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박쥐란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쥐란속
캔버라의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식물원에 있는 박쥐란
캔버라오스트레일리아 국립 식물원에 있는 박쥐란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문: 양치식물문
강: 양치식물강
목: 고사리목
아목: 고란초아목
과: 고란초과
아과: 박쥐란아과
속: 박쥐란속
(Platycerium)

Desv.
향명
  • 영어: staghorn, elkhorn fern

박쥐란속(학명Platycerium 플라티케리움[*])은 고란초과에 속하는 약 18개의 고사리 종으로 이루어진 속이다. 이 속에 속하는 고사리는 특이한 생김새의 고사리잎 때문에 영명이 staghorn, elkhorn fern이다. 박쥐란속은 착생식물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뉴기니 등의 ·열대 지역이 원 서식지이다.[1]

특징

[편집]

박쥐란속의 포자체(어른식물)는 짧은 뿌리줄기에서 자라는 꼬인 뿌리를 가지고 있으며 두 가지 유형의 잎(영양엽과 생식엽)을 가지고 있다. 영양엽(Basal frond)은 비생식성이며 방패 또는 콩팥 모양이고 손상과 건조로부터 박쥐란의 뿌리를 지키기 위해 나무에 적층되어 있다. 일부 박쥐란류 종의 경우, 이런 잎의 윗부분 가장자리는 열린 형태의 엽관으로 자라난다.

생식엽(Fertile frond)은 잎의 뒷면에 포자가 있으며, 두 갈래로 쪼개지거나 사슴뿔 모양이 되고, 뿌리줄기에서 튀어나오거나 매달린다. 포자는 보통 잎의 끄트머리에 위치하는 커다란 포자낭군(胞子囊群)에 모여있는 포자낭에서 나오며, 특수화된 대가 있는 잎에 있거나(예: 리들리박쥐란과 왕관박쥐란), 또는 잎들 사이에 있는 결각(缺刻)에 있다.[2]

일부 박쥐란류는 단 하나의 뿌리줄기만 가지고 있는 단생(單生)이다. 다른 종들은 뿌리줄기가 갈라지거나 뿌리 끝에서 새로운 뿌리줄기가 형성될 때 군집을 형성한다. 조건이 맞추어지면 포자들이 주변의 자연적으로 발아하게 된다. 박쥐란속의 생식자는 작으며 심장 모양의 엽상체(葉狀體)가 생긴다.[출처 필요]

박쥐란속은 네 개의 자연 무리로 나뉘어 있다. 여러 박쥐란류는 건생(乾生) 조건에 강하게 적응하고 있으며, 자연적으로 가뭄에 강한 크레슐산 대사P. veitchii에 대해 보고된 바 있다.[3]


하위 종

[편집]
그림 이름 및 학명 분포
마다가스카르박쥐란
Platycerium alcicorne Desv .
마다가스카르, 코모로스섬, 모리셔스, 레위니옹, 세이셸, 케냐, 모잠비크, 탄자니아, 짐바브웨
안데스박쥐란
Platycerium andinum Baker
콜롬비아, 볼리비아, 페루
박쥐란
Platycerium bifurcatum (Cav.) C. Chr .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즈주, 퀸즐랜드주, 노퍽섬 준주, 로드호우섬)
왕관박쥐란
Platycerium coronarium (J. Koenig ex O. F. Müll.) Desv .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섬, 칼리만탄, 자바섬 서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제도, 태국, 캄보디아, 미얀마, 베트남
엘리스박쥐란
Platycerium ellisii Baker
마다가스카르의 안트시라나나와 토아마시나에서만 서식
코끼리박쥐란
Platycerium elephantotis Schweinf.
가나, 가봉, 기니아, 나이제리아, 남수단, 라이베리아, 르완다, 말라위, 모잠비크, 부룬디, 베닌, 수단, 시에라리온, 세네갈, 앙골라, 우간다, 에티오피아, 잠비아, 짐바브웨,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콩고, 콩고민주공화국, 케냐, 탄자니아, 토고 및 아프리카 열대 지역
대왕박쥐란
Platycerium grande (Fée) Kunze)
필리핀의 민다나오와 인도네시아의 북술라에시 및 고론탈로
힐박쥐란
Platycerium hillii T. Moore (Platycerium bifurcatum var. hillii (T. Moore) Domin라는 변종으로도 부름)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주, 파푸아뉴기니 및 파푸아인도네시아
홀텀박쥐란
Platycerium holttumii de Jonch. & Hennipman
말레이시아의 북반도에 있는 페를리스주·케다주·페락주·켈란탄주, 태국, 인도차이나
서마다가스카르박쥐란
Platycerium madagascariense Baker
마다가스카르의 안치라나나, 피아나란초아, 토아마시나
네갈래잎박쥐란
Platycerium quadridichotomum (Bonap.) Tardieu
Madagascar only in Ankarana, Bemaraha, Bemarivo, Montagne d'Ambre including Fôret d'Ambre.
리들리박쥐란
Platycerium ridleyi Christ
말레이시아, 태국 남부,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칼리만탄섬
세모사슴뿔란
Platycerium stemaria (P. Beauv.) Desv.
가봉, 기니비사우, 라이베리아, 베닌, 수단·남수단, 사오토메, 세네갈, 앙골라, 우간다, 적도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카메룬, 콩고, 콩고민주공화국, 프린시페 및 아프리카 열대 지역
대왕사슴뿔란
Platycerium superbum de Jonch. & Hennipman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주 및 뉴사우스웨일즈주
Platycerium veitchii (Underw.) C. Chr. (Syn .: Platycerium bifurcatum subsp. Veitchii (Underw.) Hennipman & M. C. Roos) 퀸즐랜드주
월리치박쥐란
Platycerium wallichii Hook .
인도 북동부, 태국,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윈난성 서부
완다박쥐란
Platycerium wandae Racib .
파푸아뉴기니, 인도네시아 파푸아 및 말루쿠섬
자바박쥐란
Platycerium willinckii T. Moore (Platycerium bifurcatum subsp. willinckii (T. Moore) Hennipman & M. C. Roos로 부르기도 함).
술라웨시섬과 자바

사진첩

[편집]

각주

[편집]
  1. Hennipman, E. (1982). 《A monograph of the fern genus Platycerium (Polypodiaceae)》. Verhandelingen der Koninklijke Nederlandse Akademie van Wetenschappen, Afd. Natuurkunde. Tweede reeks. Amsterdam; New York: North-Holland. ISBN 0444855696. 
  2. Hoshizaki, Barbara Joe (1972). “Morphology and Phylogeny of Platycerium Species”. 《Biotropica》 4 (2): 93–117. Bibcode:1972Biotr...4...93H. doi:10.2307/2989731. JSTOR 2989731. 
  3. Kreier, Hans-Peter; Schneider, Harald (2006).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the staghorn fern genus Platycerium (Polypodiaceae, Polypodiidae)”. 《American Journal of Botany》 93 (2): 217–225. Bibcode:2006AmJB...93..217S. doi:10.3732/ajb.93.2.217. ISSN 0002-9122. PMID 21646182. 
  • Holtum, Joseph A.M.; Klaus Winter (1999년 1월 1일). “Degrees of crassulacean acid metabolism in tropical epiphytic and lithophytic ferns”. 《Functional Plant Biology》 26 (8): 749–757. Bibcode:1999FunPB..26..749H. doi:10.1071/PP99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