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제르바이잔-우크라이나 관계
![]() | |
![]() 아제르바이잔 |
![]() 우크라이나 |
---|---|
외교 공관 | |
주우크라이나 아제르바이잔 대사관 | 주아제르바이잔 우크라이나 대사관 |

소련의 붕괴 이후, 아제르바이잔과 우크라이나는 소련으로부터 그들의 독립을 얻었고, 1992년에 외교 관계를 수립하면서 긴밀한 우정을 시작하였다.[1] 두 나라 사이의 전략적 협력, 정치적, 경제적 그리고 문화적 관계는 매우 높은 수준에 있다.[2] 아제르바이잔은 현재 지역에서의 전략적 역할로 인해 우크라이나의 외교 정책과 양국 간 조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3]
우크라이나는 아르메니아에 맞선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의 해결에서 아제르바이잔의 입장을 지지한다.[4]
두 나라는 국제기구에 들어가는 데 있어서 서로를 지지한다.[5]
역사
[편집]소련 시대
[편집]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과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정치적 협정을 체결하고 외교 사절을 교환할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1921년 12월 8일, 소련은 유리 코추빈스키에게 협상을 진행할 공식 권한을 부여하기까지 했으나, 그 구상은 인민위원평의회에 의해 중단되었다. 1922년 12월 30일, 소련 수립 조약이 체결된 후, 아제르바이잔의 무역 대표부는 오랫동안 하르키우에서 기능을 계속하였고, 소련의 무역 및 기타 사업 대표단은 바쿠에서 활동을 계속하였다.
아제르바이잔은 또한 1986년 체르노빌 참사 동안 우크라이나가 피난하는 것을 돕기도 하였다.
검은 1월 사건 이후, 약 1만 명의 사람들이 모스크바의 아제르바이잔에 대한 군사 개입에 항의하기 위해 르비우에서 집회에 참석하였다.[6]
1991년 이후
[편집]
아제르바이잔은 1992년 2월 6일,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승인하였고, 같은 날 두 나라 사이에 외교 관계가 수립되었다. 아제르바이잔 대통령 애뷜패즈 엘치배이는 1992년 11월 12일, 우크라이나에 공식 방문을 하였다.[7] 그는 그 방문 중에, 우크라이나와의 관계가 구소련의 모든 공화국들 가운데서 우선순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8] 1996년 5월 5일, 우크라이나는 바쿠에 주아제르바이잔 우크라이나 대사관을 개설하였고, 아제르바이잔은 1997년 3월 12일, 키이우에 주우크라이나 아제르바이잔 대사관을 개설하였다.
2001년에, 두 나라는 조지아와 몰도바와 함께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을 위한 구암 기구(GUAM)를 설립하였다.
제2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동안, 우크라이나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는 우크라이나가 아제르바이잔의 영토 보전을 지지하며, 어떠한 국가에도 군사적 지원을 제공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9][10]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편집]아제르바이잔 외무장관 제이훈 바이라모프에 따르면,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흘 뒤인 2월 27일, 의약품과 기타 의료 물품으로 이루어진 첫 번째 인도적 화물이 우크라이나에 도착하였다. 2023년 6월까지 아제르바이잔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인도적 지원 규모는 1,000톤과 2천만 미국 달러를 초과하였다.[11]
2023년 6월, 아제르바이잔 대통령 일함 알리예프와 우크라이나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처음으로 몰도바에서 열린 유럽 정치공동체 정상회의의 틀 안에서 만났으며, 이 자리에서 젤렌스키는 유엔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에 대해 아제르바이잔 측에 감사를 표했다.[12]
군사 협력
[편집]우크라이나는 튀르키예와 이스라엘 다음으로 아제르바이잔의 주요 군사 파트너 중 하나이다. 아제르바이잔 장교들은 우크라이나 군사학교에서 훈련을 받고 있으며, 다양한 기술적 지원이 우크라이나에 의해 제공된다.[13] 2006년, 우크라이나는 아제르바이잔에 T-72AG 48대를 판매하였다. 2009년, 우크라이나는 아제르바이잔에 BTR-70 29대, 122밀리미터 자주포 2S1 핑크 29대, 152밀리미터 자주포 2S3 아카시아 6대, 전투 훈련용 MiG-29UB 1대, Mi-24 11대를 공급하였다.[14] 2010년, 우크라이나는 아제르바이잔에 BTR-70 71대, 2S1 122mm 자주포 "카네이션" 7대, Mi-24P 1대, 유도 미사일 시스템 1기, 소총과 권총 3,000정을 판매하였다. 우크라이나는 아제르바이잔의 주요 군사 파트너 중 하나로 남아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한 달 전, 아제르바이잔은 MiG-29 3대를 우크라이나 시설로 수리 목적으로 이송하였다.[15][16]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Yanukovych: Ukraine grateful to Azerbaijan for assistance in difficult situations, Interfax-Ukraine (18 November 2013)
- ↑ “General look on bilaterial relations between Ukraine and Azerbaijan” (PDF). 2011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Sia.az”. 《sia.az》.
- ↑ “Trend: Ukraine supports Azerbaijan in Nagorno-Karabakh conflict - Mar. 17, 2011”. 《KyivPost》. 2011년 3월 17일. 2013년 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30일에 확인함.
- ↑ “ABC.AZ”. 《Abc.az》.[깨진 링크]
- ↑ The Ukrainian Resurgence by Bohdan Nahaylo, page 248
- ↑ “Визит Абульфаза Эльчибея в Киев”. 《www.kommersant.ru》. 1992년 12월 11일.
- ↑ “Эльчибей поехал в Киев”. 《www.kommersant.ru》. 1992년 12월 10일.
- ↑ Yavuz, Tahla (2020년 10월 2일). “Ukraine supports Azerbaijan's territorial integrity”. 《Anadolu Agency》. 2020년 10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2일에 확인함.
- ↑ “Avakov: Ukraine won't provide military assistance to Armenia-Azerbaijan conflict parties”. 《Ukrinform》. 2020년 10월 2일. 2020년 10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No:345/23, Statement by H.E. Mr. Jeyhun Bayramov, Minister of Foreign Affairs of Azerbaijan at the Ukraine Recovery Conference, London, 21-22 June, 2023”.
- ↑ “President of Ukraine met with the President of Azerbaijan — Official website of the President of Ukraine”. 《Official website of the President of Ukraine》.
- ↑ Azerbaijan’s military aviation opportunities. 보관됨 19 3월 2012 - 웨이백 머신
- ↑ “Ukraine announced the list of weapons and military equipment supplied to Azerbaijan in 2009”. 2012년 3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Fighters sent by Azerbaijan to Ukraine could be destroyed”.
- ↑ “Azerbaijani Air Force MiG-29 spotted at Ukrainian plant”.