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로
보이기
광주광역시도 | |
---|---|
5 ![]() | |
무등로 | |
광주광역시도 제5호선 | |
총연장 | 15.75km |
개통년 | 1970년대~1980년대 사이 |
기점 | 광주광역시 북구 운암동 |
주요 경유지 |
광주역 |
종점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
주요 교차도로 |
하남대로 죽봉대로 자미로 자동차로 태봉로 경열로 재봉로 독립로 중앙로 참판로 경양로 필문대로 밤실로 |

무등로(無等路, Mudeung-ro, 광주광역시도 제5호선)는 광주광역시 북구 운암동에서 금곡동을 잇는 도로이다. 무등로는 총 연장 15.75km이며, 구간에 따라서 2차선, 4차선, 6차선으로 분화한다. 도로 이름은 무등산에서 따왔다.[1]
노선
[편집]이름[2]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이름없음) | 하남대로 | 광주광역시 | 북구 | |
(이름없음) | 죽봉대로 | |||
무등경기장
사거리 |
금호 | |||
신안사거리 | 자미로 | |||
(이름없음) | 자동차로 | |||
광주역앞 | 태봉로 | |||
경열로 | 동구 | |||
재봉로 | ||||
시청사거리 | 독립로 | |||
산장입구 사거리 | 중앙로 | 남구 | ||
(이름없음) | 참판로 | 동구 | ||
산수오거리 | 경양로 | |||
필문대로 | ||||
(이름없음) | 밤실로 | |||
무등산과 직결 |
관광
[편집]광주역에서 무등산까지 가는 순환버스를 운영한다.[3] 무등산국립공원, 원효사, 장불재, 입석대를 지나간다.[4]
주요 건물 및 시설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무등로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남구”. 2025년 7월 9일에 확인함.
- ↑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 ↑ “광주대표 ‘무등산’, 국가대표 산으로 거듭나다”. 2013년 4월 3일. 2025년 7월 9일에 확인함.
- ↑ “광주 여행 순위”. 2025년 7월 9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광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