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살찐꼬리쇠주머니쥐
보이기
|
| |
|---|---|
| 생물 분류ℹ️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아강: | 수아강 |
| 하강: | 유대하강 |
| 목: | 주머니쥐목 |
| 과: | 주머니쥐과 |
| 아과: | 주머니쥐아과 |
| 속: | 살찐꼬리쇠주머니쥐속 |
| 종: | 아르헨티나살찐꼬리쇠주머니쥐 (T. sponsorius) |
| 학명 | |
| Thylamys sponsorius | |
| Thomas, 1921 | |
| 아르헨티나살찐꼬리쇠주머니쥐의 분포 | |
![]() 아르헨티나살찐꼬리쇠주머니쥐의 분포 | |
| 보전상태 | |
|
| |
아르헨티나살찐꼬리쇠주머니쥐 (Thylamys sponsorius)는 주머니쥐과에 속하는 주머니쥐의 일종이다.[2] 아르헨티나 북부 지역과 볼리비아 남부 지역의 안데스산맥 동쪽 구릉 지대에서 발견된다.[1] 등쪽 철은 회색빛 갈색부터 짙은 갈색을 띤다. 복부 쪽 털은 흰색부터 누르스름한 색을 띠는 가슴 쪽 털을 제외하고는 회색 기반의 색을 띤다. 신데렐라살찐꼬리쇠주머니쥐와는 안와 뒤쪽의 융기부가 다르다. 신데렐라살찐꼬리쇠주머니쥐는 새끼와 부모 모두 눈구멍(안와) 뒷쪽 측면으로 연장되는 잘 발달한 안와 뒤쪽의 융기부를 갖고 있다. 아르헨티나살찐꼬리쇠주머니쥐는 성체만이 완전히 발달한 안와 뒤쪽 융기부를 갖고 있으며, 눈구멍(안와) 뒷쪽 측면으로 연장되지 않는다.[3]
계통 분류
[편집]다음은 살찐꼬리쇠주머니쥐속의 계통 분류이다.[4]
| 살찐꼬리쇠주머니쥐속 |
| ||||||||||||||||||||||||||||||||||||||||||||||||||||||||||||||||||
각주
[편집]- ↑ 가 나 “Thylamys sponsorius” (영어).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3월 20일에 확인함.
- ↑ Gardner, A.L. (2005). 〈Order Didelphimorphia〉 [주머니쥐목] 3판 (영어).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8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Gardner, Alfred L. (2008). 《Mammals of South America: Marsupials, xenarthrans, shrews, and bat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69쪽. ISBN 0-226-28240-6.
- ↑ Amador, L.I.; Giannini, N.P. (2016). “Phylogeny and evolution of body mass in didelphid marsupials (Marsupialia: Didelphimorphia: Didelphidae)”. 《Organisms Diversity & Evolution》: 1–17. doi:10.1007/s13127-015-0259-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