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박쥐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쥐란
재배된 개체
재배된 개체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문: 양치식물문
강: 양치식물강
목: 고사리목
아목: 고란초아목
과: 고란초과
아과: 박쥐란아과
속: 박쥐란속
종: 박쥐란
(P. bifurcatum)
학명
Platycerium bifurcatum
(Cav.) C.Chr.[1][2]

학명이명

[2]

  • Alcicornium bifurcatum (Cav.) Underw. (1905)
  • Platycerium bifurcatum var. normale Domin (1915)
  • Acrostichum bifurcatum Cav. (1799)
향명
  • 영어: common staghorn fern, common elkhorn fern[3]

박쥐란(학명Platycerium bifurcatum 플라티케리움 비푸르카툼[*])은 자바섬, 발리주, 뉴기니섬, 뉴사우스웨일스주, 퀸즐랜드주로드하우섬이 원 서식지인 고란초과 고사리의 일종이다.

특징

[편집]

우림 안팎에 서식하는 착생식물이다. 높이 90cm, 너비 80cm까지 자란다. 길이 12~45cm이고 심장 모양의 영양엽과, 잎 끝이 두 갈래로 갈라져 있고 끈 모양이며 길이 90cm까지 자라는 아치형의 회녹색 생식엽을 가지고 있다.[3]

학명의 뜻

[편집]

속명 Platycerium은 그리스어 'platys'(플라티스,평평한)와 'ceras' (케라스, 뿔)의 합성어이며, 종소명 bifurcatum은 갈라진 것을 의미한다. 두 이름 모두 생식엽의 형태를 나타낸다.[4]

생태

[편집]

박쥐란의 군락 중 일부는 다양한 역할에 특화된 개체가 보인다. 군락 중 바닥 근처에 사는 개체들은 영양엽을 생성하는데, 이 고사리잎은 위에 있는 소설편엽을 생성해 수집한 물을 흡수한다. 소설편엽 생산 개체는 위에서 부스러기를 수집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양분과 저장된 물은 박쥐란 군락과 공유되는 것으로 보인다. 집합체에서 박쥐란의 중복된 세대에서 보이는 사실에 덧붙여, 이러한 관찰은 박쥐란이 진사회성의 초기 형태를 보일 수 있다는 가설로 이어졌다.[5]

재배

[편집]

박쥐은 정원용 화초로 재배된다. 최소 온도 요구 사항이 5 °C (41 °F)이므로, 온대 지역에서는 보호받는 곳 중 야외에서 재배하거나 실내용화초로 재배할 수 있다.[3] 왕립원예협회가든 메리트 상을 수상했다.[6]

각주

[편집]
  1. “Platycerium bifurcatum”. 《Australian Plant Census (APC)》. Centre for Plant Biodiversity Research, Australian Government. 
  2. “Platycerium bifurcatum (Cav.) C.Chr.”. 《Plants of the World Onlin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4. 2024년 3월 31일에 확인함. 
  3. 《RHS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United Kingdom: Dorling Kindersley. 2008. 1136쪽. ISBN 978-1405332965. 
  4. “Platycerium bifurcatum - Growing Native Plants”. 《Australian National Botanic Gardens》. Australian Government. 
  5. Burns, K. C.; Hutton, Ian; Shepherd, Lara (September 2021). “Primitive eusociality in a land plant?”. 《Ecology》 102 (9). doi:10.1002/ecy.3373. 
  6. “RHS Plant Selector - Platycerium bifurcatum”. 2021년 2월 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