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대왕박쥐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왕박쥐란
『쿤스트포르멘 데어 나투어』에 묘사된 대왕박쥐란(가운데) (1904)
『쿤스트포르멘 데어 나투어』에 묘사된 대왕박쥐란(가운데) (1904)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문: 양치식물문
강: 양치식물강
목: 고사리목
아목: 고란초아목
과: 고란초과
아과: 박쥐란아과
속: 박쥐란속
종: 대왕박쥐란
(P. grande)
학명
Platycerium grande
(Fée) Kunze (1850)[1]
향명

대왕박쥐란(학명Platycerium grande 플라티케리움 그란데[*])은 고란초과에 속하는 양치류 착생식물의 일종이다. 필리핀에 분포하는 두 종의 고유종 박쥐란 중 하나로,(다른 하나는 왕관박쥐란이다.) 민다나오섬잠보앙가주·라나오주·다바오주가 원 서식지이다.[2] 대왕박쥐란은 숲에서 자주 채집되어 매우 귀한 관상용 식물로 판매된다. 과도한 채집과 자연 조건에서 포자가 발아하기 어려운 점 때문에[3] 대왕박쥐란의 대량 생산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시험관 내 기술이 필요하다.[4] 해당 지역 정부에서는 이 박쥐란을 절멸위급종으로 분류했다.[5] 필리핀어로 다퐁 레폴료(dapong repolyo, 공중 배추)라고 부른다.[3]

사진첩

[편집]

각주

[편집]
  1. 국제식물정보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Plant Information, IOPI). “식물명 검색 결과” (HTML). 《국제식물명 목록(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2. Barcelona, Julie; Nickrent, Dan. “Pteridophytes (Lycophytes & Monilophytes)”. 《Co's Digital Flora of the Philippines》. Association of Tropical Biology & Conservation. 2018년 11월 28일에 확인함. 
  3. Amoroso, Victor; Coritico, Fulgent; Briones, Niko Niño. “Saving endangered and endemic ferns”. 《Philippine Council for Agriculture, Aquatic and Natural Resources Research and Development (PCAARRD)》. Central Mindanao University (CMU). 2018년 11월 28일에 확인함. 
  4. Aspiras, Reyno A. (2010년 1월 1일). “Sporophyte and gametophyte development of Platycerium coronarium (Koenig) Desv. and P. grande (Fee) C. Presl. (Polypodiaceae) through in vitro propagation”. 《Saudi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17 (1): 13–22. doi:10.1016/j.sjbs.2009.12.003. ISSN 1319-562X. PMC 3730856. PMID 23961053. 
  5. “Updated national list of threatened Philippine plants and their categories” (PDF). 《Co Digital Flora of the Philippines》. Philippine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DENR). 2018년 9월 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