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바부람 바타라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바부람 바타라이
बाबुराम भट्टराई
바부람 바타라이(2017년)
바부람 바타라이(2017년)
네팔제36대 총리
임기 2011년 8월 29일~2013년 3월 14일
대통령 람 바란 야다브
전임 잘라 나트 카날(제35대)
후임 킬 라즈 레그미(제37대)
신상정보
출생일 1954년 6월 18일(1954-06-18)(71세)
출생지 네팔 왕국 코플랑
국적 네팔
학력 트리부반 대학교, 자와할랄 네루 대학교
정당 네팔 사회당
배우자 히실라 야미
자녀 1명

바부람 바타라이(네팔어: बाबुराम भट्टराई, 1954년 6월 18일~)는 네팔의 정치인, 건축가이자 전 네팔 총리로, 현재는 네팔 사회당의 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다.[1]

바타라이 전 총리는 새로운 정당인 나야 샥티당, 네팔을 창당하기 전, 네팔 공산당 (마오주의 센터)의 장기 지도부원이자 부위원장을 역임하였다.[2] 이후 그는 민주사회주의를 수용하였다.[3]

정치 경력

[편집]

1996년, 마오주의 세력은 네팔 내전을 시작하였으며, 이는 네팔 정치 체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 10년에 걸친 이 내전으로 17,000명 이상의 네팔인이 사망하였으며, 이는 네팔이 군주제에서 공화제로 전환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바타라이는 2008년 고르카 1선거구에서 마오주의 후보로 제헌의회에 선출되었으며, 선거 후 구성된 내각에서 재무장관을 맡았다.

바타라이는 2011년 총리가 되었다. 2012년 5월, 제1차 네팔 제헌의회 해산 이후 이어진 정치적 교착 상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그는 2013년 6월 21일까지 선거를 실시할 임시 정부의 수장으로 최고재판소장 킬 라즈 레그미에게 총리직을 넘겼다.[4] 그는 사임 전까지 마오주의당 상임위원회 고위위원 및 부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15년 9월 26일, 그는 모든 당직과 당 관련 책임에서 사임하였다. 이후 그는 나야 샥티당의 조정자를 맡았으며, 2019년 기준으로 나야 샥티당과 연방 사회주의 포럼, 네팔의 합병으로 창당된 신당인 네팔 사회당의 연방위원회 의장을 역임하였다. 이후 네팔 사회당은 라스트리야 자타당과 합병하여 네팔 인민사회주의당을 형성하였다.

휴전

[편집]

네팔 내전 동안 여러 차례 휴전이 이루어졌다.[5] 가장 최근에는 2006년 4월 26일, 프라찬다가 90일간 유효한 휴전을 선언하였다. 이 조치는 2006년 4월, 카트만두 등지에서 벌어진 대규모 총파업과 시위가 수주간 이어진 후 나왔다. 이 시위는 2005년 2월 1일, 개인 독재를 수립했던 국왕 갸넨드라가 이를 포기하고, 2002년 5월, 해산된 의회를 복원하도록 압박하였다.

이후 7개 정당 연합에 의해 새로운 정부가 구성되었다. 의회와 새로운 정부는 휴전을 지지하며, 마오주의 세력과 12개 조항 합의를 바탕으로 협상을 시작하였다. 양측은 새로운 헌법을 작성하고 군주제의 운명을 결정할 제헌의회를 선출하기로 합의하였다. 마오주의 세력은 이 과정이 네팔이 공화국이 되는 것으로 끝나기를 원했다.[6]

총리직

[편집]

바타라이는 제36대 네팔 총리로 선출되었다.[7] 그는 네팔 공산당 (마오주의 센터) 소속으로 당선되었으며, MJF (민주주의), MJF (공화주의), TMLP, TMSP, 네팔 사드바와나당 파벌 등 소규모 정당들의 지지를 받았다.[8] 바타라이는 2011년 8월 29일부터 2013년 3월 14일까지 국가를 이끌었다.[9] 재임 기간 동안 그는 링 로드 확장 등 여러 모범적인 정책을 수행하였다.[10]

각주

[편집]
  1. Sen, Sandeep (2017년 11월 19일). “Bhattarai says he has not renounced Marxism yet” (영어). 《The Himalayan Times》. 2022년 2월 17일에 확인함. 
  2. “The end of the Nepali Maoists in sight as Baburam Bhattarai resigns” (영어). 《Hindustan Times》. 2015년 9월 27일. 2022년 2월 17일에 확인함. 
  3. Sureis (2017년 12월 4일). “Democratic socialism, not communism, is need of the hour: Baburam Bhattarai” (영어). 《The Himalayan Times》. 2022년 2월 17일에 확인함. 
  4. “Nepal's Chief Justice takes the oath”. Deccanherald.com. 2013년 3월 14일. 201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5. Kamala Sarup (ed.), "Maoists declare three-month-long ceasefire," 보관됨 17 7월 2011 - 웨이백 머신 Peace Journalism/Nepal News, (3 September 2005).
  6. "Nepal Maoist rebels declare truce," BBC (27 April 2006).
  7. “Baburam Bhattarai elected prime minister of Nepal” (영국 영어). 《BBC News》. 2011년 8월 28일. 2022년 2월 17일에 확인함. 
  8. Chapagain, Kiran (2011년 8월 28일). “Nepal Elects a Maoist as Prime Minister” (미국 영어).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2022년 2월 17일에 확인함. 
  9. “Nepal Prime Minister Bhattarai expands cabinet” (영어). 《The Hindu》. 2016년 8월 11일. ISSN 0971-751X. 2022년 2월 17일에 확인함. 
  10. “ringroad project in baburam - Google Search”. 《www.google.com》. 2022년 2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전임
잘라 나트 카날
제36대 네팔의 총리
2011년~2013년
후임
킬 라즈 레그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