몰디브 주재 고등판무관 사무소 |
사절 | |
대사 | 대사 |
몰디브와 인도는 해상 국경을 접한 이웃 국가이다.[1][2] 인도는 몰디브의 안보 유지와 재정 지원에 기여하고 있다.[2][3][4]
그러나 몰디브 대통령 모하메드 무이주가 "인도 아웃" 운동을 추진하고, 몰디브가 중국과의 관계를 심화시키면서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었다. 또한 몰디브 장관들이 인도의 락샤드위프 제도와 인도 총리 나렌드라 모디를 모욕하는 발언을 하면서 긴장은 더욱 높아졌다.
이는 5억 달러 규모의 그레이터 말레 프로젝트에 이어 인도의 두 번째로 큰 진행 중인 인프라 조림 사업을 의미한다. 그레이터 말레 프로젝트는 수도 말레를 인근의 세 개 고지와 연결하는 길이 6.74km의 해상 교량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5]
몰디브와 인도는 모두 영연방의 공화국이다. 인도는 말레에 고등판무관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몰디브는 뉴델리에 고등판무관 사무소를 두고 있다.
2025년 7월, 인도와 몰디브는 인도가 몰디브 인프라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5억 6,500만 달러 규모의 신용 공여를 제공하면서 양국 관계를 재활성화하였다. 양측은 또한 몰디브의 대인도 연간 부채 상환액을 40% 줄이기로 합의하고, 수산업, 디지털 인프라, 보건 등 분야에서 여섯 건의 협력 협정을 체결하였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모하메드 무이주 몰디브 대통령 간 회담은 이전의 긴장 이후 관계가 완화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양국 정상은 경제 및 국방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주요 성과로는 자유무역협정 추진, UPI와 같은 디지털 결제 시스템의 도입 확대, 인도의 지원으로 건설된 사업의 준공 등이 있었다. 양국의 새롭게 강화된 파트너십은 지역 평화와 인도양의 안정에 중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6]
역사
[편집]몰디브는 인도양에서 인도의 락샤드위프 제도의 남쪽에 위치한다. 양국은 1965년 몰디브가 영국의 지배로부터 독립한 이후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1] 인도는 몰디브의 독립을 인정한 최초의 국가들 중 하나였다.[7] 그 이후로, 인도와 몰디브는 긴밀한 전략적, 군사적, 경제적 그리고 문화적 관계를 발전시켜 왔다. 인도는 몰디브가 지역의 문제들과 투쟁들을 자신으로부터 멀리 두려는 정책을 지지해 왔으며, 후자는 인도와의 우정을 원조의 원천이자, 섬나라에 인접해 있고 가장 큰 교역 상대인 스리랑카에 대한 균형추로 보아 왔다.[2]
양자 조약 및 전략적 파트너십
[편집]1976년 해양 조약
[편집]1976년 12월, 인도와 몰디브는 해양 경계에 합의하기 위해 해양 경계 조약을 체결하였다.[8] 조약은 미니코이를 경계선의 인도 측에 두는 것을 명시하였다.[8] 인도와 몰디브는 1976년에 공식적이고 우호적으로 그들의 해양 경계를 결정하였다.[2] 1982년에 소규모 외교 사건이 발생했는데, 당시 대통령 마우문 압둘 가윰의 형제 압둘라 하미드가 연설을 했고, 인도는 그것을 인근의 인도에 속한 미니코이 섬이 몰디브의 일부라는 주장으로 오해하였다. 몰디브는 즉시 자신들이 그 섬에 대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 아님을 공식적으로 부인하였으며, 대통령 마움운의 형제가 실제로는 몰디브와 미니코이 사이의 문화적 연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었다고 설명하였다.[2]
1981년 포괄적 무역 협정
[편집]1981년에 인도와 몰디브는 포괄적 무역 협정을 체결하였다.[9] 양국은 남아시아 지역 협력 연합(SAARC), 남아시아 경제 연합의 창립 회원국이며 남아시아 자유 무역 협정의 서명국이다. 인도와 몰디브의 지도자들은 지역 문제들에 대해 고위급 접촉과 협의를 유지해 왔다.[1]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China – India relations”.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2009년 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Aryasinha, Ravinatha. “Maldives, Sri Lanka and the "India Factor"”. 《Himal South Asia Magazine》. 2008년 5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5일에 확인함.
- ↑ Devin T. Hagerty (2005). 《South Asia in World Politics》. Rowman and Littlefield. 102–103쪽. ISBN 0-7425-2587-2.
- ↑ “India extends financial assistance of 100 million US dollars to Maldives”. 《All India Radio News》. 2023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Nanda, Prakash (2023년 5월 3일). “India 'Shadowboxes' China In The Maldives; Looks To Knock Out Chinese Challenge In The Indian Ocean Nation”. 《The EurAsian Times》. 2023년 9월 22일에 확인함.
- ↑ https://www.moneycontrol.com/news/india/india-announces-rs-4-850-cr-loc-for-maldives-modi-says-ties-between-two-neighbours-as-deep-as-ocean-13329110.html.
|제목=
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 Malone, David M (2012년 8월 30일). 《Does the Elephant Dance?: Contemporary Indian Foreign Policy》. Oxford. ISBN 9780199661275.
- ↑ 가 나 "India–Maldives: Agreement between India and the Maldives on Maritime Boundary in the Arabian Sea and Related Matters", in Jonathan I. Charney and Lewis M. Alexander (eds., 1998). International Maritime Boundaries (Leiden: Martinus Nijhoff Publishers, ISBN 978-90-411-0345-1) pp. 1389–1399.
- ↑ “Action plan to strengthen bilateral ties with Maldives”.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2009년 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몰디브-인도 관계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