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이트병
![]() | |
---|---|
![]() | |
1827년부터 1831년 사이에 리처드 브라이트가 쓰고 롱맨에서 출판된 《Reports of Medical Cases》의 런던 웰컴 도서관 소장본에 실려 있는 병든 신장의 그림 | |
진료과 | 신장학 |
브라이트병(Bright's disease)은 현대 의학에서 급성 또는 만성 신장염으로 분류되는 신장병들의 역사적 명칭이다.[1] 이 질환의 특징으로는 부종과 소변 내 알부민의 존재 등이 있다. 또한 고혈압과 심장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았다.
증상 및 징후
[편집]1827년에 영국의 의사인 리처드 브라이트가 브라이트병의 징후 및 증상을 처음 기술했으며, 질환명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브라이트는 자신의 저서인 《Reports of Medical Cases》에서[2] 신장 질환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이는 25건의 부종 사례를 설명했다. 주요 증상과 징후로는 장막의 염증, 출혈, 뇌졸중(apoplexy), 경련, 실명, 혼수상태 등이 있었다.[3][4] 이러한 환자들 가운데 다수는 소변에서 알부민이 검출되었으며(숟가락과 촛불 열을 이용한 응고법으로 확인), 사후 부검에서 신장에 뚜렷한 병리학적 변화가 관찰되었다.[5] 수종, 소변 내 알부민, 신장 질환이라는 삼합(triad)은 이후 브라이트병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간주되었다.[3]
이후 브라이트와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는 심장비대와의 연관성을 보여주었으며, 브라이트는 이를 심장 자극에 의한 결과로 보았다. 프레더릭 아크바르 마호메드는 소변에서 알부민이 나타나기 전에 혈압이 상승할 수 있음을 밝혔고, 이러한 혈압 상승과 혈류 저항 증가가 심장 비대의 원인으로 여겨졌다.[4]
오늘날에는 브라이트병이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한 신장 질환들에 의해 발생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1][5][6] 따라서 ‘브라이트병’이라는 용어는 역사적인 명칭으로만 사용되며, 현대 의학적 진단에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7] 브라이트병은 당뇨병 환자들에게 자주 진단되었으며,[4] 이들 사례 중 적어도 일부는 오늘날의 진단 기준으로는 당뇨병성 콩팥병증에 해당할 가능성이 있다.
치료
[편집]브라이트병은 과거에 온욕, 사혈, 해총, 디기탈리스, 수은 화합물, 아편, 이뇨제, 완하제 등을 비롯해[2][8] 술, 치즈, 붉은 고기 등을 피하는 식이요법으로 치료되었다. 독일인 아널드 에레은 브라이트병 진단을 받았고, 유럽에서 가장 저명한 의사 24명에게 불치 판정을 받았다. 에레트은 자신만의 식이요법인 ‘무점액 식이 치유 시스템’(The Mucusless Diet Healing System)을 고안했고, 이 식단을 통해 병을 치유했다고 주장했다. 미국의 의사인 윌리엄 하워드 헤이 또한 브라이트병을 앓았으며, ‘헤이 다이어트’를 통해 스스로 병을 고쳤다고 전해진다.[9]
각주
[편집]- ↑ 가 나 Cameron, J. S. (1972년 10월 14일). “Bright's Disease Today: The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Glomerulonephritis—I”. 《British Medical Journal》 4 (5832): 87–90. doi:10.1136/bmj.4.5832.87. ISSN 0007-1447. PMC 1786202. PMID 4562073.
- ↑ 가 나 Bright, R (1827–1831). 《Reports of Medical Cases, Selected with a View of Illustrating the Symptoms and Cure of Diseases by a Reference to Morbid Anatomy, vol. I》. London: Longmans.
- ↑ 가 나 Millard, Henry B. (1884년 1월 1일). 《A treatise on Bright's disease of the kidneys; its path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 New York, W. Wood & Company.
- ↑ 가 나 다 “A treatise on Bright's disease and diabetes: with especial reference to pathology and therapeutics”. 《archive.org》. 2016년 7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Peitzman, Steven J. (1989년 1월 1일). “From Dropsy to Bright's Disease to End-Stage Renal Disease”. 《The Milbank Quarterly》 67: 16–32. doi:10.2307/3350183. JSTOR 3350183. PMID 2682170. S2CID 8806903.
- ↑ Wolf G (2002). “Friedrich Theodor von Frerichs (1819–1885) and Bright's disease”. 《American Journal of Nephrology》 22 (5–6): 596–602. doi:10.1159/000065291. PMID 12381966. S2CID 42309693.
- ↑ Peitzman SJ (1989). “From dropsy to Bright's disease to end-stage renal disease”. 《The Milbank Quarterly》 67 (Suppl 1): 16–32. doi:10.2307/3350183. JSTOR 3350183. PMID 2682170. S2CID 8806903.
- ↑ Saundby, Robert (2013년 10월 22일). 《Lectures on Bright's Disease》 (영어). Butterworth-Heinemann. ISBN 9781483195360.
- ↑ Gilman, Goldwin Smith Professor of Human Studies Sander L.; Gilman, Sander L. (2008년 1월 23일). 《Diets and Dieting: A Cultural Encyclopedia》 (영어). Routledge. ISBN 9781135870683.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브라이트병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